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건축학과 공부 후 향후 진로에 대해 말씀 좀 해 주세요.

자소서 조회수 : 3,859
작성일 : 2013-09-12 21:18:37

건축학과 입학 후 학업계획과 향후 진로 계획에 대해 자소서에 적어야 되는데 쓸 말이 없습니다.

먼저 가신 선배님들이나 아시는 분 계시면 좀 도와 주세요. 

IP : 118.45.xxx.104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9.12 9:30 PM (119.69.xxx.48)

    90년대 초중반 인기 있었는데, 전공자들이 그러더군요.
    겉보기에만 그럴 듯해 보이는 대표적 전공이라고... 전망도 그닥...
    그땐 정말 물리, 컴공, 건축이 의예과보다 점수도 높았다죠.

  • 2.
    '13.9.13 11:12 AM (211.235.xxx.125)

    건축이야말로 소명의식없이는 절대 못해요.
    가서 실망하는게 많을거에요.
    건축 전공하면서 들이는 시간과 노력으로
    정말 의대도 갈수있을거 같아요. 반면 졸업후 전망은..
    특히 여자분이시라면 더욱 말리고 싶네요.

    그래도 정 가고싶다면
    건축은 생각보다 철학이 중요합니다.
    저도 전공때 배운건 공간에 철학을 담는 법.
    정말 뜬구름잡는것 같은 느낌..
    나만의 철학을 공간에 아름답게 표현하기가 정말 어려워요.
    철학, 미학, 기술적인 부분 전반적으로 많은 공부가 필요하고
    건축 거장들의 사례를 많이 보고 접하세요.
    여행도 그런 위주로 하시고.

    사실 졸업생들끼리 잘된 케이스라고 하는건
    대기업이나 공사 취업이지만 교수들은 '건축가'가 되길 원하죠.
    건축가 되려면 건축사무소 가서 설계를 몇년동안 익혀야되요.
    야근, 철야, 박봉 각오하시구요.

    평생 고생길입니다.

  • 3. ...
    '13.9.13 3:54 PM (211.246.xxx.247)

    진로는 1. 설계사무소가서 몇 년 고생하다 유학간다.
    (돈은 엄청 들이고 별다른 결과는 없어요. 하버드 박사 시간강사도 많으니 원...
    좋은 설계사무소 가야 프로필이 빵빵해지나 들어가기가 힘들다.)
    2. 설계사무소에서 고생 고생하며 경험쌓고 건축사 시험본다.
    (자격증 따야 본인 사무실 차릴 수 있어요.)
    3. 대기업 시공사 들어간다. 연봉은 높은 편이나 실무할 기간이 짧은 편이다.
    4. 다짜고짜 유학간다?
    실무 경험없이 가는 경우는 흔치는 않아요. 좋은 데 가기도 어렵고요.

    공통점. 어딜 가나 고생길이다 ㅎㅎㅎ
    좋은 시절 다 지났죠. 또 올 지는 잘 모르겠네요.
    돈이 있고 인맥이 있어야 그나마...
    제가 아는 국내 굴지의 설계 사무소 현 사장 아드님도 같은 업계에 있는데요,
    결혼하는데 대출받아 하더라고요...깜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0228 일요일 저녁에 불러 내는건 이해 불가. . 1 2013/09/22 1,691
300227 돈도 못 쓰고, 주위에 사람도 없고.... 12 토토로 2013/09/22 3,484
300226 남자화장품 선전하는 모델이 누구에요?? 2 // 2013/09/22 2,438
300225 생각해보니 저희 집안은 시월드가 없었네요 2 ㅋㄷㅋㄷㅋㅋ.. 2013/09/22 1,542
300224 도시에서 살다가 아이 중학생 때 시골로 들어가는 것 괜찮을까요?.. 6 고민 2013/09/22 1,407
300223 떡찔때 쓰는 면보 9 문의 2013/09/22 4,819
300222 밀리타 머신 괜찮은가요? 1 아메리카노 2013/09/22 1,716
300221 어제 불후의명곡 정동하 노래 들으셨어요? 6 감동 2013/09/22 5,839
300220 지드래곤 ...어떤 걸 보면 좋을까요?? 7 mm 2013/09/22 1,830
300219 미끄럼방지 소파패드 써보신분? 2 ... 2013/09/22 3,491
300218 칠순준비 하실때 자식들이 의논하지 않나요? 12 며느리 2013/09/22 3,163
300217 오래전에 누나와 남동생 밥퍼주는 순서로 6 ... 2013/09/22 1,563
300216 남편이랑 같이 있으면 눈치보이고..불편해요 6 남편 2013/09/22 3,691
300215 82에서뽐뿌받아바꾸러가요디지털프라자2시반까지 2 휴대폰 2013/09/22 1,216
300214 허리근육이나 인대가 손상 , 파열 됐다면 2 ,, 2013/09/22 3,346
300213 여기서 촉이 발달했다 하시는 분들 중 지난 하남 여고생 5 미미 2013/09/22 4,779
300212 콩자반에 같이 섞어서 조릴만한거 11 밑반찬 2013/09/22 1,471
300211 시댁가족들 앞에서 제 연봉을 말하는 남편 26 ㅇㅇ 2013/09/22 14,836
300210 침대. 시몬스랑 설타랑 어떤게 좋아요?? 1 꼬꼬댁 2013/09/22 1,505
300209 운전 5 갱스브르 2013/09/22 1,044
300208 갑상선에 결절이 있다던데 TFT는 이상이 없습니다는 무슨 뜻인가.. 3 22 2013/09/22 2,142
300207 왜 시엄니는 제 핸펀으로만 할까요? 15 속터져 2013/09/22 3,011
300206 결혼예식인데요. 목사님이 주례가 아닐경우에... 2 궁금 2013/09/22 1,573
300205 자고 일어나면 오히려 몸살이 나요 1 요즘 2013/09/22 2,131
300204 삼각김밥 안에 재료 공유해요 11 ... 2013/09/22 3,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