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라는 이름이 붙은 원전이 10기에 이른다.
1978년 국내 최초로 상업운전을 시작한 고리 1호기를 포함해 가동 중인 것이 6기,
건설·계획 중인 것이 4기. 원전이 주는 이점도 있다.
원전 주변 지역 지원사업이나 기장군 장안읍에 조성되는 방사선 의과학 산업단지,
동남권원자력 의학원 등 관련 시설이다.
하지만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그 모두를 덮어버렸다.
때맞춰 터진 고리 1호기의 잦은 고장. 수명을 10년 연명한 고리 1호기는
쇠진한 기색이 역력하다.
우리 원전 도시들은 속 빈 강정이다. 원전과 관련한 실권이 없다.
권한이나 정보는 정부나 한수원이 틀어쥐고 있다. 땅만 빌려주고, 사고 등
위험부담만 고스란히 떠안는다.
기장군이 지난해 11월 원전을 보유한 7개국 10개 도시로 기장포럼을 만든
취지도 여기에 있다. 원전 도시라는 숙명을 공유한 지자체끼리 일종의
세계적 연대를 추진하자는 것.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원전 관련 잠재적 사고·사건 등의
해법을 모색하자는 차원이다.
별 달갑지 않은 원전 도시클럽에 경북 영덕군과 강원 삼척군이 가입하려는 모양이다.
정부가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13~2035년)에 따라 원전 신규 건설 후보지로
이 두 곳을 정하고 그저께 공청회를 열었다.
별 달갑지 않은 원전 도시클럽에 경북 영덕군과 강원 삼척군이 가입하려는 모양이다.
정부가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13~2035년)에 따라 원전 신규 건설 후보지로
이 두 곳을 정하고 그저께 공청회를 열었다.
동해안 일대는 현재 가동 중인 국내 원전 23기 중 전남 영광의 6기를 제외한 17기가 몰려 있다.
여기에 영덕 삼척까지 가세하면 고리-월성-영덕-울진-삼척까지 그야말로 원전벨트다.
양산단층대 위에 원전이 줄줄이 늘어선 형국이다.
정부는 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전기 소비지 인근에 발전설비 건설을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전기 소비지 인근에 발전설비 건설을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데 원전 건설은 정반대다.
전기 수요가 압도적인 수도권에서 가능한 먼곳에 짓는다.
그리고 고압송전탑을 세워 수도권까지 보낸다.
국민 세금을 수도권 주민을 위해 쓰는 셈.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탈핵단체들이 도쿄 도심 시위에서 내건 구호 중에 이런 것이 있다.
'도쿄에 지을 수 없다면 어디에도 지을 수 없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원전을 수도권에 지을 수 없다면 어디에도 지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