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발암위험도 높은 이유 설명 않고, 송전탑과는 무관? ...이상하다

최대 34 조회수 : 500
작성일 : 2013-10-10 11:32:29

발암위험도 높은 이유 설명 않고, 송전탑과는 무관? ...이상하다”

전자파, WHO 위험 기준 2~4 vs. 밀양 송전탑 최대 34

김지혜 기자  |  kukmin2013@gmail.com
 
 
상대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다 높게 나오는 것에 대한 설명을 해 줘야 된다. 그런데, 그런 것에 대한 설명 없이, 결론에서는 고압 송전선로가 그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니 이상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10일 국민TV라디오에 출연해, 송전탑과 발암 가능성을 조사한 연구 보고서의 결과를 정부가 왜곡했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에 대해 이와 같이 지적했다.

최 소장은 <노종면의 뉴스바>에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154kV와 34kV 두 종류의 고압 송전선로 주변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암 발병 양상 조사를 한 것으로, 일종의 역학 조사”라고 보고서를 설명했다. 해당 보고서는 산업부(전 지식경제부)의 의뢰로 서울대 의과대학이 주관기관, 단국대가 참여기관으로 참여해 작성한 것으로, 지난 8월 발간됐으나 국민에게 공개되지 않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송전탑 인근의 67개 마을의 암 발병 위험도를 송전탑과는 떨어진 지역(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남성의 경우 상대위험도가 높은 곳이 35곳, 여성 27곳, 남녀 모두 상대위험도가 증가한 곳이 24곳”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고서는 “고압 송전선로가 영향을 줘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보이지는 않는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최 소장은 “한전이 직접 작성한 「가공송전선로의 전자파 노출량 조사 연구」 보고서를 보면, 154kV (송전탑이) 최대 14mG, 345kV가 최대 22mG. 765kV는 최대 34mG"의 전자파가 나온 것으로 조사됐다며, 또 다른 연구 보고서의 내용도 언급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암 가능성으로 지정한 전자파 기준이 실제로는 2mG~4mG”인 것을 고려하면, 밀양에 건설될 765kV 송전탑의 경우 최대 17배 이상의 전자파가 나오는 것이다.

최 소장은 “지금 말씀드린 두 가지 보고서는 최근에서야 국회를 통해서 겨우 공개”됐다며, “정부에서 국내에서 연구된 내용을 정확하게 공개해서, 공개된 내용이 비록 제한적이라고 하더라도, 그대로 내놓고 같이 걱정하고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1556

IP : 115.126.xxx.9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6553 대구 실종 아이 찾았다는 소식. 4 ........ 2013/10/11 3,046
    306552 1억 대출 받아서 집 구입... 1 시밀란 2013/10/11 1,795
    306551 담배는 마약, 국가는 담배장사 멈춰라 1 바람직 2013/10/11 478
    306550 꽃보더 할배보는데요 이서진 진짜 고생했네욬ㅋㅋㅋ 6 ㅋㅋㅋ 2013/10/11 3,820
    306549 양파즙 어디서 사먹는게 제일 나을까요? 3 궁금 2013/10/11 1,554
    306548 朴 "김정일 위원장은 가식 없어"..2002년.. 3 // 2013/10/11 1,374
    306547 에스프레소 머신 가지신 분들께 여쭤봐요 12 그래 나 무.. 2013/10/11 3,084
    306546 이혼하면, 함께 들어두었던 보험들은 어찌 처리하는지요 6 정리 2013/10/11 1,522
    306545 상수역 주변 와인 구입처? 1 저도 와인... 2013/10/11 742
    306544 신성일 비난하는 사람들 보세요. 32 ㅡㅡa 2013/10/11 7,866
    306543 가을여행지 추천해주세요.배도 타고싶어요 6 ㅇㅇ 2013/10/11 1,517
    306542 굵은 멸치와 잔멸치의 차이는 종류차? 성장차?? 2 멸치야 2013/10/11 1,263
    306541 EBS인강으로 충분하다는 분들? 5 5학년 학부.. 2013/10/11 2,366
    306540 30개월 아이 하루종일 뭐하나요? 4 몰라너 2013/10/11 1,030
    306539 발목을 접질러서요..검색해보니 생콩가루 바르면 통증에 효과가 있.. 6 콩콩이언니 2013/10/11 791
    306538 상속자들.... 3 조지아맥스 2013/10/11 1,804
    306537 중학교 담임선생님 상담시 드릴 선물로 뭐가 좋을까요 2 학부모 2013/10/11 4,312
    306536 허리 사이즈 질문 좀 할께요 3 땡사슴 2013/10/11 845
    306535 코골이 수술은 보험 몇종인지? 보험금 수령 관련 문의^^ 4 궁금이 2013/10/11 3,926
    306534 옷차림이 올드해서.. 펑합니다^^; 30 김야옹 2013/10/11 4,036
    306533 일시불 납부한 강습비 환불받을시 금액 산정방법이 어찌되나요? 궁금이 2013/10/11 520
    306532 수지가 여성입장에선 동경의대상은아니죠 11 ㄴㄴ 2013/10/11 2,504
    306531 친구 웨딩촬영을 가게 되었습니다. 5 88 2013/10/11 2,564
    306530 사람은 안바뀌나바요 1 사람은 2013/10/11 703
    306529 타지마할 묘당의 비화 12 비밀 2013/10/11 3,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