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빚내서 집사라고?’ 朴 전월세 정책 비난 봇물

작성일 : 2013-08-29 20:34:23

빚내서 집사라고?’ 朴 전월세 정책 비난 봇물

野‧시민단체 “부작용 검토 전혀 안한 듯”

 

박근혜 정부가 전월세난 대책 안을 내놓은 가운데,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매매수요 촉진’에 의한 ‘전세수요 축소정책’이 도마 위에 올랐다. 

토지정의시민연대(이하 토지연대)는 28일 논평을 통해 정부의 전세수요 축소 정책에 대해 “정책 목표의 달성 가능성과 부작용에 대해서는 전혀 검토하지 않은 듯하다”고 지적했다.

토지연대는 “전월세난의 경우 이미 여러 가지 정책적 실패가 누적되어 나타난 현상”이라며 “단기적 대책으로 전월세 상한제 도입, 공공임대 및 토지임대형 주택 공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주문했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이하 참여연대)는 보도자료를 통해 “세 번째 발표된 부동산 대책에서도 서민들의 주거안정 대책(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등)이 빠진 것은 서민들의 고통을 외면하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참여연대는 “임대차에 대하여 아무런 제도적 대안 없이 오로지 시장에만 맡기며 빚내서 집사라는 정책으로 일관하고 있다”라며 “장기의 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임대차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라며 의견을 내놨다.

민주당 문병호 정책위수석부의장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서민들 주머니에 돈이 없기 때문에 내 집을 갖고 싶어도 집을 살 돈이 없다. 그래서 전세로 가는 것이고 전세로 살고 싶어도 전세금을 올려주지 못해서 월세로 가는 것이 현실이다”라며 정부의 매매수요 촉진정책을 비판했다.

정의당 박원석 정책위원회 의장은 논평을 통해 “정부는 지속적으로 전월세 시장의 문제를 매매시장의 침체에서 찾고 있다”며 이에 대해 “정부의 주거 정책은 ‘주택소유’가 아니라 ‘주거안정’으로 그 정책적 기조를 시급히 변환해야 할 것이다”라며 토지연대와 의견을 같이했다.

SBS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집값이 하락하고 전월세가 폭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0명 중 9명 이상은 ‘아직 집값에 거품이 끼어있다’며 집을 사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지난 27일 SBS의 <현장21>이 여론조사기관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22~23일 이틀간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세입자의 91.2%가 "올해 안에 집을 사지 않을 계획"이라고 답했다. (유무선혼합조사. 신뢰 수준 95%에 허용오차는 ±3.5%포인트)

또한 민주당이 주장하는 전월세 상한제 도입에 대해선 76.5%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IP : 115.126.xxx.33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부작용 검토 전혀 안한 듯
    '13.8.29 8:34 PM (115.126.xxx.33)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797

  • 2.
    '13.8.29 8:43 PM (220.122.xxx.112)

    이럴줄 알았습니다. 내놓은 정책들이 하나같이 벼락치기한것처럼 반짝하고 맙니다. 명박이때를 답습하는거 같아요! 국민들과 소통이란것도 없고 몇년째 정부라는 단어가 낯선 느낌입니다.

  • 3. ...
    '13.8.29 8:48 PM (61.77.xxx.20)

    아직 처리 못한 다주택자들 빠져나갈 기회를 다시한번 주려는거죠.
    조만간 나라고 개인이고 부풀어 오른 빚에 깔려 죽어봐야 정신이 번쩍 들겁니다.

  • 4. 백림댁
    '13.8.29 8:50 PM (84.191.xxx.231)

    이 정책은 정책의지를 가지고 꾸준히 시행한다면 한국 부동산 시장에 굉장히 좋은 영향을 끼칠 겁니다.

    집값의 70% 빌려서 집 사는 건 미국, 서유럽, 일본 어디를 봐도 흔한 일이지만, 한국처럼 금리가 높은 나라에서 무려 20년 고정 1.5%라는 초저리융자!! 심지어 20년 사이에 집값이 올랐다고 해서 집을 팔면 그 이익은 국가가 환수한다는 패널티조항까지 있고 말이죠. 상당히 공공성을 의식한 정책이에요.

    소형 아파트 월세의 경우 보증금1000만원 내려갈 때마다 10만원씩 월세가 올라가고, 중형 아파트 반전세 역시 1000만원 당 5만원씩은 올라가는데, 어떻게 생각해도 1.5% 저리융자 받아서 20년간 모기지 갚는 게 서민을 위한 일이 맞는 거죠. 싼이자는 안 되고 비싼 월세는 된다는 건가요? 이 정책이 제대로 시행되면 모기지로 집 사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만큼 전세와 월세 수요가 줄어들어 가격도 안정되겠죠.

    박근혜 정권이 못마땅하다고 해도 좋은 정책은 평가할 줄 알아야 하는 게 아닌가 싶네요.

    3000케이스 시범운영이라는데,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 5. 부자들만 *꼬빠는 박그네
    '13.8.29 9:05 PM (14.52.xxx.82)

    집많은 부자들 어서 처분해 더행복하게 해주려 서민들 빚내라는것 아닌가!
    부자수보다 더많은 서민의 눈물을 외면해서는
    안그래도 부정조작으로 오른 그자리 LTE급으로 하차할지니

    장남만밀어주면 그들이 돌봐주나요

    노무현시절 부자들 종부세 96조포함 185조(취득세'2조',
    소득세,법인세'82조', 환율유지'5조')를 날렸습니다.
    부자들에게 돈을 몰아주면 그들이 일자리만든다 뻥치면서
    사실은 그들의 주머니에만 돈이 꽂힐 뿐

    그러고는 수도세, 전기세, 심지어 의보민영화 그돈 채울려고 발광
    서민들은 더목조르고

  • 6. 개누리
    '13.8.29 9:12 PM (218.157.xxx.139)

    이런정책 좋아서 개누리당 찍잔아요
    우리를 좀 때려 달라고 계속 구렁텅 이로 밀어 넣으라고

  • 7. 부자 똥꼬 빠는
    '13.8.30 2:15 AM (182.210.xxx.57)

    더러운 닥정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1797 시리아 내전의 비밀_이스라엘의 이란침공_세계 패권장악 2 링크 2013/08/31 2,106
291796 휴가 트라우마가 남았습니다 3 올롸잇 2013/08/31 2,335
291795 형편도 안좋은데 애는 많이 낳아놓은 집안들 보면 어떠세요? 84 wefq 2013/08/31 14,254
291794 정말 부끄러운 ,,쇼핑팁ㅋ 3 가을인가 2013/08/31 3,698
291793 음악 저장해놓고 들으려면 어떤 기기 이용하세요? 10 므닉 2013/08/31 2,460
291792 코딱지만한 아이방ᆢ 11 예비 초등.. 2013/08/31 3,165
291791 머리 기르고 있는데 지금 너무 지저분해보여요ㅜㅜ 4 머리 2013/08/31 1,709
291790 순정만화 싫어하는 분들 계세요? 4 ,, 2013/08/31 1,206
291789 참 라면도 고기 몇조각 넣으니 훨씬 더 맛있네요 5 고기는 언제.. 2013/08/31 1,501
291788 오뚜기 참치 맛 어떤가요? 7 ^^* 2013/08/31 2,145
291787 고등 1 일반고생인데 전학하고 싶대요 9 고1 2013/08/31 3,310
291786 오예 얼마전 된장찌개 레시피 올려주신거 맛나요 3 케이트 2013/08/31 2,824
291785 일산 이산포ic초입 엘지칼텍스주유소 1 일산아줌마 2013/08/31 1,348
291784 여자가 결혼 늦으면 안좋은 이유.. 2 ..... 2013/08/31 3,422
291783 현재 중3인데요 5 ... 2013/08/31 2,220
291782 박근혜의 떙떙이질 의정활동 내역!!! 1 손전등 2013/08/31 1,728
291781 장결핵에 걸려보신분 있으세요? 5 혹시 2013/08/31 3,129
291780 너무나 퍼석거리며 심지어 하얀 각질까지 수분이필요해.. 2013/08/31 1,331
291779 저같이 요상한 체형이 있을까 싶네요 이상 2013/08/31 1,761
291778 국정원 개혁은 민생만큼 중요하다 3 샬랄라 2013/08/31 1,318
291777 모르는 휴대폰 번호로 문자가 왔는데 피싱 같아요. 3 ... 2013/08/31 2,114
291776 아주 뜨거운 물에 들어간후에 머리를 감으려고하니.. 1 ,,, 2013/08/31 1,779
291775 공부에 있어 어느 정도면 천재라고 인정받을까요? 20 // 2013/08/31 5,436
291774 저혈압인데 수액주사 맞고 오면 좀 나을까요? 4 저혈압 2013/08/31 4,774
291773 영수증 버릴때 파쇄해서 버려야 할까요..? 3 ... 2013/08/31 2,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