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새댁..아파트 관리비 함 봐주세요..

신혼 조회수 : 3,186
작성일 : 2013-12-26 10:37:21

17평 주공인데 이번달 관리비 너무 많이 나온게 아닌가 싶어서요.

지난달은 10만원대로 나왔는데 이번달은 20만원대로 나왔네요 ㅠ

 

맞벌이라 낮에는 집에 없고 밤부터 아침까지 보일러 키고요..

주중에는 밥도 안해먹는데

온수도 지난달비해 많이 나오고

난방이 일단 7만원 가까이 더나왔어요.

명세서 보니 지난해 세입자들은 10만원 언저리 나왔던데

밤에만 틀어서..덜 나오나 싶었는데

아침에 출근해도 보일러 가동 시켜야 하나요? 아예 전원 끄고 나가거든요...

밤에는 22~26도에 맞춰 틀고요..

 

함봐주세요~

IP : 203.193.xxx.20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dd
    '13.12.26 10:40 AM (112.153.xxx.76)

    밤에만 틀어도 온도가 너무 높은 거 같아요. 저희는 20도로 낮밤 없이 종종 트는데요, 도시가스비가 6-7만원 나오고 관리비는 13만원 정도 나와요. 33평형이니 관리비 차이는 있을 거지만 저희 집을 22-26도로 틀으면 아마 엄청나게 나올 것 같아요.

  • 2. 어휴
    '13.12.26 10:43 AM (115.137.xxx.109)

    22~26 도 라니 엄청나게 높네요.
    자다가 답답해서 깨지 않나요 저리 높으면 ??

  • 3. 으흠
    '13.12.26 10:43 AM (218.155.xxx.190)

    겨울에 사람없다고 보일러 꺼놨다가 보일러 얼면 골치아파욧.....
    22-26도도 저에겐 굉장히 높은 온도인데 한달전대비 추워졌잖아요~~
    아 그리고 보일러꺼버려서 완전히 식혔다 다시 집데우는것보다 외출시 1도쯤 낮추고 어느정도 온도유지해주는게 가스 덜드는거같아요

  • 4. .......................
    '13.12.26 10:43 AM (58.237.xxx.3)

    이사할때 배관청소 안 하셨지요?
    시간나실때 관리소에 배관청소 해보세요.
    훨씬 관리비가 줄겁니다.

    집에서도 따뜻하게 입으시고 따뜻하게 드세요.

  • 5. 26도? -_-
    '13.12.26 10:43 AM (112.220.xxx.100)

    쓴만큼 나온거겠죠...

  • 6. 으흠
    '13.12.26 10:46 AM (218.155.xxx.190)

    22-26맞추고 자면 밤에 보일러 무쟈게 돌거예요ㅠㅠ
    퇴근하셨을때 보일러 온도가 몇도던가요??

  • 7. ㅎㅎㅎ
    '13.12.26 10:46 AM (124.136.xxx.21)

    26도면 좀 높긴 하네요. 저흰 23~24도로 맞춰놓고 있어요. 밤에는 23도로 틀고 잡니다. 이불 덮으니까 괜찮아요. ㅎㅎㅎ 지역난방, 34평, 저번달에 사용한 요금 3만 5천원 나왔습니다. ^^;

  • 8. ...
    '13.12.26 10:49 AM (59.14.xxx.110)

    얼마전 난방비 관련하여 TV에 나온 걸 보니 아기있는 집들도 23도에 맞춰놓는다 하더라구요. 26도면 윗분 말씀처럼 쓴만큼 나온 것 같아요.

  • 9. 21도
    '13.12.26 10:50 AM (112.219.xxx.172)

    저흰 껐다 켰다 안하고 쭉 21도로만 맞춰놔요. 그래도 아주 춥게 지내는 편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

  • 10. 원글
    '13.12.26 10:50 AM (203.193.xxx.20)

    그렇군요. 저희집 온도가 높은거네요~ㅠ
    그럼 아침 출근할때 몇도로 맞춰놔야 할까요?
    온도계가 없는거라..퇴근시 보일러가 몇도인지 모르겠어요.

  • 11. 원글
    '13.12.26 10:56 AM (203.193.xxx.20)

    26도로 틀어놔야 좀 훈훈한거 같아요.. 20도면 완젼 썰렁한데...오래된 아파트이긴 한데 20년 가까이 되었으니깐요. 뭐 다른 점검할꼐 있는지 조언부탁드립니다.
    베란다 현관 문풍지로 다 붙였구요

  • 12. 으흠
    '13.12.26 10:57 AM (218.155.xxx.190)

    17-19도 전전하다가 며칠전부터 손이 시려워서 20도로 지내는데 무지 따듯한데요
    22도도 저에겐 사치예요ㅠㅠ
    22도로 지내시겠다하면 출근시 20도로 해놔도 안계시는동안 한두번쯤 보일러 돌거같네요
    그리고 22도까지 올리면 보일러 오래 안돌아요

  • 13. ...
    '13.12.26 10:57 AM (59.15.xxx.61)

    저희는 외출온도 17도로 하고 있어요.
    나갈 때는 외출 버튼 눌러요.

  • 14. 원글
    '13.12.26 11:17 AM (203.193.xxx.20)

    보일러 기계에..외출없구요 옛날 전화기 다이얼 돌리듯..그렇게 돌리는거에요 힘줘서 ㅠㅠ
    그럼 몇도에 맞춰야 하는지 관리실에 물어봐야하나요?^^

  • 15. ...
    '13.12.26 11:23 AM (114.201.xxx.19)

    26도라니......................ㅠ
    아, 겨울이니까 춥죠!

  • 16. ..
    '13.12.26 11:30 AM (118.221.xxx.32)

    밤에만 방 두개 틀어도 7만원 나와요

  • 17. 노라
    '13.12.26 11:40 AM (1.222.xxx.114)

    26도 ㅎㅎ
    쓰신 만큼 나온 거네요.
    전 26도러 보일러 돌린적 한번도 없어요.
    아주 추울때만 22도..
    그냥 냉기 가시는 정도로만 돌리는 사람이라 26도에 놀라고 가요 ㅎㅎ

  • 18. 요령껏
    '13.12.26 11:50 AM (110.9.xxx.2)

    난방비 아끼는 요령은 인터넷에 여러방법들이 나와있는데요...이건 정말 집집마다 케바케예요.
    아파트의 구조, 층수, 보일러 종류에 따라천차만별이지요.

    원글님이 직접 여러가지 방법으로 난방을 해보고 며칠 단위로 난방수치 올라가는걸 확인해보는
    방법밖에 없어요. 몇시간 단위도 난방을 하는지, 도시가스인 경우 난방수 온도는 몇도가 좋은지...

    그리고, 낮에는 난방을 아예 꺼버리면 온도가 너무 내려가서 밤에 다시 그 온도로 올리는게 효율이
    떨어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낮에고 어느 정도의 온도는 맞춰놓고 나가세요.
    퇴근해서 집이 추우니까 26도까지 올리게 되는거지요. 저희집은 낮에도 항상 20도 내외로 맞춰놓고
    너무 추우면 그때만 잠깐씩 살짝 온도를 올립니다. 30평대 한겨울에도 십만원이 안 나와요.
    대신 아주 따뜻하게 살지는 못하지요. 그래도 내복입으면 별로 춥지는 않습니다.

  • 19. .....
    '13.12.26 2:13 PM (183.98.xxx.7)

    근데 보일러 온도 기준은 집집미다 기계마다 달라서 몇도가 높다라고 말하긴 어려운거 같아요.
    우리집 보일러 온도판은 아무리 추운날도 웬만해선 27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아요.
    26도로 맞춰놓으면 며칠에 한번 보일러 돌아갈까 말까 할거 같은데요.
    그리고 원글님 대체로는 밤시간 내내 돌리기보다는 몇시간에 한번씩 돌아가게 하는게 가스비 덜나오는거 같아요.
    우리집은 세시간에 한번씩 돌아가게 설정해 놨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1298 한국 조선업 부활의 아버지, 문재인. 1 ... 00:31:27 95
1741297 마트들이랑 다이소 매출 찾아봤는데 1 ........ 00:26:27 188
1741296 60, 70, 80이되면 저는 보청기를 쓰게 될까요? ㅣㅣ 00:18:18 130
1741295 대구사는데요 소비쿠폰 신청 도와주세요 4 레아 00:14:15 313
1741294 혹시 미국도 예년보다 덥고 이상 기후인가요 2 요새 00:12:50 222
1741293 사는 이유가 뭘까요 3 김가네수박 00:02:06 606
1741292 노후대비로 부부가 3 ㄴㄴㅇㅇ 00:01:31 841
1741291 근데 대형마트들 줄어드는건 막을수 없지 않나요 10 ㅇㅇ 00:00:07 531
1741290 조민 표창장 도장 비교해보세요 9 억울해 2025/07/29 1,118
1741289 기생충 처럼 사는 형제여도 잘 만나나요 2 .. 2025/07/29 705
1741288 중등 애들 외박하는걸 4 2025/07/29 476
1741287 민생지원금으로 편의점에서 황제처럼 썼어요 11 ㅇㅇ 2025/07/29 1,054
1741286 홈플러스 새주인 찾기 산넘어 산…정부 개입 가능성 ‘솔솔’ 3 ㅇㅇㅇ 2025/07/29 523
1741285 밤 12시가 다 되어가는데도 32도 라니 5 징글징글 2025/07/29 815
1741284 얼마면 파이어족 하실수 있으세요? 3 .. 2025/07/29 804
1741283 관세폭탄인데 양곡법 노란봉투법 통과 4 .. 2025/07/29 560
1741282 서울에 3테슬라 MRI 기계있는 병원 아시는분? 1 민쏭 2025/07/29 251
1741281 친정엄마 아프신데 22 쪼요 2025/07/29 1,529
1741280 美상무 "한국, 관세 협상 위해 스코틀랜드까지 날아와&.. 17 ... 2025/07/29 1,973
1741279 채칼장갑 끼고 고무장갑도 4 채칼 2025/07/29 1,405
1741278 "바람의 세월" .. 2025/07/29 392
1741277 또 특이한거 만든 LG전자 7 ........ 2025/07/29 2,967
1741276 반지 맞출 때 이상한 일이 있었어요 16 궁금해서요 2025/07/29 2,598
1741275 더위 알러지 있으신 분 5 괴롭 2025/07/29 1,035
1741274 사람사이 멀어지는거 한순간이네요 18 .. 2025/07/29 4,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