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볶음, 조림, 고기 양념 등등
레시피없이...기준이 있나요?
요리 초보는 너무 힘드네요...ㅠ.ㅠ
각종 볶음, 조림, 고기 양념 등등
레시피없이...기준이 있나요?
요리 초보는 너무 힘드네요...ㅠ.ㅠ
제가 항상 음식을 할때 생각하는게 이 음식이 달콤짤잘한 음식인가 아닌가를 따져요.
보통 국물요리가 아닌 양념 볶음 요리는 간장+ 설탕 + 마늘의 조합이죠...
여기에 매운맛을 더하냐 아니냐의 차이
양념갈비나 조림 등의 요리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양념고기나 조림등은 전체 짠맛의 대략 절반을 단맛으로 하면 실패가 없더라고요.
매운맛에도 짠맛과단맛이 포함되어있으니 (고추장등요) 잘 계산하셔야 하고요..
고추장이 들어가는 얼큰한 찌개나 얼큰한 볶음 찜 등의 요리는 고추장분량을 조금 줄이고 절반은
고춧가루로 합니다. 그럼 개운하고요.
고기요리에는 술을 꼭 넣고 단맛이 포함되는 고기요리는 요리술 씁니다.
다른 재료도 무게당 비슷한 간장량
그게 소금 농도로 1~2%(우리가 먹는 음식의 소금 농도)
간장:소금은 15:2
어느순간 저절로 잘하게 되요
일단은 레시피 보면서라도 자주요리해보세요
전 레시피를 봐도 계량은 제맘대로 해요.
일단 이런이런 양념 재료가 들어가는구나 정도를 파악하신 후에
맛을 보면서 추가하심 되는겁니다.
넘 어려워 마세요~
한식조리 셤 수업들을 때
고기양념
간장 설탕 파 마늘 후추 깨 참기름
이걸 간장대신뭐 고추장 혹은 고춧가루 아님 두개합쳐서
글코 ㅣ번거의반을 단맛양으로 항상
설탕 대신 다른 것으로도..
원글님, 지름길을 알려달라는 건데..... 요리에는 지름길이 없어요. 지름길이 있다면 그 많은 요리책과 요리 프로그램이 아직까지 팔리겠나요? 이미 정리 끝났겠죠.
저도 몇 가지 수칙을 적어 드리겠지만 그것도 진리는 아니고, 수 년간 요리해 보면서 익힌 거지 저절로 생긴 게 아니거든요. 그러니 원글님도 요리를 많~~이 해 봐야 그 노하우가 자기 것 된다는 거죠.
그래도 몇 가지 적어 드릴게요, 쉬운 요리책 사서 따라해 보면서 배우세요.
- 제철 재료들로 장을 본다. 쌀 때 사면 좋은데 단, 먹을 수 있는 만큼만 본다.
- 기본 양념을 잘 갖춰 두고 특이한 양념은 웬만하면 사지 마라... 그거 끝까지 다 쓰는 사람 별로 없다.
- 기본 양념이란? 1. 간장 고추장 된장 마늘 파 소금 설탕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 식초 /2. 양파 요리용 엿(물엿) 요리용 술(맛술) 후추 생강 등... : 2번이 좀더 덜 필수인 양념들
- 채소는 단단한 것부터 익힌다 : 예 - 당근이나 감자, 브로콜리는 부드러운 것보다 먼저 넣고 볶기. 그래야 다같이 제때 익으니까.
- 고기는 잡내 빼고 연육 과정 거치거나 밑간을 한다 : 고기는 맛있지만 잡내나 핏물이 맛을 망치는 경우가 있어요. 그걸 잘 빼야 되고, 덩어리 고기는 연육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거의 모든 고기 요리는 밑간을 제대로 하면 맛이 달라져요. 심지어 김치전에도 밑간한 돼지고기를 넣으면 맛이 확 다르게 맛있어요.
- 웬만한 건 간만 맞으면 맛있다 : 감자+양파에 소금 후추 뿌려 볶아 보세요. 맛있어요. 브로콜리 볶다가 소금 후추 뿌려 보세요. 그것도 맛있어요. 거기에 밑간한 닭가슴살 한 개 찢어넣어 볶아 보세요. 내가 반찬의 신 같아요. 단, 너무 신나서 소금 뿌려뿌려 막 쉐킷쉐킷 하면 짜요. 간은 잘 맞아야지, 짜다고 맛있는 게 아니에요.
(참, 후추는 통후추를 갈아 쓰면 좋아요. 향이 달라요.)
- 해산물은 속까지 잘 익어야 하지만 너무 익히면 질겨지는 경우가 많다 : 소라, 조개, 오징어 종류, 이런 거 다 오래 익으면 질기고 물 빠져서 맛이 없어요. 적정 시점을 찾아야 함. 생선은 속까지 푹 익어야 하구요.
- 채소는 그 때 그 때 조금씩만 사고 고기 종류는 많이(혼자 산다면 한 근도 많은 거임) 사도 된다. 사서 반드시 한 번 먹을 만큼 나눠서 뭔지 써서 냉동할 것.
- 나물은 어렵지 않다. 거의 뭐든 다듬어서 데쳐서 간을 하면 먹을 수 있다. 간을 하는 재료는 소금/ 간장/ 된장/ 고추장. 이 중에 하나로 간을 한다 생각하고 참기름이나 들기름 중 하나, 그리고 마늘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음.
대강 적어 봤어요. 저도 반찬 하기 막막해서 82 굴러들어왔던 사람인데요. 레시피 무지무지하게 많이 봤어요. 다 해 보기 어려우면 읽어보기라도 하세요. 그것도 도움 됩니다. 어떤 재료가 어떤 요리법으로 어떻게 요리되나, 무엇과 어울리나, 보통 푹 끓이나 살짝 익히나...... 이런 거 수백 번 보다 보면, 나중에는 냉장고에 굴러다니는 짜투리 채소 가지고도 그럴싸한 반찬이 나옵니다.
그리구요. 제일 좋은 요리는 재료 본연의 맛을 거의 그대로 살려서 먹는 것 같아요. 생채소 썰어 드셔도 좋고요. 간은 최소한으로, 요리과정은 복잡하지 않게 상큼하게 금방 끝나는 걸로, 그렇게 해서 드세요. 충분히 영양식 만들 수 있어요.
요리비법 저도 참고 할께요^^
도움되네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284394 | 제 다이어트 식단좀 봐주세요 7 | 여자가 되고.. | 2013/08/08 | 1,410 |
284393 | 중앙박물관 이슬람보물전 가실분들 아이들 개학후 가셔요~~ 3 | 병다리 | 2013/08/08 | 1,919 |
284392 | 1994년 여름을 기억하십니까? 106 | 포리야 | 2013/08/08 | 17,108 |
284391 | 지금 엄마가 돌아가실려고 하는데요 27 | she | 2013/08/08 | 19,923 |
284390 | 직업 선택의 기준---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보살행을 할 수 .. 3 | .. | 2013/08/08 | 1,547 |
284389 | 안철수, 9일 장애인권리보장 연대 농성장 방문 10 | 탱자 | 2013/08/08 | 922 |
284388 | 투윅스 완전 괜찮네요 14 | ㄷㄷ | 2013/08/08 | 4,455 |
284387 | 여드름 자국 3 | 아이허브 | 2013/08/08 | 1,123 |
284386 | 투윅스..영화본거 같아요 8 | 그래도 | 2013/08/08 | 2,122 |
284385 | 올해 7월부터 건강보험 적용되네요 2 | 스켈링 | 2013/08/08 | 1,311 |
284384 | 생 모짜렐라 치즈 보관 법 좀 알려주세요 4 | asdf | 2013/08/08 | 12,990 |
284383 | 설국열차 얼마나 잔인한가요? 18 | ... | 2013/08/08 | 3,370 |
284382 | 집에만 들어오면 코가 막히는데요 1 | dd | 2013/08/08 | 905 |
284381 | 저는 주군의 태양 재미있다고 생각하는데요? 21 | 주군의탈 | 2013/08/08 | 3,407 |
284380 | 귀신얘기 해주신다던 아미님 안오시네요 5 | 공작부인 | 2013/08/08 | 2,202 |
284379 | 스페인과 스위스 둘 중 어디가야할지 고민이예요 24 | 푸른하늘7 | 2013/08/08 | 3,781 |
284378 | 크랜배리 말린거 대형마트에서 살수 있나요? 1 | ?? | 2013/08/08 | 868 |
284377 | 성재기씨의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3 | 개똥철학 | 2013/08/08 | 2,645 |
284376 | 싱크대 누수 | gg | 2013/08/08 | 1,162 |
284375 | 흥정계곡(허브나라) 근처 레알 맛집은 어디일까요? | 맛집은 어데.. | 2013/08/08 | 2,986 |
284374 | 핏플랍은 직구할 수 있을까요? 8 | 싸게 사고 .. | 2013/08/08 | 2,487 |
284373 | 배우신하균씨 실제로 보신분 계신가요? 8 | ^^ | 2013/08/08 | 3,063 |
284372 | 주군의 태양보세요? 8 | ... | 2013/08/08 | 2,111 |
284371 | 자려고 누웠는데 대나무 건빵 돗자리가 따뜻해요.^^ 6 | 대박 | 2013/08/08 | 1,680 |
284370 | 요즘 핫 한 배우는? 7 | 소리나 | 2013/08/08 | 1,4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