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강원도 영서 지방 김치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강원도 김치 조회수 : 1,225
작성일 : 2013-08-19 12:49:42
고향이 강원도 영서 지방인 분의 김치를 먹을 기회가 있었어요. 

평소 그분이 음식을 아주 잘 하신다는 이야기를 들어왔기에 약간 기대를 하고 먹어봤는데, 예상외로 좀 실망스러웠어요. 
일단 김치통을 처음 열었을때 '백김치를 잘못 가져오신건가'하는 생각이 잠시 들었을만큼 고춧가루의 양이 적은 허연 배추가 눈에 띄었고, 맛은 젓갈 느낌이 전혀 나지 않아서 마치 오직 소금만 가지고 담근 것처럼 밍밍한 느낌이었어요. 오로지 소금으로 절이기만 하고 약간의 마늘과 고춧가루만 조금 넣은듯한 느낌이었어요. 젓갈의 깊은 맛( 아마 감칠맛이라 불리는 맛)이나 다른 풍부한 맛이 전혀 느껴지지 않고, 단순한 소금절임에 고춧가루가 섞여졌고 익혀서 신맛이 나는 그런 맛이었어요. 

사실 그 분이 제 음식을 (저는 서울에서 태어났고 부모님은 경기도분이셔서 저도 김치에 젓갈을 많이 넣지는 않아요.) 좀 타박하셔서 본인은 얼마나 맛있게 만드는지 궁금한 마음이 있었는데 막상 먹어보니 제 김치보다 훨씬 못하게 느껴져 놀라웠어요. 

원래 강원도 영서지방 김치는 다른 양념 별로 없이 소금 위주로 하얗게 담그는게 보통인가요? 

사실 음식맛은 상당히 주관적인거라 어떤게 더 맛있다고 말하기 힘든것이지만, 그분 김치 맛을 직접 보고나니 그 동안 제 음식을 맛 없어 하시는 모습에 '아, 음식을 본인이 상당히 잘 하셔서 그런가보구나' 하고 생각했던게 억울하게 느껴져요 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P : 60.241.xxx.177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닙니다
    '13.8.19 12:55 PM (175.206.xxx.42)

    원주출신인 제가 늘 먹던건 빨간김치이지, 희어멀건한 김치는 본적이없네요.
    하다못해 친구네집가도 빨간김치예요.
    그 집안 특성인것같아요.
    여긴 백김치 오히려 많이 안 먹어요.

  • 2. 김치..
    '13.8.19 12:59 PM (122.35.xxx.66)

    친정엄마가 이북이 고향이고 일제때 만주에서 살던 분인데..
    김치를 그렇게 담그셨답니다. 젓갈구하기 힘든 지역의 김치는 그렇게 밍밍한 것으로 압니다.
    이북지역의 음식들이 대체로 그래요.. 그래서, 처음 남쪽 음식들이랑 김치를 맛보고는 충격적이기도
    했답니다. ^^ 지금도 입맛은 이북식이나 서울식 김치가 맞아요.

    만두가 원래 이북식이고 지금은 양념이 진하지만 만두속 김치를 넣을 때 그런 김치를 넣어야
    제대로 맛이 살기도 한답니다.

  • 3. 들들맘
    '13.8.19 1:07 PM (220.72.xxx.152)

    영월 시댁 김치가 원글님처럼 그래요
    소금맛만 잔뜩 나고 속도 별로 없고
    고추도 진짜 넣은 듯 안 넣은듯
    마늘만 잔뜩 넣은...
    전라도인 전 충격적 비주얼이었는데
    그 김치가 익으면 시원해요
    완전... 만두하기 딱 좋은 김치라고 해야할까요
    지역특성때문인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9764 티몬 쿠팡 믿을만 한가요??? 1 궁금이!~ 2013/08/23 2,443
289763 건고추4인가족? 1 아주매 2013/08/23 1,569
289762 그것이 알고 싶다 나들목 미스테리 사건..아직도 안 밝혀 졌나 .. 3 ... 2013/08/23 3,067
289761 노트북과 데스크탑 컴퓨터의 전기세 차이 나네요 3 노트 2013/08/23 3,419
289760 용평 버치힐 어떤가요? 7 급질 2013/08/23 5,626
289759 공주시청에서 국민행복기금 설명회하네요? 공주님 2013/08/23 518
289758 인간지네. 내용이 너무 궁금한데요. 14 ㅠㅠ 2013/08/23 3,011
289757 무테안경쓰시는 분 어떠신가요 1 안경,,, 2013/08/23 1,554
289756 편두통 잘보는 병원 1 편두통 2013/08/23 1,228
289755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봤어요 7 다리가 있어.. 2013/08/23 1,920
289754 가계부 쓰시는 분들~~~카드로 쓴건 어디에 포함시키시나요? 4 가계부 2013/08/23 1,182
289753 비행기에서 겪은 일화 1 ^^; 2013/08/23 1,700
289752 가지 반찬 맛있는 레시피 꼭 좀 알려주세요. 21 도와주세요 2013/08/23 3,214
289751 요즘 유행하는 에어쿠션 꼭 리필만 사서 써야하나요? 5 안써본이 2013/08/23 2,431
289750 준이아빠가 결혼을 잘하긴 했나봐요. 7 동블리 2013/08/23 6,239
289749 아래 스카이운지 일베충입니다 5 꺼져 2013/08/23 757
289748 핸드폰 사진이 다 삭제 되었는데요.. 2 휴우 2013/08/23 1,183
289747 천연염색 속옷 어떤가요? 바램 2013/08/23 645
289746 까페..비..수다.. 2 이런 날 2013/08/23 686
289745 티라미수에 홍차로 아침 먹었어요 1 독일사는 아.. 2013/08/23 1,362
289744 좌충우돌, 천신만고, 우여곡절...강원도 정선여행기 4 휴가 2013/08/23 1,567
289743 시간이 지나면서 드러나는 인간의 어쩔 수 없는 본성 46 oo 2013/08/23 14,827
289742 전자식 아답터로 사야겠죠? 배터리는 소모가 넘 크죠? 5 삼익매트로놈.. 2013/08/23 561
289741 화장품샘플 판매하는 곳은 없을까요? 6 아롱 2013/08/23 2,348
289740 내가 늙었다는 증거를 뜬금없이 찾았어요 29 슈퍼울트라짱.. 2013/08/23 12,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