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에 TV 없는경우..

콩쥐 조회수 : 2,587
작성일 : 2013-09-13 10:19:28

집에 TV를 과감히 없애신분 생활하기 어때요?

아이들을 위해서 TV 없앨까싶은데..

참..고민되네요..

IP : 58.87.xxx.22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독수리오남매
    '13.9.13 10:22 AM (58.232.xxx.182)

    몇달전에 텔레비젼 없애버렸는데요.
    무지 심심할것 같았는데 텔레비젼 없어도 책 읽고 노래듣고 얘기하고 그러니까 그런대로 괜찮네요.

  • 2. ㅡ,ㅡ
    '13.9.13 10:24 AM (203.249.xxx.21)

    저희 같은 경우는 아무 지장없어요...

    다만 인터넷이 있으니...아이는 보고 싶은 건 다 보네요...ㅜㅜ

  • 3. 티비를
    '13.9.13 10:28 AM (211.36.xxx.75)

    티비가 너무 비싸고 새거라서 없애지는 못하고 플러그 빼 놓고 아이들한테 고장났다고 했어요
    그렇게 지낸지 이년이네요
    티비 없으니까 책보거나 공기놀이하고 딱지치기 하고 수다 떨며 노네요 초딩 남매
    너무 만족해요
    dvd로 영어공부 못하는 거 빼곤 만족해요(오디오에도 라디오소리에도 귀 솔깃 너무 좋아하네요)

  • 4. 티비
    '13.9.13 10:29 AM (14.55.xxx.30)

    저희 집 없앤지 몇년 되는데요. 일단 집이 너무 조용해서 좋구요.
    또 요즘은 티비 없어도 인터넷으로 재밌는 것은 다운 보니까 그렇게 심심하지는 않아요.
    그런데 인터넷으로 보면 광고를 안보게 되어서 식구들이 음식점이나 영화관에서 광고 나오면 재밌다고 넋을 놓고 봐요. 꼭 시골에서 도시 구경 온 사람들처럼요.

  • 5. 예외
    '13.9.13 10:39 AM (112.217.xxx.67)

    아이가 유치원생이거나 초등 저학년이면 티비 없어도 괜찮아요. 7살 딸아이는 티비 없어도 혼자 그림그리고 책보고 잘 놀았어요.
    그런데 고학년인 큰 애는 인터넷이나 디엠비 몰래 봐요.
    그래서 없앤 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그런 생각이 들더라구요.
    저도 처음에는 책읽고 집안일 하고 그랬는데 시간이 지나니 멍때리고 천장보고 누워있고요.
    조용하다 못해 적막하니 주말 낮에는 집에서 잠자는 횟수가 늘어나구요.

    사람들 만나면 소소하게 웃는 게콘 유머 코드에 대해 반응이 없어 저만 사람들이 무슨 말 하나 쳐다보고 있고, 뉴스나 날씨 이런 거 인터넷 말고 티비로 보고 싶어지더군요.

    그래서 요즘에는 정규채널만 나오게 유선 없애고 살아요. 티비 수신료만 내구요.
    엄마, 아빠가 단호한 성격에 학구파이거나 차분하고 조용한 스탈 아니고서는 없애는 게 꼭 능사만은 아니더라구요.
    인터넷으로 보면 눈도 아프고 쉬 피로해지고 ... 티비 같이 리모콘 잡고 있는 게 아니라 내가 보고 싶은 거만 보는 장점이 있을 수도 있지만 찾아서 보는 것도 스트레스더군요.

  • 6. 난시청
    '13.9.13 10:57 AM (211.210.xxx.62)

    난시청지역이라 우연히 캐이블이 끊긴후 3년간 TV를 못보고 살았어요.
    중요한 경기 있는 날은 네비게이션 떼어다가 보고 PC 이용하고 그랬어요.
    별로 불편하거나 시대에 뒤쳐진다거나 하는건 없었는데
    다시 시청하고서는 너무 좋더라구요.

    사실 현대시대에 편리한 기기 중의 하나가 바로 TV라고 생각하거든요.
    너무 보는건 아니라 생각하지만 나가서 영화도 보고 연극도 보고 집에서 PC로 놀로 스마트폰으로도 놀고 그러듯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오락거리라 생각해요.
    가격대비 훌륭한 가전제품 중 하나에요.

  • 7. 파란하늘
    '13.9.13 11:12 AM (113.216.xxx.231)

    tv 없앴는데 전혀 불편한 게 없어요.
    싱크대 앞에 tv가 있는데 식탁에 앉아 시청이 가능해서 그런가 싶기도 해요.
    전 주로 저녁식사준비하면서 보고 신랑은 축구하는 날이나 보고 싶은 거 있을때만 봐요.
    좋은 점은 쇼파에 앉아 의식 없이 tv를 보는 일이 없어졌어요.
    특히 주말이나 저녁시간 편하게 앉아 있다보면 그냥 tv를 보고 있을때가 많잖아요.
    그 시간에 음악을 듣거나 책을 보게 되고 아이와 놀아주는 시간이 늘어났어요.
    그리고 원래 tv를 많이 보는 편이 아니었는데 전기세 줄어든 게 보여요.

  • 8. 저요저요
    '13.9.13 11:29 AM (211.182.xxx.2)

    고등,초등 아들 둘 엄마예요.
    저희는 없앤지 - 정확히 말하면 TV수신료 안낸지 - 4~5년 됐어요.
    수신료랑 아파트 단체 유선비를 안내니까 돈 만원은 일단 절약되구요.
    TV수상기는 안방에 있어요. DVD때문에 반드시 필요하거든요.
    꼭 봐야 생방으로 봐야 될 경우에는 컴퓨터로 실시간ON 보면 되거든요.
    데스크탑 모니터가 24인치라 화면도 크고 좋아요.
    좋은 다큐멘터리나 좋은 방송은 시간날 때마다 찾아 보고 있어요.

    딴 길로 샜지만....
    일단 TV없으면 가족간에 말이 많아지게 돼요.
    단, 모든 가족의 동의가 있어야 가능하겠지요.
    티비대신 라디오를 많이 듣게 됩니다.
    거실에는 항상 클래식 주파수에 맞춰놓고 부엌에는 일반 주파수를 맞춰놔서 뉴스나 연예기사 등 접하게 됩니다. 그러니 청각이 예민(?)해지는 것 같고 늘 클래식을 들으니 마음이 평온해진다는 느낌이 들어요.
    아이들도 클래식을 늘 접하게 되니 음악회라든가 지루할 것 같은 국악 가락에도 익숙해집니다.

    아이가 학교에서 유행프로그램이라든가 연예가 소식을 몰라 혹시 왕따당하지 않을까 걱정하시지 않아도 되는게 외식이나 다른데서 티비를 볼 기회가 있으면 집중(?)해서 보기때문에 집중력도 높아지는 것 같아요.
    짬짬이 학교에서도 매체를 이용한 수업도 하고 선생님들이 유행가요도 많이 틀어주시고 친구들이 얘기하는 것도 더 집중해서 듣게 되고.....저희집 경험담입니다. 하여튼 집중력이 놓아진것 같애요. 학계에는 발표되지 않았게지만 ㅎㅎ

    일주일 중 유일하게 챙겨보는 프로가 개그콘서트인데 큰 아이 시험기간에는 자연스럽게 안 보는 걸로 의견이 모아졌는데, 시험 끝나면 또 개콘보는 재미도 생기고 그런 식으로 시험에 대한 보상(?)을 해 줍니다.
    저도 맞벌이인데, 티비가 없으면 퇴근 후에 무슨 재미로 사느냐고들 많이 하세요.
    퇴근 후 얼마나 바쁜데요..저는 직장맘들이 티보보고 할 시간이 나는지 제가 다 물어보고 싶어요.
    제가 일손이 느려서일수도 있지만요.
    젊은 사람들 중에 의외로 조용한 걸 못 견디거나 습관적으로 집에 들어가자 마자 티비부터 튼다는 사람들이 많아요. 할머니할아버지들처럼요 ㅜㅜ

    장점은 경제적이고(수신료,유선방송료,전기세), 확실히 가족간에 대화가 많아지고 풍부해지고, 책을 읽을 여유가 생기고(어른,아이 다...), 공부할 시간이 늘어나고, 영화보러 극장에 자주 가게 되고(이건 비경제적이랄수도 있지만...), 그래서 또 다시 대화거리가 많아지고 가족간 유대관계가 좋아지고....이렇게 선순환됩니다.
    시간이 많아지니까 소소하게 아날로그식으로 놀 거리가 늘어납니다.
    - 이상 저희집 사례입니다. 그래서 저는 강력 추천합니다.

  • 9. 영화
    '13.9.13 9:14 PM (210.117.xxx.209)

    티브이가 있지만 거의 틀어있지 않아요 위치도 안방에 넣어두었구요 없애지 못하는건 큰화면으로 가족이 다같이 영화보는걸 좋아해서요
    어릴때부터 티브이를 잘 안틀어주어서 애들도 안찾아요 단 고학년되면 친구들 사이에서 연예인이나
    예능프로 얘기할때 소외되기도 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 10. ..
    '17.3.27 12:45 AM (210.178.xxx.230)

    tv 없는 거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9151 내년에 광명에 이케아 들어온다고 하던데... 가격 비싼건 당연할.. 20 이케아 2013/09/17 3,106
299150 채군의 아버지 전상서’ 칼럼에 분노의 패러디 쇄도 16 최영해 아버.. 2013/09/17 3,889
299149 20대랑 50대가 같이 들 가방? 1 추천해주세요.. 2013/09/17 1,164
299148 타이어 교체할때 하나씩은 안돼나요? 3 궁금 2013/09/17 1,845
299147 강동구 상일여중 근처 사시는 분..학군관련 알려주셔요. 4 .. 2013/09/17 2,118
299146 나쁜 삼신 할매 7 ㅇㅇ 2013/09/17 1,864
299145 수련회 갈 때 어떤 가방 가져 가야되나요? 3 초등5학년 2013/09/17 1,532
299144 길고양이 사료 뭘 사면 되나요? 8 00 2013/09/17 1,308
299143 춘천베*스호텔질문여?? 2 호야맘 2013/09/17 944
299142 옆에 광고로 뜨는 씨앗비누인지 뭔지... 효과?? ,. 2013/09/17 2,418
299141 의회주의 저주하는 대통령 결론은 다 망통 1 시사애너그램.. 2013/09/17 881
299140 방사능오염없는 식재료 공급조례 다행이지만 팥소없는 찐빵꼴 아쉬워.. 녹색 2013/09/17 1,025
299139 남편이랑 점심 먹기로... 9 명절 2013/09/17 3,452
299138 학생인데 교수님께 장학추천서를 받아야 하는데 선물 4 2013/09/17 1,333
299137 아이들 잃어버리는거 순간인거 같아요. 14 잠든아이도 .. 2013/09/17 5,222
299136 올드싱글들의 노후준비 2 싱글 2013/09/17 2,600
299135 새우전 하려는데요 칼집을 배?등? 어디에 넣나요? 9 새우전?? 2013/09/17 2,148
299134 긴급질문 1 화장실 2013/09/17 985
299133 오늘 에버랜드에 가신분.?가실분? 사람 많은가요? 5 오늘 2013/09/17 1,379
299132 대한민국의 앞날이 두렵습니다. 2 슬프고 아픕.. 2013/09/17 1,224
299131 중학생 동아리 문제 12 dma 2013/09/17 1,365
299130 학생에 신고당한 대학강사 “자본론 저술이 반미‧반자본주의인가 9 일맥상통 2013/09/17 2,019
299129 코베아 구이바다 처럼 전기사용이 가능한 제품 추천부탁해요. 코스모스 2013/09/17 1,597
299128 척추관절병원갔더니 바로 실비보험들었냐고 왜 물어보나요? 8 ^^* 2013/09/17 4,455
299127 어떤게 더 최악인가요.. 6 최악이다 2013/09/17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