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문] 수서발KTX 운영 준비단 직원의 '양심 선언'

// 조회수 : 1,381
작성일 : 2013-12-22 17:51:31

http://m.pressian.com/article.asp?article_num=20131222154530

21일 저녁 청계광장에서 열린 촛불 문화제에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서발 KTX 운영준비단'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 임 모 씨의 발언이 주목받고 있다. 임 씨는 전국철도노조(철도노조) 조합원이 아니다.

임 씨는 "안녕하십니까. 저는 오늘 철도를 걱정하는 한 국민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제가 여러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수서발 고속철도의 진실에 좀 더 다가갔다는 것입니다. 저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수서 고속철도 운영을 준비하는 부서에 근무하고 있습니다"라며 발언을 시작했다.

임 씨는 제 3의 기관에 맡겨 용역을 진행한 결과 수서발KTX 설립 시 코레일이 받을 타격으로 5000억 원의 매출 감소, 1000억 원의 순이익 감소 등의 결과가 나왔다고 지적하며 "왜 코레일을 분리해야 하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임 씨는 현 정부가 민영화를 하지 않겠다며 정관에 민간 매각 금지 조항을 넣었지만 문제는 다음 정부 때부터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한미 FTA 상 철도 개방 유보 조항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지적도 내놓았다. 즉 수서발KTX 설립은 철도 운영 자유화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는 수서발KTX 출자회사 설립이 본격적인 철도 개방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으며, 결국 외국 자본의 진출을 막을 수 없게 된다는 말과 같다. 수서발KTX 설립이 민영화로 가는 '고속철도' 티켓이라는 말이다. 다음은 임 씨의 '양심 선언' 전문이다.

박근혜 정부는 4년 가지만, 철도는 100년 간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오늘 철도를 걱정하는 한 국민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제가 여러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수서발 고속철도의 진실에 좀 더 다가갔다는 것입니다. 저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수서 고속철도 운영을 준비하는 부서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제가 그동안 느낀점이 있기에, 저는 노조원도 아닙니다. 하지만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철도를 걱정하는 마음으로 느낀 점이 있기에 이 자리에 섰습니다.

먼저 첫째로 수서 고속철도 주식회사가 도움이 된다 안된다라는 말이 많습니다. 저희가 검토한 결과로는 코레일에는 손해입니다. 먼저 수요가 전이되어 코레일에는 약 5000억 정도의 연간 매출 손실이 발생할 것이고, 순이익은 약 1000억 원 정도 감소할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것은 저희 자체적인 결과가 아니라 공식적인 용역을 통해서 제3의 기관에서 검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그러면 직원으로서 그런 의문이 들것입니다. 그러면 왜 코레일을 분리해야 하는가. 저희도 이런 부분에 대해서 말은 했지만 비효율의 당사자로 지목받는 코레일로서 주장을 관철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만약에 저희가 수서를 운영하지 않는다고 했을 때 정부가 다른 기관에 주기라도 한다면 더 큰 손해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어쩔수 없는 선택을 해야 할 것이었다고 저는 이사회의 마음을 그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둘째로, 민영화 논란입니다. 코레일도 정부도 민영화를 방지하는 장치를 정관에 마련했다고 했습니다. 그 말은 맞습니다. 처음에 30%를 코레일에 지분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이때에는 문제가 많습니다. 정관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되는데 코레일은 3분의 1, 즉 반대를 할수 없는 지분을 갖게 되면 정관이 변경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41%를 가지고 있으면 민간 매각을 위한 정관 변경이 불가능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중요한 문제가 남습니다. 그러면 국민은 왜 아직까지 민영화다, 민영화가 아니다 라는 논란을 지속하고 있는 걸까요. 2009년도 수도권 고속철도 건설계획이 처음 발표됐습니다. 그 때 정부의 보도자료를 보면 코레일의 재정 경영, 재정 여건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불과 4년 전입니다.

2011년, 불과 2년 전입니다. 어땠습니까. 수서 고속철도를 민간에 개방하겠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그리고 2년이 지난 지금 민영화는 아니라고 정부는 말하고 있습니다. 저는 박근혜 정부나 국토부의 말을 신뢰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이 정부가 언제 끝나냐, 4년 후면 마치게 됩니다. 하지만 철도는 어떻습니까. 50년, 100년 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지금 정부를 신뢰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 정부, 그 다음 정부에서도 민영화를 막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달라고 국민으로 말하는 겁니다.

자, 제 개인적인 생각은 이제 공은 국민과 정부에게로 넘어갔습니다. 이런 사태를 노와 사가 해결하기에는 너무 크고 또 저희가 할수도 없는 일이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민여러분과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지혜롭게 이 난관을 풀어갈 수 있도록 대화에 나섰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얼마 전 국토위가 여러 문제로 열리지도 못한 채 폐회했습니다. 새누리당은 민주당에서 제출한 민영화 방지법에 대해서 과도한 입법행위다 헌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민영화를 방지하기 위한 이 장치가 정말 별게 아닐까요.

마지막 문제가 FTA가 남습니다. FTA 한미 부속서 제 12.4조 시장접근의 철도 운송 및 부수 서비스 분야의 유보 내용을 읽어보겠습니다. 한국철도공사만이 2005년 6월 30일 이전에 건설된 철도 노선의 철도 운송 서비스를 공급할수 있다. 이렇게 명시돼 있습니다. 그런데 수서 고속철도의 약 70% 이상의 노선은 2005년 이전에 건설된 고속철도 노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얼마전 국회 입법조사처 검토 의견이 이렇게 나왔습니다. 국회 입법조사처 검토 의견을 읽는 것으로 대신하겠습니다.

"2005년 6월 30일 이전에 건설된 노선의 철도운송서비스 공급자를 한국철도공사 이외의 자로 선정하는 경우 기존의 한미에서 인정하였던 서비스 공급자의 수, 또는 사업자의 법적 형태 제한 조치를 자유화하는 방향으로 개정한 것임."

이것이 저희 정부, 국회 입법조사처의 의견입니다. 여러분 이 문제는 이제 국민들께서 걱정해주시고 행동해주셔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박세열 기자


IP : 211.220.xxx.22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대강을
    '13.12.22 6:18 PM (110.46.xxx.62)

    잊지 말아야 합니다.
    대운하 반대에 직면하더니 운하를 만들지 않겠다며
    결국 사대강을 파헤치며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고
    대대로 재앙만 남겨놓았습니다.
    민영화는 아니나 민영화 금지법안은 안된다는 저 들이
    지금은 공권력으로 우리의 입을 막으려 하네요

  • 2. 이기대
    '13.12.23 12:33 AM (183.103.xxx.130)

    철도민영화는 육지의 대운하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9965 알펜시아리조트 주변 렌탈샵(스키강습 및 렌탈) 추천부탁드려요. 1 건튼맘 2014/01/10 1,439
339964 제사 물려 받을 때, 놋그릇도 물려 받아야 하나요? 7 하얀겨울 2014/01/10 2,613
339963 EM발효액을 만들었는데 된건지 알려주세요! 3 알려주세요~.. 2014/01/10 1,085
339962 말인지.....된장인지............ 1 준석이 이.. 2014/01/10 889
339961 스트롱빈 어디서 팔아요? 3 2014/01/10 1,243
339960 변모 300만원 결제했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3 무명씨 2014/01/10 11,159
339959 신촌,홍대지격에 모임 장소 추천 부탁드려요. 1 감격시대 2014/01/10 1,127
339958 최강 공기업은 어딘가요? 14 질문 2014/01/10 4,996
339957 딸 쌍꺼풀 수술 앞두고.. 걱정되네요... 8 쌍수 2014/01/10 3,172
339956 휴대폰을 두개 쓰시는분 계신가요? 2 바꾸기는 그.. 2014/01/10 1,682
339955 1컵은 몇 미리를 말하는 걸까요? 5 2014/01/10 3,902
339954 저번에 분당에5개월 세입자 구하신다는 분 분당 2014/01/10 916
339953 애들 인생 자기알아서 잘찾아갈까요 2 선배맘들 2014/01/10 1,433
339952 이런 친구 짜증나요 3 ... 2014/01/10 1,980
339951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재산,,상속.. 11 모르겠다 2014/01/10 4,813
339950 이연희요 29 ㄴㄴ 2014/01/10 8,065
339949 위역류성 식도염이요 6 무슨 검사해.. 2014/01/10 2,247
339948 2월말 이사하는데 35평에서 48평으로 가는 이사비용 230 부.. 9 2014/01/10 3,927
339947 이혼 ...해야할까요? 26 .,. 2014/01/10 5,832
339946 일본 제1원전 핵폭발~!!!! 트리튬농도 20배이상 급증 7 더듬이 2014/01/10 3,041
339945 캄보디아 노동자 유혈진압, 한국 정부·기업 책임" 1 /// 2014/01/10 733
339944 늙어가는 생모. 다시 만나야 할까요? 51 소나기 2014/01/10 10,317
339943 하태경 ”교학사 낙인, x묻은 개 겨묻은 개 나무란 셈” 3 세우실 2014/01/10 935
339942 태몽일까요~! 아정말 2014/01/10 533
339941 부산인데요 거인통닭 맛있나요? 8 부산 2014/01/10 1,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