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모계사회가 가장 안정적인 사회일까요?

? 조회수 : 3,015
작성일 : 2013-08-10 20:06:29

한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였던

고구려와 고려가 모계사회였군요...

고려가 후반부에 흔들리기는 하지만

몽골침략에 그렇게 오래 버틴 국가도 드물었다고 하니..강한 국가였던거죠..문화도 찬란했구요.

조선시대에도 청나라가 병자호란 일으키면서도 조선을 아예 자기네 나라로 만들어 버리지 못한 이유가

고구려와 고려의 후예로 쉽게 가질수 없다고 판단한 것도 큰 이유였다고 하구요.

조선들어와서 유학을 권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부계사회를 권장하지만

사회통념상 중기까지는 남자가 장가를 가는 모계제도가 강했다고 하구요.

이이. 이순신, 그외 많은 걸쭉한 인물들이 외가에서 자랐다고 하구요..

조선 중기넘어가면서 유교가 뼈속까지 파고들면서

완전한 부계사회로 넘어가는데

이때부터 조선사회가 썩어가기 시작하네요.

그러면서 세도정치 거치면서

일제시대 넘어가구요...

신기한건

조선의 가장 썩은 정치형태인 세도정치가 한창일때

양자를 들여서라도 대를 이어야 한다는 통념이 판치기 시작했다고 해요.

병적으로 아들. 장자에게 집착하는 게 이때 시작되었다는 것도

놀랍구요..

그러다가

근 10 여년 사이에 갑자기 모계사회로 넘어가는 것 같구요.

신기한건

요새 모계사회로 넘어가는 시대와 더불어 한국이 잘 사는 나라...인재가 많이 나오는 나라로 변해가구요..

결국 모계사회가 차라리 안정적인 제도인걸까요?

어찌 생각하세요?

역사책 읽다가 정말 상관관계가 있을까..이런 생각이 들더라구요.

IP : 114.206.xxx.2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젠틀
    '13.8.10 8:11 PM (124.197.xxx.98)

    모계사회가 여자가 중심이 되는 사회라기보단 여자집안쪽 남자들이 중심이 되는거라 우리 생각만큼 부계와 그다지 차이는 없다고 알고있는데....

  • 2. 그렇기는 하죠
    '13.8.10 8:13 PM (114.206.xxx.2)

    아들 딸 차별이 없었다는 고려도 남자만 바깥일을 했으니까요.
    단지 지금처럼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가 친정에서 친정가족들과 함께 살면서
    아이들을 키우는게
    오히려 아이들을 경쟁력 있게 자라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이렇게 받아들이면 되는 정도일까요?

  • 3. 제생각엔
    '13.8.10 8:26 PM (125.185.xxx.175)

    전쟁이나 병역의 의무로 집을 비워두고 복귀하는 시간이
    현재보다 길어서 자연히 친정에 있는 시간도 길어졌다고 봐요.
    전쟁, 질병때문에 사람들이 오래 못사니 더욱 양육의 노하우전수도 필요했겠지요.

  • 4. ...........
    '13.8.10 8:40 PM (58.231.xxx.141)

    한반도 고대 국가들이 모계사회의 전통을 많이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안정적인 시스템이어서가 아니라 전쟁이 빈번했기 때문입니다.
    주로 모계사회가 뿌리내린곳은 토지가 비옥하거나 대륙과 바다로의 진출이 용이한 반도, 혹은 정글지역 주로 이런곳이죠.
    한반도 국가들은 반 모계사회 정도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빈번한 전쟁으로 전투력을 유지해야 하는 남성의 힘이 중요시되는 반면, 그만큼 잦은 전쟁으로 남성들이 많이 죽어서 자연스럽게 여성들에게 권력이 나눠진겁니다.
    친정쪽에서 자라는 아이들과 시댁쪽에서 자라는 아이들의 경쟁력을 가늠하는건 위험한 일이네요.
    요즘엔 이혼 가정도 많아지면서 어쩔 수 없이 한 쪽에서 자라는 아이들도 많은데 그런 아이들에게도 해당되는 말이라고 할 수 있으니까요.

  • 5. 유교+군사문화
    '13.8.10 8:41 PM (14.42.xxx.176)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고 했던가. 그 책이 생각나네요.
    전 유교가 득보다 실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
    인근 아시아 나라에서는 이미 버린 낡은 이데올로기를 이고 가는 한국이 피로해요...
    21세기에는 21세기의 이데올로기가 필요한데
    아직도 유교 가지고 아둥바둥..
    멀리 안가더라도 우리 가족을 보세요 시댁이며 장남이며 머며... 아이구.
    유교가 군사문화랑 짬뽕되어 우리사회에 해악을 끼칩니다

  • 6. ㅣㅣ
    '13.8.10 8:41 PM (211.36.xxx.156)

    외국에선 결혼없이 애를 낳고, 그 아이들은 엄마와 외가에서 키우는 경우도 있더군요.

  • 7. 아...실수를
    '13.8.10 8:54 PM (114.206.xxx.2)

    했군요.

    얼른 고칠께요.

  • 8. 보티블루
    '13.8.10 9:27 PM (180.64.xxx.211)

    안정적이라 그리로 가는게 아니라 일종의 트랜드 흐름이죠.
    모계사회로 가는건 맞는거 같아요.

    주기가 2000년이라 들었는데요.크게보면 그렇고

    우리나라 경우는 좀 다른거 같기도해요.

  • 9. 친정쪽에서 자란 아이와
    '13.8.10 9:31 PM (114.206.xxx.2)

    시가쪽에서 자란 아이를 비교하는게 아니구요.
    전반적인 사회의 흐름이 모계사회였을때를 말하는거에요.

    반드시 외가에서 크는 아이를 콕 찍어 말하는게 아니라
    전반적인 트랜드가 외가에서 자라는게 전혀 어색하지 않는 사회가 되어갈수록
    인재가 많아지고 사회도 발전하는 것 같은 모양새라서요.

  • 10. 존심
    '13.8.10 9:43 PM (175.210.xxx.133)

    모계사회의 확실한 한가지...
    확실히 내 자식이 분명하다는 것...
    안정적이지요.

  • 11. 고려가 뭔 모계 사회
    '13.8.10 9:48 PM (118.209.xxx.48)

    그럼 왜
    왕씨 한테로 왕위가 이어져 내려와요?

    그리고 원나라 정복 이래로
    원나라 공주가 계속 왕비로 왔는데
    왜 '속국'이 아니라 '부마국' 인데요?

    고구려 신라 백제 성립부터는 다 부계입닏.

  • 12. 윗님
    '13.8.10 10:13 PM (114.206.xxx.2)

    모계사회의 정의가 뭔지는 정확히는 알수 없는데요,
    제가 말씀드린 모계사회란...
    남자가 여자집에 장가를 가서 그 집, 처가에서 자식낳고 사는 걸 말해요.
    즉, 조선중기 이후처럼 여자가 시집을 가서 시집귀신으로 사는게 아니라
    남자가 장인장모네집에 와서 사는거 말이에요..
    그걸 말하는 거죠..

  • 13. 모계 사회의 정의는
    '13.8.10 11:49 PM (118.209.xxx.48)

    어머니에게서 딸로
    집안이 이어지는 사회입니다.

    구석기 시대
    남자가 아버지의 역할을 하지 않고
    씨 제공자의 역할만 하고,
    자녀는 외할머니 엄마 이모들이 책임지고 함께 기르고
    딸들은 자라면 분가해서 어머니 근처에서 살고
    아들들은 다른 여자한테로 떠나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7473 사는집 인테리어하기 5 인테리어 2013/08/17 3,265
287472 폭염으로 눈이 너무 아픈가 봐요, 저 같은 분 계신가요? 6 ///// 2013/08/17 1,303
287471 담배냄새때문에 피해?가 있는데 2 담배냄새너무.. 2013/08/17 1,440
287470 약대다니시는분들 4 하늘 2013/08/17 2,955
287469 상표명 도와주세요...^^ 레몬티 2013/08/17 650
287468 헤어진 남자가 내가 찍어준 사진을 카스에 올렸다면 33 2013/08/17 16,408
287467 강아지(요키) 배변훈련 좀 도와주세요ㅠ 6 도와주세요ㅠ.. 2013/08/17 1,764
287466 김지현과 류수영은 왜 이런(?) 영화를 찍었을까요? 5 12년전 영.. 2013/08/17 7,341
287465 목이 아플때 요가 자세 질문? 6 2013/08/17 2,760
287464 볼만한 불어 블로그 없을까요 2 프랑스 2013/08/17 1,352
287463 할아버지가 악을 쓰네요. 1 -xx- 2013/08/17 1,565
287462 도라에몽은 왜 진구 곁을지키나요? 9 첫회를 보고.. 2013/08/17 3,461
287461 쓰레기봉투에 달려드는 초파리에 락스효과있나요? 4 질문 2013/08/17 2,970
287460 기업의 이미지 포스코 코코리 2013/08/17 998
287459 스템플러로 손을 찍었는데요. 7 소름 2013/08/17 1,539
287458 홍콩 어디가면 아네스베가 있을까요?? 4 아네스베 2013/08/17 1,723
287457 vja)폭염에 2자녀 둔 33세 소방관 순직 '울음바다' 8 ,,, 2013/08/17 2,848
287456 코스트코 10 토요일 2013/08/17 3,777
287455 촛불 생중계 - 6개 인터넷방송, 8차 범국민 촛불대회 1 lowsim.. 2013/08/17 1,107
287454 유치원생 아이가 열감기인데 저녁을 안 먹어요. 어떡하죠 3 -- 2013/08/17 1,454
287453 체질적으로 소식하는분요! 2 보라 2013/08/17 1,688
287452 늘 빈접시만 오는 옆집^^;;;; 115 편하게 퍼주.. 2013/08/17 18,890
287451 어금니흔들릴때, 보존하는 법없나요 5 2013/08/17 16,486
287450 이동진씨는 진지한 편이고 김태훈씨는 유쾌해보여요^^ 4 금요일엔 수.. 2013/08/17 2,250
287449 벽난로 놓으려고 합니다. 소개 부탁드려요. 9 낮에나온반달.. 2013/08/17 2,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