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위계질서 지키려다 몸살 난다 ?

스윗길 조회수 : 1,008
작성일 : 2013-11-27 06:30:59

내 ‘위치’와 ‘자리’를 알면 예절이 보인다

 

위계질서 지키려다 몸살 난다?

 

‘예의 있는’사람은 대상과 상황에 맞게 행동할 줄 안다. 그러나 만나는 사람도 다양하고 상황도 복잡해 ‘예의 있는’사람 되기는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위계를 강조하다 자칫 권위적인 사람으로 찍히거나, 버릇이 없다고 예절을 가르치다 도리어 관계만 멀어지기도 한다. 또 예를 차리고 싶어도 방법을 몰라 난감한 경우도 발생한다. 어떻게 하면 내가 만나는 사람들에게 ‘예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위계’와 ‘질서’를 제대로 안다면 예의를 지키기가 더 쉽지 않을까.

 

 

조직 속에서 나는 어떤 위치?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예절. 내 주변 사람들을 떠올려보자. 어떻게 정리를 해야 할까. 간단한 이치만 알아도 정리하는 데 큰 어려움이 생기지 않는다. 위계는 지위나 계층을 가리키며, 질서는 사물의 순서나 차례를 뜻해 개념이 엄연히 다르다. 그리고 조직사회에서는 반드시 위계가 존재한다.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아라’고 했고, 예수 그리스도는 ‘상석에 앉지 말라’고 했다. 예의를 지키려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내 위치가 어디인지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가정에서는 부모와 자녀, 형제 등 세대차와 출생 선후차에 의한 위계가 있다. 아버지와 아들은 세대차, 형과 아우는 출생 선후차의 위계를 형성한다. 윗세대는 아랫세대를 사랑하고, 아랫세대는 윗세대를 효도로 모시는데 이것을 부자자효(父慈子孝)라 한다. 형은 아우와 우애하고 아우는 형에게 공순(恭順)하는데 이것을 형우제공(兄友弟恭)이라고 한다.

 

사회에서도 가정과 같은 위계질서가 있다. 사회에서는 나이, 지위의 고하에 따라 위계가 정해진다. 선현들도 이를 후대에 알리려고 글을 남겼다. 맹자의 가르침을 들어보자.

 

“조직사회에서는 직급을 최우선으로 하고, 일반 사회생활에서는 나이를 최우선으로 하고, 세상을 바르게 하고 백성의 어른이 되는 데는 학문과 덕성을 최우선으로 해서 위계를 정한다.”

 

그러나 직급과 세대, 나이를 떠나 위계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선생님과 제자,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 앞선 사람과 뒤처진 사람의 예이다. 도움을 받는 입장인 사람들은 이끌어 주는 사람을 본받고 따라가야 한다. 이끄는 사람들은 모범을 보이고, 베풀어야 모두가 함께 갈 수 있다.

 

가정, 학교, 직장 등 조직사회에서 위계질서가 무시된다면 그 조직이나 사회는 와해가 되고 말 것이다. 위계와 질서는 조직 속에서 함께 사는 사람들이 약속해서 정하는 것이며, 이것이 곧 예절이다. 이 예절의 기초 중 기초는 ‘효도’이다.

 

우리 선조들은 사람이 태어나면서 갖게 되는 최초의 대인 관계 즉, 부모와 자식 간 관계를 ‘효도’라 했고, 이를 모든 대인 관계의 원초로 생각했다. 즉, ‘부자자효’이다. 내 부모와 내 자녀에게 부자자효를 잘 실천하고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답으로 과연 내가 ‘예의 있는’ 사람인지 생각해보자.

 

출처: 역사와 문화를 깨우는 글마루 11월호

 

IP : 61.106.xxx.117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3959 여섯살인데 뽀로로 좋아하는 아이들 있어요? 7 우직한에디 2014/01/23 1,057
    343958 현오석 ”경제 3개년 계획에 개인정보 대책 넣겠다”(종합) 6 세우실 2014/01/23 485
    343957 혹시일산사시는분 치항외과 양심적인곳 아시면 좀~ 7 질문이요 2014/01/23 734
    343956 역사 교과서 외국언론들 반응 폭발 ... 2014/01/23 832
    343955 죠스 떡볶이 좋아하는 분 있나요? 11 .. 2014/01/23 3,226
    343954 조선시대(18세기 후반정도에도)에 그리도 가난했는지.. 7 혹시 2014/01/23 1,787
    343953 보리굴비는 일반굴비와 조리법이 다른가요? 1 보리굴비 2014/01/23 3,133
    343952 댓글 테러 '좌익효수' 사건, 여섯달 만에 본격 수사 3 참 빨리도 .. 2014/01/23 492
    343951 이사들어가기 하루전에 청소하는게 좋을까요? 4 이사 2014/01/23 1,358
    343950 [CBS] 박원순, 3자대결에서도 압도적 선두 24 샬랄라 2014/01/23 1,230
    343949 이력서ㅜㅜ영화제 상영작을 영어로 뭐라고 그래요? 3 영화꾼 2014/01/23 873
    343948 초딩 학원비도 공제 되나요? 5 .. 2014/01/23 1,227
    343947 집에서하는 과외도 신고하고 세금내나요? 3 ... 2014/01/23 4,221
    343946 지금 티비에 나오는 문숙씨요 1 2014/01/23 1,815
    343945 제주특산물 택배붙일만한 2 제주 2014/01/23 738
    343944 터키 여행 가는건가 안가는 건가? 1 위메프 2014/01/23 976
    343943 세례명 좀 봐주세요~^^ 4 천주교 신자.. 2014/01/23 2,330
    343942 KT와 SK브로드밴드 속도차가 날까요? 5 안알랴줌 2014/01/23 866
    343941 개명후, 운전면허는 어떻게하나요? 2 운전면허 2014/01/23 1,512
    343940 전기세 하나씩만 줄여봐요. 11 .. 2014/01/23 2,679
    343939 부모님나이 1 연말정산 2014/01/23 424
    343938 전세세입자가 회사에서 전세금대출을 받아서 들어올때 2 홍시조아 2014/01/23 1,038
    343937 맘마미아에서 나오는 이영자씨네 집,,, 3 ㅇㅇ 2014/01/23 4,332
    343936 혹시 이전화번호 아시나요? 3 캐슬 2014/01/23 1,054
    343935 거짓말 들통나고 불륜 꼬리잡히고 '제2 힐러리' 웬디 데이비스의.. 7 대다나다 2014/01/23 1,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