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공동명의에 여쭤봅니다.

아파트 조회수 : 1,710
작성일 : 2013-10-10 00:50:06

아파트 공동명의할때와 한사람명의 할때 차이나는점이있나요?

예전에 얼핏 공동명의로하면 세금을 더많이 낸다고 들은거 같기도하구요.

잘몰라서 여쭤봅니다.

 

IP : 180.224.xxx.18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세금
    '13.10.10 12:50 AM (58.227.xxx.187)

    똑같구요
    오히려 양도세는 두 사람이 나눠내게 되니까 적게될 가능성이 있구요.

  • 2. 그게
    '13.10.10 12:58 AM (39.114.xxx.24)

    한사람이 또 다른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면
    한사라은 1가구2 주택이 되어
    매도시에 양도세를 더 내게 됩니다

  • 3. 그게
    '13.10.10 12:58 AM (39.114.xxx.24)

    한사라---한사람으로 정정

  • 4. 간단설명
    '13.10.10 3:49 AM (121.138.xxx.121)

    부부간 증여는 10년동안 6억까지 비과세라는 것이 키포인트예요.
    예를 들어 볼게요.

    3억에 취득한 아파트 값이 올라서 6억이 되었다고 해봐요.
    양도차액 3억에 대한 양도소득세는 약 30% 정도되니 1억을 세금으로 내야죠.
    그런데 10년동안 6억 증여 비과세이니까 남편->아내 명의이전해도 증여세 0원이에요.
    그러면 취득가액이 증여시점 가격인 6억이 되니까 6억에 매도해도 양도소득세 역시 0원이죠.
    그런데 이렇게 하시려면 증여후 5년 이후에 매도해야 합니다.
    만일 증여후 5년내 매도하게 되면 원래 취득가액인 3억으로 양도소득세를 산정하니까 아무 소용없어요.

    남편 소유 부동산 임대소득세가 최고세율인 35% 적용받고 있었다면
    공동명의로 하면 20%로 내려갈 가능성도 많죠.

    연이율 2.4% 예금에 10억 예치해 놓았을때도 마찬가지에요.
    금융소득이 2400만원 발생하면 금융소득종합과세가 15%라서 360만원 내야해요.
    그런데 이걸 각각 5억씩 분산하면 1200만원이 되어서 최저세율인 6%만 내도 되니까
    금융소득세가 (1200만+1200만)*6% = 144만원으로 줄어들죠.

    그러니까 10년 6억 기준으로 해서 부부 공동명의로 왔다갔다하면서 절세할 수 있어요.
    무엇보다 재산을 부부가 공유하고 있다는 법적인 확인이니까 문제없는 부부사이라는 증거도 되구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0031 괴산 갈은구곡 ‘십자가 못박힌 예수’ 형상 2 호박덩쿨 2013/10/18 771
310030 노안 왔는데 아이폰 쓰는 분 계세요? 10 ㅇㅎㅎ 2013/10/18 2,063
310029 생중계 -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 현장 실황. lowsim.. 2013/10/18 521
310028 '박근혜 SNS 선거운동' 서강동문모임 임원들 집행유예 2 여론조작당선.. 2013/10/18 492
310027 단호박 스프 만들려고 하는데요.... 4 스프 2013/10/18 1,384
310026 참 가지가지하네요. 국정원 직원이 마약밀수하다 걸렸네요 6 .. 2013/10/18 1,077
310025 아직도 꿈나라네요. 개교기념일 2013/10/18 303
310024 고들빼기가 원래 좀 단가요? 8 ㄷㄷㄷㄷ 2013/10/18 1,008
310023 기다린 보람이 있나요...노트2 5 노트 2013/10/18 1,253
310022 죽은 새가 밥솥에서 나온 꿈 새꿈 2013/10/18 896
310021 담낭 용종에 대해서 아시는분 계신가요? 3 담낭용종 2013/10/18 2,515
310020 푸켓, 발리 이런 곳에도 벌레가 많겠죠? 12 여행 2013/10/18 3,899
310019 상속자들 꽃보다 남자 후속 아닌가요? 7 구준표 2013/10/18 2,553
310018 불맛낼수있는 볶음밥용 웍은 무엇을 써야할까요? 8 저요저요 2013/10/18 2,282
310017 가려운데,긁지않는게 가능한가요? 8 가려워 2013/10/18 1,071
310016 안 입는 한복, 안쓰는 안경 어떻게 정리하시나요? 4 승구마미 2013/10/18 2,030
310015 일산 vs 도봉구 창동 어디가 좋을까요 29 ... 2013/10/18 4,225
310014 아들때문에 맨날 재채기해요. 엣취 2013/10/18 547
310013 제가 대신 선물드려요 제니 2013/10/18 383
310012 이 상황을 어떻게 파악해야될까요? 1 알랑가몰라 2013/10/18 525
310011 산에가니 날아다니는 초1^^ 1 ........ 2013/10/18 641
310010 발매트 얼마나 자주 빠세요? 4 맹랑 2013/10/18 1,365
310009 방사선 치료여쭤요 3 빈맘 2013/10/18 848
310008 맞춤법 고쳐주는 글 너무너무 고맙네요 23 가네가을 2013/10/18 1,512
310007 검찰, ‘대선 트위터 글’ 국정원 직원 3명 긴급체포 4 light7.. 2013/10/18 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