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 겨울 ‘그분’이 다가온다

재열님 조회수 : 1,083
작성일 : 2013-12-09 13:58:24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8626
영화 <변호인>이 심상치 않다. 
예고편이 공개되자 검색어 1위에 올랐고, 올해 개봉된 영화 중 최고 조회 수를 기록 했다. 
영화에 대한 ‘별점 전쟁’도 벌어지고 있다. ‘<변호인> 신드롬’이 일려나.
영화 <변호인>은 1981년 발생한 용공조작 사건인 부림사건을 모티브로 한 영화다.
 당시 고문 피해자들의 변호인 중 한 명이 바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었다. 
이 <변호인>이 개봉을 한참 앞두고 있는데도 연일 화제다.
 시사회가 열리기 전부터 검색어 순위 등 영화 관련 순위를 휩쓸고 있다. 
홍보사에 따르면 <변호인>의 2차 예고편은 공개되자마자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랐고
 올해 개봉된 영화 중 최고의 조회 수를 기록했다고 한다. 
포털 사이트 다음을 통해 공개되자마자 하루 동안 21만8000건을 훌쩍 넘는 조회 수를 기록했다.
 이는 <설국열차>의 수치를 뛰어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에 대한 관심이 꼭 호의적인 것만은 아니다. 
꾸준한 폄훼 움직임도 있다. 보수 누리꾼들이 주로 이용하는 ‘일간 베스트 저장소’(일베)에서는 
이 영화의 포털 사이트 별점을 낮추자는 글이 줄지어 올라온다. 
반대쪽에서는 이런 움직임을 견제하자는 글이 올라와서 <변호인>의 별점은 1점이거나 10점인, 
극단적인 차이를 보인다. 
누리꾼 수만명이 소모적인 별점 전쟁을 벌이고 있다.
영화를 둘러싼 좌우의 첨예한 갈등은 영화제작사와 배급사, 홍보사를 위축시켰다. 
제작보고회와 시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언론과 만나는 것 외에는 배우와 감독의 인터뷰도 자제시키는 분위기다.
 영화가 좌우 이념 갈등의 소재가 되는 것을 막겠다는 것이다. 
제작보고회나 시사회가 끝나고 언론 인터뷰를 할 때도 대다수 배우들은 ‘노무현’이라는 이름 대신 
‘그분’이라는 표현으로 비켜갔다.

‘급전 필요한가?’라는 기사 올린 조선닷컴 

주연을 맡은 배우 송강호씨가 특히 마음고생을 많이 했다. 
조선 시대의 부당한 권력 찬탈을 다룬 <관상>과 미래의 계급사회를 보여준 <설국열차>에 이어 
오늘 우리의 현실 이야기를 다룬 <변호인>까지,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두루 오가며 다양한 연기 변신을
 보여준 그에게 <변호인>은 가장 부담스러운 영화였다. 
출연 제의를 받았을 때 그는 실제 인물을 다룬다는 부담 때문에 한 차례 고사했었다고 밝혔다.

실제 보수 언론의 견제도 있었다. 10월30일 영화의 1차 예고편이 올라오자, ‘설국열차, 관상 이어 
변호인까지… 송강호 연이어 영화 출연 “급전 필요한가?”’라는 제목의 기사가 조선닷컴에 올라왔다.
 이를 기억한 기자가 시사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이 기사를 환기시키자 송강호씨는
 “급전은 항상 필요할 수 있는데 이번엔 아닌 것 같다”라고 답했다.

송강호씨를 비롯해 <변호인>에 출연한 배우들이나 감독이 이 영화를 언급할 때 꼭 붙이는 설명이 있다. 
바로 이 영화는 정치적인 영화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역설적으로 ‘정치적인 영화가 아니라고 
강조해야 할 만큼 정치적인 영화’라는 걸 보여준다. 
개봉일을 12월19일로 택한 만큼 이 영화가 정치적 논란을 피해가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소재를 다룬 영화라는 면에서 <변호인>은 <화려한 휴가>와 비교된다. 
<화려한 휴가>는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영화적으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하지만 <변호인>은 상업영화로도 완성도가 높고 연출력과 연기력이 잘 결합되어 작품성까지 뛰어나다는
 평이다. 속도감 있게 이야기를 풀어가면서도 영화적 잔재미를 다양하게 제공한다.

<변호인>처럼 실화를 소재로 한 영화 <도가니>나 <부러진 화살>이 다소 무겁게 이야기를 풀어간 것과 달리
 <변호인>은 가볍고 경쾌하게 관객을 끌고 간다. 
고문 장면도 <남영동>처럼 관객이 불편할 정도로 거칠게 몰아붙이지 않고 처절한 이미지 위주로 전달한다.
 그리고 관객을 충분히 즐겁게 해준 다음 정신없이 내달린다. 
변화구와 직구, 그리고 낙차 큰 커브의 환상적인 볼 배합으로 타자를 유린하는 투수처럼 웃음과 눈물, 
분노와 감동을 적절히 배합해 관객의 마음을 계속 들었다 놓았다 한다.

송강호씨가 맡은 송우석 변호사는 2대8 비율의 가르마에 체크무늬 양복을 즐겨 입고, 
아들과 딸을 두었으며, 돈을 좀 벌자 취미로 요트를 시작한다. 영락없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모습이다. 
노 전 대통령의 속물적인 모습부터 고매한 모습까지 폭 넓게 보여준다. 
비록 노 전 대통령 특유의 말투는 흉내 내지 않았지만  영화 후반부로 갈수록 싱크로율(일치 비율)이 높아진다. 판사에게 형사소송법을 들이밀며 피고인의 권리를 주장하고 검사의 궤변을 논리적으로 논박하며 야무지게
 몰아붙이는 모습은 생전의 노무현 전 대통령을 연상케 한다.

영화는 도입부에서 상업고등학교 출신 변호사의 좌충우돌 성공기로 경쾌하고 가뿐하게 시작한다. 
잃을 것 없는 송우석 변호사(송강호)는 사법서사들이 주로 하던 부동산 등기 전문 변호사를 자칭하며 
수수료로 돈을 모은다. 
이후 상고 출신의 장점을 살려 잘나가는 세법 변호사로 승승장구한다. 
8차선 도로 위에서 액셀러레이터를 밟고 내달리는 일만 남은 그의 인생에 급브레이크가 걸린 것은 
단골 국밥집 주인아주머니의 아들이 시국사건에 연루되면서다.
눈앞의 불의 앞에서 영화는 경쾌한 질주를 멈추고 주인공이 속물 변호사에서 인권 변호사로 거듭나는, 
중년의 성장영화 형태를 취한다. 
여기서부터는 돌직구다. “할게요. 변호인 하겠습니다!” “포기 안 합니다. 절대 포기 안 합니다” 
“무죄면 무죄판결 받아야 하는 것 아닙니까?”라고 말하는 송우석은 온갖 겁박과 불이익에도 굴하지 않고 
재판에 온 신경을 기울인다.

영화의 에피소드를 풍부하게 만들어준 것은 소송에 들인 노무현 전 대통령의 노력이다.
 E. H. 카가 소련에 살았던 빨갱이가 아니라 영국의 외교관으로 근무했다는 사실을 영국 대사관을 통해
 문서로 확인해오고, 고문 증거를 확보해 고문 조작 사실을 밝히는 과정이 에피소드로 사용된다.
법정에서 “알리와 포먼이 경기를 할 때 김일성이 알리를 응원했다고 칩시다. 그럼 그때 피고인들도 알리 편을
 들었다면 그것도 이적행위입니까?”라고 물었던 일화도 에피소드로 쓰인다. 
“법정에서 김일성을 고무 찬양하는 행위를 삼가달라”는 검사의 어이없는 대응도 영화에 담겼다.

법정 공방은 이 영화의 영화적 성취가 집약된 부분이다. 자칫 지루할 수 있는 법정 장면을 감독은 
핸드헬드 카메라를 활용한 다양한 움직임으로 역동성 있게 찍어냈다. 
공판마다 다른 방식으로 에피소드를 풀어가서 긴장감을 자연스럽게 고조시킨다. 
자연광을 살린 조명이 긴장 속에서도 차분하게 법정 공방을 따라가게 만든다.

이 영화가 영화적 힘을 갖는 것은 현실의 무게를 온전히 감당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영화 속 부당한 재판 과정을 보면서 관객들은 국정원 대선 개입과 이에 대한 경찰의 수사 축소, 
그리 법무부 장관의 검찰에 대한 수사 간섭을 떠올릴 것이다. 
영화평론가 최광희씨는 “이 영화는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칭송이라기보다 그가 통과했고 분노했던 
한순간을 통해 우리 시대가 잠시 까먹은 보편적 시비지심을 재확인하는 작품이라고 보는 게 타당하다.
 어떤 대중적 ‘현상’으로까지 이어질지는 지켜볼 일이다”라고 평했다. 
IP : 211.216.xxx.186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미즈박
    '13.12.9 2:12 PM (115.136.xxx.107)

    토요일 낮 영화 소개 프로그램에서 변호인을 소개해주는데
    그것만 보곧ㅎ 눈물이 울컥 쏟아지더이다.
    개봉일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 2. 저희
    '13.12.9 2:20 PM (122.40.xxx.41)

    가족도 그날만 기다리고 있어요.
    지인들과도 여러번 보려고요

  • 3. 카르페디엠
    '13.12.9 2:31 PM (61.85.xxx.107)

    연말을 이 영화와 함께 하게 되어 정말 기뻐요~~예고편보고도
    가슴이 먹먹하고 눈물이 많이 나네요~~노통님 정말 그립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9559 인아트 앤디 식탁 쓰시는 분 계신가요? 1 ... 2013/12/09 4,150
329558 김치가 많은데 어려운곳에 보내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6 저기요 2013/12/09 1,321
329557 폭스코트 조끼로 만들려는데 리폼비가 어느정도 되나요? 1 ... 2013/12/09 1,032
329556 간이과세자의 부가세 1 스노피 2013/12/09 1,034
329555 층간소음 미안하다고도 안하네요 4 ........ 2013/12/09 1,456
329554 노회찬 “장하나 제명하면 ‘대통령 하야’ 투쟁 앞장서겠다 2 靑 이정현 .. 2013/12/09 1,083
329553 위키드vs맨오브라만차 15 뎅굴 2013/12/09 1,996
329552 크린토피아 보상관련해서 ㅜㅜ 7 2014년화.. 2013/12/09 3,134
329551 출발비디오여행에서 사심방송 요즘 5 123 2013/12/09 1,550
329550 장하나 의원실에 전달된 협박편지 16 유채꽃 2013/12/09 1,331
329549 해외거주자는 애드 센스 광고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 2013/12/09 358
329548 꽃누나~ 승기의 어리바리 귀여움~ㅋㅋㅋㅋ 55 ououpo.. 2013/12/09 8,495
329547 지인에게 귤상자 보내드릴때, 몇키로가 적당할까요? 4 귤상자 2013/12/09 862
329546 “철도노조 파업으로 서울대 진학 좌절” 중앙 보도는 ‘허위’ 4 /// 2013/12/09 1,093
329545 유통기한 하루 지난 소고기요,, 4 궁금 2013/12/09 5,955
329544 파킨슨씨병 증상이 어떤가요?? 5 ㅠ.ㅠ 2013/12/09 2,427
329543 책에 관심 없는 아이가 부모가 책보면 같이 본다는 말이요. 14 궁금 2013/12/09 2,090
329542 가사도우미분들중에 정말 잘하시는분들은. 뭔가가 다르나요? 6 mamas 2013/12/09 2,508
329541 간기능 수치 높은거 왜그런거예요 7 랭면육수 2013/12/09 2,688
329540 김치하니깐 생각나는 그분 주진 2013/12/09 1,192
329539 아파트 거실을 방으로 사용하려면 어떤걸로... 6 2013/12/09 4,316
329538 요새 귤 맛있나요? 3 ᆞᆞ 2013/12/09 777
329537 안철수: 새정치추진위원회 1차 회의 내용 : 합리적 개혁주의 6 탱자 2013/12/09 633
329536 고,1,2학년 모의고사는 6 내신등급 2013/12/09 1,424
329535 이사를 갑니다 2 비가오네 2013/12/09 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