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문] 수서발KTX 운영 준비단 직원의 '양심 선언'

// 조회수 : 1,414
작성일 : 2013-12-22 17:51:31

http://m.pressian.com/article.asp?article_num=20131222154530

21일 저녁 청계광장에서 열린 촛불 문화제에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서발 KTX 운영준비단'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 임 모 씨의 발언이 주목받고 있다. 임 씨는 전국철도노조(철도노조) 조합원이 아니다.

임 씨는 "안녕하십니까. 저는 오늘 철도를 걱정하는 한 국민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제가 여러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수서발 고속철도의 진실에 좀 더 다가갔다는 것입니다. 저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수서 고속철도 운영을 준비하는 부서에 근무하고 있습니다"라며 발언을 시작했다.

임 씨는 제 3의 기관에 맡겨 용역을 진행한 결과 수서발KTX 설립 시 코레일이 받을 타격으로 5000억 원의 매출 감소, 1000억 원의 순이익 감소 등의 결과가 나왔다고 지적하며 "왜 코레일을 분리해야 하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임 씨는 현 정부가 민영화를 하지 않겠다며 정관에 민간 매각 금지 조항을 넣었지만 문제는 다음 정부 때부터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한미 FTA 상 철도 개방 유보 조항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지적도 내놓았다. 즉 수서발KTX 설립은 철도 운영 자유화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는 수서발KTX 출자회사 설립이 본격적인 철도 개방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으며, 결국 외국 자본의 진출을 막을 수 없게 된다는 말과 같다. 수서발KTX 설립이 민영화로 가는 '고속철도' 티켓이라는 말이다. 다음은 임 씨의 '양심 선언' 전문이다.

박근혜 정부는 4년 가지만, 철도는 100년 간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오늘 철도를 걱정하는 한 국민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제가 여러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수서발 고속철도의 진실에 좀 더 다가갔다는 것입니다. 저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수서 고속철도 운영을 준비하는 부서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제가 그동안 느낀점이 있기에, 저는 노조원도 아닙니다. 하지만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철도를 걱정하는 마음으로 느낀 점이 있기에 이 자리에 섰습니다.

먼저 첫째로 수서 고속철도 주식회사가 도움이 된다 안된다라는 말이 많습니다. 저희가 검토한 결과로는 코레일에는 손해입니다. 먼저 수요가 전이되어 코레일에는 약 5000억 정도의 연간 매출 손실이 발생할 것이고, 순이익은 약 1000억 원 정도 감소할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것은 저희 자체적인 결과가 아니라 공식적인 용역을 통해서 제3의 기관에서 검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그러면 직원으로서 그런 의문이 들것입니다. 그러면 왜 코레일을 분리해야 하는가. 저희도 이런 부분에 대해서 말은 했지만 비효율의 당사자로 지목받는 코레일로서 주장을 관철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만약에 저희가 수서를 운영하지 않는다고 했을 때 정부가 다른 기관에 주기라도 한다면 더 큰 손해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어쩔수 없는 선택을 해야 할 것이었다고 저는 이사회의 마음을 그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둘째로, 민영화 논란입니다. 코레일도 정부도 민영화를 방지하는 장치를 정관에 마련했다고 했습니다. 그 말은 맞습니다. 처음에 30%를 코레일에 지분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이때에는 문제가 많습니다. 정관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되는데 코레일은 3분의 1, 즉 반대를 할수 없는 지분을 갖게 되면 정관이 변경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41%를 가지고 있으면 민간 매각을 위한 정관 변경이 불가능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중요한 문제가 남습니다. 그러면 국민은 왜 아직까지 민영화다, 민영화가 아니다 라는 논란을 지속하고 있는 걸까요. 2009년도 수도권 고속철도 건설계획이 처음 발표됐습니다. 그 때 정부의 보도자료를 보면 코레일의 재정 경영, 재정 여건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불과 4년 전입니다.

2011년, 불과 2년 전입니다. 어땠습니까. 수서 고속철도를 민간에 개방하겠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그리고 2년이 지난 지금 민영화는 아니라고 정부는 말하고 있습니다. 저는 박근혜 정부나 국토부의 말을 신뢰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이 정부가 언제 끝나냐, 4년 후면 마치게 됩니다. 하지만 철도는 어떻습니까. 50년, 100년 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지금 정부를 신뢰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 정부, 그 다음 정부에서도 민영화를 막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달라고 국민으로 말하는 겁니다.

자, 제 개인적인 생각은 이제 공은 국민과 정부에게로 넘어갔습니다. 이런 사태를 노와 사가 해결하기에는 너무 크고 또 저희가 할수도 없는 일이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민여러분과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지혜롭게 이 난관을 풀어갈 수 있도록 대화에 나섰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얼마 전 국토위가 여러 문제로 열리지도 못한 채 폐회했습니다. 새누리당은 민주당에서 제출한 민영화 방지법에 대해서 과도한 입법행위다 헌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민영화를 방지하기 위한 이 장치가 정말 별게 아닐까요.

마지막 문제가 FTA가 남습니다. FTA 한미 부속서 제 12.4조 시장접근의 철도 운송 및 부수 서비스 분야의 유보 내용을 읽어보겠습니다. 한국철도공사만이 2005년 6월 30일 이전에 건설된 철도 노선의 철도 운송 서비스를 공급할수 있다. 이렇게 명시돼 있습니다. 그런데 수서 고속철도의 약 70% 이상의 노선은 2005년 이전에 건설된 고속철도 노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얼마전 국회 입법조사처 검토 의견이 이렇게 나왔습니다. 국회 입법조사처 검토 의견을 읽는 것으로 대신하겠습니다.

"2005년 6월 30일 이전에 건설된 노선의 철도운송서비스 공급자를 한국철도공사 이외의 자로 선정하는 경우 기존의 한미에서 인정하였던 서비스 공급자의 수, 또는 사업자의 법적 형태 제한 조치를 자유화하는 방향으로 개정한 것임."

이것이 저희 정부, 국회 입법조사처의 의견입니다. 여러분 이 문제는 이제 국민들께서 걱정해주시고 행동해주셔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박세열 기자


IP : 211.220.xxx.22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대강을
    '13.12.22 6:18 PM (110.46.xxx.62)

    잊지 말아야 합니다.
    대운하 반대에 직면하더니 운하를 만들지 않겠다며
    결국 사대강을 파헤치며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고
    대대로 재앙만 남겨놓았습니다.
    민영화는 아니나 민영화 금지법안은 안된다는 저 들이
    지금은 공권력으로 우리의 입을 막으려 하네요

  • 2. 이기대
    '13.12.23 12:33 AM (183.103.xxx.130)

    철도민영화는 육지의 대운하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8078 JTBC특별대담...웃기는 두명 1 손전등 2014/01/02 1,153
338077 일산에 공증 저럼하게 하는 곳~~ 4 일산... 2014/01/02 1,359
338076 베란다 개조해서 썬텐실 만들겠다는데요 15 찝찝 2014/01/02 3,419
338075 묵은지가 너무 짜요 3 묵은지 2014/01/02 1,241
338074 미국온지 일주일,,, 먹고싶은건,,, 17 s 2014/01/02 3,851
338073 코스트코는 왜 사람이 미어터지는지 44 ㄴㄴ 2014/01/02 14,351
338072 처음 만들어보는 만두.이리 하면 될까요? 9 2014/01/02 1,251
338071 가계부 쓰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4 ... 2014/01/02 1,655
338070 사업자 현금영수증 소득공제에 대해서 여쭙니다 5 .. 2014/01/02 4,193
338069 여긴 천안.. 전철운행 어떤가요. 1 전철 2014/01/02 859
338068 일반 or 드럼세탁기 어떤게 더 나은가요? 6 고민 2014/01/02 8,143
338067 어제 jtbc토론 보신분들만 보세요 -유시민- 7 2014/01/02 1,491
338066 말을 직설적으로 하는 사람들 (인간관계) 25 gogoto.. 2014/01/02 18,715
338065 이 시간 난 회사에 있어야 하나? 집에 있어야 하나? 2 이제다시 2014/01/02 799
338064 얼굴당기고 싶어요~ 넘 쳐져서 (낙성대 매선침) ㅠㅠ 2014/01/02 1,395
338063 남자들 술먹고 하는 말은 다 진심이죠? 15 . 2014/01/02 13,242
338062 옥수수로 만들었다는 플라스틱 도마 도마 2014/01/02 928
338061 불교 입문은 어떻게 해요...? 18 불교 2014/01/02 5,364
338060 둘이 참 잘 논다 ^^ ... 2014/01/02 1,172
338059 대학생들이 카톡으로 정보를 주고받는다고요? .. 2014/01/02 742
338058 중고생 때 유치가 빠지기도... 12 유치 2014/01/02 4,469
338057 지금 미세먼지가 어떻죠? 지표가 다 다르게 나오네요?? 인천 2014/01/02 1,393
338056 미간 보톡스 후 눈썹끝이 올라가는데요 3 ... 2014/01/02 10,417
338055 창문열어놔도되나요? 오늘경기지역.. 2014/01/02 694
338054 애기들용 닭볶음탕 만들려고하는데 첫국물 버려야하나요?? 7 처음이야 2014/01/02 1,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