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린이집 소풍가면 선생님은 따로 도시락 싸오시나요?

소풍도시락 조회수 : 1,615
작성일 : 2013-10-17 13:29:01

아니 자꾸 선생님이 애들이 많이 먹는데 양이 부족하다고

담번부턴 좀 많이 싸달라고 하시는 전화를 두번이나 하셨는데요..

 

처음 전화받고는 알겠다하고

작정하고 엄청 보냈거든요?

김밥양은 그냥 평소랑 똑같이 보내고 대신

과일이랑 메추리알로 꼬치 만들어서 싸면서 친구들하고 나눠먹으라고

엄청 큰통에 넣어서 보냈어요.

 

근데 그날도 소풍끝나고 선생님이

이번에도 모잘라서 다른반 친구꺼 나눠 먹었다며

애들이 원래도 많이 먹는데 소풍가면 더 먹는다고 먹을만큼 싸달라고 신신당부를 하시더라구요ㅠ

 

아니 애들이 집에서 먹는양을 제가 아는데..

밖에서는 더 많이 먹을수 있으니깐

남겨서 버릴꺼 염두에 두고 많이 쌌는데도 그러니..

 

아예 이번엔 도시락통을 큰걸로 바꿔서 보냈는데..

또 모자랐을까봐 조마조마 하네요..

(선생님 입장에선 완전 짜증날일 이잖아요..)

 

근데 한편으론 혹시 선생님이 안싸오시고 애들껄 같이 드시나..

싶은 생각도 들어요.

정말 애들이 다 못먹을양을 보내는데도 부족했다 하시니깐요..

그리고 애들한테 친구들하고 나눠먹었냐고 물어보면(일전에 작정하고 많이 싸준날)

나눠 먹었다고 했거든요? 근데 선생님은 우리애들이 다 먹고도 모잘랐다고 하고;;

 

IP : 61.74.xxx.24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0.17 1:41 PM (61.73.xxx.170)

    이상하긴 하네요.
    유치원애들 많이 안먹거든요.

    우리애 어린이집은 소풍갈 때마다 많이 싸주면 남기니까 먹을 만큼만 싸시라고 신신당부하던데요.

    선생님보다는 도시락 안싸온 애들까지 같이 먹는 거 아닐까요.

  • 2. 나야나
    '13.10.17 2:03 PM (211.36.xxx.169)

    선생님들은 다 원에서 준비하구요 애들도시락은 거의 남아요 과자를 더 잘먹어서요 그정도 양이면 뭔가ㅇ이상하네요 다른 아이와 착각하신게 아닐까요

  • 3. ...
    '13.10.17 2:09 PM (61.33.xxx.130)

    평소에 원에서는 잘 먹는 아이들도 밖에 나가면 흥분하기도 하고, 과자 음료수에 마음을 뺏겨서 도시락 남겨오는게 대부분인데.. 좀 이상하네요.

    저희도 선생님들은 원에서 도시락 준비하는것으로 알고 있어요.
    며칠 지난 다음에 살짝 물어보시면 어떨까요

  • 4. ...
    '13.10.17 2:15 PM (175.194.xxx.77)

    애 셋 키웠어도 도시락 다 먹고오는 날이 거의 없는데 이상하네요
    오히려 더 못먹고 남겨오던데요

  • 5. ..
    '13.10.17 2:41 PM (119.194.xxx.204)

    소풍가면 오히려 집에서보다 조금 먹어서 조금씩만 싸라고 얘기하시는데 좀 이상하긴 하네요.
    과자도 먹고 그러느라 애들이 다 남겨서 남는것만 집어먹어도 배부르다고 선생님 도시락 절대 챙겨주지 마시라고 하던데요.

  • 6. 헐~
    '13.10.17 2:50 PM (61.74.xxx.243)

    답글들 읽을수록 더 이해가 안가는 상황이네요..
    이번에도 모자르다고 하면 정말 3단 찬합에다 싸줄까봐요.

    저도 출근해야해서 아침에 애들 아침에 먹을꺼 한줄씩 두줄.
    싸서 보낼꺼 두줄씩 네줄.(과일이랑 간식은 별도로 한통씩 챙겨주고요. 우유도 200짜리 한통씩 보내요.)
    우리부부 먹을꺼 두줄.
    총 8줄 싸느라 재료준비를 다 해놓고 싸기만 하는것도 시간이 촉박한데..
    싸야할 양이 점점 늘어나니..

  • 7.
    '13.10.17 4:04 PM (121.100.xxx.32)

    선생님한테 왜 그러시냐고 물어보세요.
    우리 아이 먹을양만 적당히 싸가는거 아니냐고,, 친구들먹을양까지 다 싸가야 하냐고 되물어보세요.
    전 지금까지 한번도 많이 싸보낸적 없어요. 도시락하나에 과자한봉지 물하나 요구르트 하나 이렇게만 보냈는데
    한번도 그런말 들은적 없구요. 오히려 애들은 밖에서 흥분해서 잘 안먹으니까 너무 많이 보내지 말고
    간단하게 보내라고만 하던데요.

  • 8. 예전에
    '13.10.17 4:09 PM (116.41.xxx.233)

    아이 어린이집에서 캐리비안베이로 물놀이간적이 있었는데..어린 아이들이라 부모님동반도 가능해서 제가 같이 가보니...그 어린이집은 선생님들 도시락은 김밥천국같은 김밥집에서 싼 기본김밥인 듯 했어요..
    그마저도 인원수에 맞춰서 원장님이 사온 듯 했구요..
    선생님들이 돌아다니면서 아이들 잘 먹나 확인하면서 맛있겠다..이런 식으로 반응하면 꼬맹이들이 주르륵 김밥을 주더라구요..따로 선생님도시락 챙겨온 학부모들도 있구요..
    결국 사온 김밥은 남던데요..

  • 9. 좀전에 여쭤 봤어요.
    '13.10.17 4:41 PM (61.74.xxx.243)

    선생님이 누누히 저희 애들이 많이 먹어서 모자르다는데(선생님이나 다른친구들은 같이 먹지 않았다고 했구요) 또 왜그러시냐 물어보기 그래서

    이번엔 모자르지 않았냐고만 물어봤어요.
    딱! 맞았다고 하네요ㅋㅋ(애들 먹을꺼라 좀 얇게 싸긴 했지만 그래도 김밥천국 김밥의 2/3정도 굵기는 되는데..)
    두줄씩 보냈거든요.(과일+참붕어빵1개+우유200ml도 같이요)
    앞으로 두줄 반씩 보내야 할까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1534 윤석열 “상관이 물고문 해서 자백 받아 내라고 지시하면 따르나”.. 7 소신 있는 .. 2013/10/22 1,497
311533 대합조개 미역국 맛있네요! 5 오오~ 2013/10/22 1,595
311532 왕초보 2 차선읽기 2013/10/22 487
311531 여섯살 아이가 유치원가기전 어리광부리는거 자연스러운건가요?? 5 알다가도모르.. 2013/10/22 911
311530 한창 반항하는 고등학생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3 뽀로로32 2013/10/22 2,532
311529 남자초등학생 공기놀이 못하나요? 6 트트 2013/10/22 901
311528 생각지도 못한 사람들이 자꾸 꿈에 나타나는 이유가 뭘까요 .. 1 마카오 2013/10/22 11,361
311527 서울교육청, 국정원 규탄 집회 중고생 사찰 논란 1 샬랄라 2013/10/22 942
311526 새누리 의원 “국정원 댓글 달면 안되냐”에 기자들 웃음 ‘대박’.. 7 세우실 2013/10/22 1,412
311525 간 전문 병원 2 도와주세요 2013/10/22 6,776
311524 설탕대신 꿀 듬뿍 넣는거 어때요? 13 요리할때 2013/10/22 2,992
311523 장판 새로 하려는데 색상 문의해요~~ 5 케이트 2013/10/22 1,074
311522 무료벨소리 1 벨소리 2013/10/22 611
311521 흑형한테 개 발리는 신용재 우꼬살자 2013/10/22 782
311520 홈쇼핑 판매중인 '영양왕'지름신 왔어요. 7 지름신 2013/10/22 2,349
311519 시댁,친정 둘다 안간다는 남편 문제있는건가요??? 15 schwer.. 2013/10/22 2,623
311518 관리가 안되나보네. 2 밀월관계끝?.. 2013/10/22 1,162
311517 네네치킨 파닭 맛있나요 ? 4 ㅇㅇ 2013/10/22 2,149
311516 방송국의 취재부 취재국장을 뭐라고 할까요? 1 영어로 2013/10/22 405
311515 임신23주...브라 안해도 될까요? 5 선배니님들 2013/10/22 1,581
311514 오쿠로 한방차끓이기 괜찮을까요? 1 오쿠 2013/10/22 1,131
311513 중1 영어과외 6개월 되었는데 숙제도 항상 안하면 그만 두는게 .. 8 판단 안서요.. 2013/10/22 1,556
311512 무료벨소리 벨소리 2013/10/22 342
311511 수서분들 알려주세요 궁금 2013/10/22 439
311510 서울시 국정감사 생중계!! 봉봉테라피 2013/10/22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