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철도 산업 발전 방향, 4대강과 어쩜 이리 닮았는지

철도의 눈물 조회수 : 520
작성일 : 2013-10-21 18:18:13

신간] “철도 산업 발전 방향, 4대강과 어쩜 이리 닮았는지...”

18년 경력 현직 기관사, 『철도의 눈물』을 닦다

김지혜 기자  |  kukmin2013@gmail.com
 
 
 

지난 6월 27일, 철도노조는 89.7%라는 압도적인 찬성률로로 총파업을 가결했다. 보수언론은 ‘국민의 발을 볼모 삼았다’며 이들의 파업을 비난했다. 하지만 정작 “달리고 싶은” 것은 철도 노동자들이었다. 이들이 길을 따라 달리기를 멈춘 이유는 단 하나였다. 수서발 KTX 경쟁 체제 도입을 시작으로 한 정부의 철도 민영화 계획.

18년 동안 기차를 ‘몰아’온 기관사가 펜을 든 이유도 이 때문이다. 숙련 기관사이자 사회공공연구소 철도정책 객원 연구위원인 저자 박흥수 씨는 저서 『철도의 눈물』을 통해 “정부가 추진 중인 철도 산업 발전 방안은 4대강 사업과 놀라울 정도로 닮아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4대강 사업은 대운하가 아니라며 국민을 속였듯이 철도 역시 민영화가 아니라고 말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며, “만약 그들의 정책이 실현된다면, 4대강이 그랬듯 철도 또한 되돌릴 수 없을 만큼 황폐화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책을 통해 국토교통부 관료와 국책 연구원들이 주장하는 ‘효율’을 중심으로 한 경영 기법을 현장에서 쌓아온 지식과 관점을 통해 날카롭게 비판하며, 그 허상을 지적한다. 또, 민영화 안이 실현될 경우 벌어질 일들에 대해 조목조목 따지고 들어간다.

저자가 지적하는 내용은 이렇다. “철도 전문가들은 철도를 기차와 선로와 신호가 하나인 시스템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 한다. 철도 안전을 위해 관제권을 독립시켜야 한다는 국토부의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려면, 세계 최고 수준의 정시 운행율과 무사고 운행을 자랑하는 일본 철도가 왜 관제권을 운영 기관이 갖고 있는지 납득시켜야 한다.”

‘철도 오타쿠’라고 불릴 만큼 해박한 철도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저자가 풀어놓은 에피소드들은 이 책의 또 다른 매력이다. 저자는 “대부분의 역 승강장에는 시민들을 안내하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역무원들이 서 있”는 일본의 사례를 들며, 승객의 안전을 걱정한다. 또, “신선한 제철 음식, 우리 농산물로 만들어진 도시락을 먹을 수 있다는 ‘고정관념’이 생겼으면 좋겠다”는 낭만을 열차 가득 실어보는 꿈도 꾼다.

제 2차 철도 산업 발전 기본 계획에 투입되는 철도 에산은 49조 4천억 원. 22조 원이 투입된 4대강 사업이 재앙으로 드러나고 있는 지금. 인천공항 철도, 민자 고속도로, 지하철 9호선, 그리고 KTX로 이어지는 철도 민영화 사업. 저자는 책을 통해 묻는다. 과연 누구를 위한 민영화인가.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1769
IP : 115.126.xxx.9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0029 역사학자 전우용 트윗.twt 2 맞는말씀 2013/12/12 1,252
    330028 사람만나기가 무섭네요 3 ..... 2013/12/12 1,337
    330027 겨울되면 스노우타이어로 많이 바꾸시나요? 3 눈무서 2013/12/12 1,032
    330026 세타필 or 피지오겔 17 해피해피 2013/12/12 6,029
    330025 독일 大등록금 완전폐지…한국은 ‘반값 공약’도 사라져 13 열정과냉정 2013/12/12 1,210
    330024 화사한 파운데이션!!! 32 뎅굴 2013/12/12 6,046
    330023 현재 상황 어떤가요?? 7 2013/12/12 1,496
    330022 스탠드형 사용하고 있는데 벽걸이로도.. 1 텔레비젼 질.. 2013/12/12 817
    330021 자신감 없는 6세 남아 아이 운동 시켜주면 좀 괜찮아 질까요? 1 어쩔 2013/12/12 1,107
    330020 살면서 나쁜사람을 만났을 때 어떡해야하나요?? 25 00 2013/12/12 4,555
    330019 초등3학년 내년교과서 변경? 4 .. 2013/12/12 1,093
    330018 서울 노원도 눈 겁나 내리네요 1 무섭다 2013/12/12 885
    330017 금, 토, 일요일 3일 연속으로 집들이를 합니다. 12 집들이 2013/12/12 2,225
    330016 패션에 관심 많으신 분들은 이것도 괜찮아요! 알파팀 2013/12/12 1,001
    330015 가죽부츠좀 봐주세요 4 ㅇㅇ 2013/12/12 1,213
    330014 '종북 딱지' 막 붙이다 큰코다친다 세우실 2013/12/12 751
    330013 [뉴스] 투투 출신 가수 김지훈 사망...txt 20 .. 2013/12/12 14,350
    330012 왼손만 유독 차요. 5 왼손걱정 2013/12/12 6,085
    330011 심리과학 다큐 -행복에 이르는 10가지 길. 8 ........ 2013/12/12 2,361
    330010 檢 약학정보원 압수수색, 개인의료정보 불법 유출 혐의 4 퍼옴 2013/12/12 612
    330009 175만 폐지수집 노인에 지하경제 양성화? 벼룩의 간을 빼먹네 2 참맛 2013/12/12 847
    330008 차에 눈이 엄청 쌓였네요. 눈 치워야겠죠? 8 고민 2013/12/12 1,105
    330007 카페 글 캡쳐 못했는데 신고 가능한가요? ^^* 2013/12/12 565
    330006 새누리와 정부에서 부정선거 의혹에 관해 한 번이라도 해명한 적 1 솔직히 2013/12/12 511
    330005 아들의 입영통지서 10 무아 2013/12/12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