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공립 병원만 가야겠군요 ..

포괄수과제 조회수 : 1,744
작성일 : 2013-06-21 13:15:09

저는 대학병원에서 산부인과 스텝으로 재직중입니다.

 

대형병원에 스텝으로 오면서 가장 좋았던 거가 (아니, 유일하게 좋았던거) 뭔지 아셔요 ?

수술 기구들이 참말로 좋았습니다.

제가 있던 병원보다 더 시설도 좋고, 수술기구니 약들을 좋은 거를 써서 정말 수술할 맛이 나더군요.

 

그런데 이제 그게 어렵게 됬네요.  이제 back to 90's 입니다.

개인병원에서 수술할 수 없는 어려운 케이스 환자들 수술하는것이 

사실 대학병원 산부인과 의사가 가지는 유일한 보람이기도 한데

이젠 대학병원들끼리 서로 떠넘기기를 해야 할 판이네요.

 

경영이 어쩌구 저쩌구를 떠나 의사로써의 보람이 위협받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모 병원장님은 제 후배 산부인과 스텝한테 "돈도 못받는 자궁근종 절제수술은 이제 하지말라" 고

직접적으로 오더했다는 군요. ㅠㅠ

 

착찹합니다. 정말, 진심으로.

 

이게 뭔지 모르겠네요.. 정말..

 

이제부터 개인병원에서 수술못하는 케이스들은  국공립 병원으로 가셔야 할듯합니다.

거기는 그래도 나랏돈으로 수술하니

어려운 케이스들도 해주겠죠 ?

대학병원에 오셔도... 저희는 정말 수술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저 자궁근종 한 사람한테 40개 까지 근종절제 한적도 있습니다.

수술시간만 4시간 넘게 걸리죠.

이제는 근종을 한개 수술해도, 40개를 수술해도 병원이 받을 수 있는 돈은 같습니다 !!

그럼 누가  근종을 40개 떼는 수술을 해주겠습니까 ?

산부인과 수가는 매우 저렴합니다.

이제까지도 저렴했습니다.

근데 이제는, 정말 수술을 하지 않는게 되려 병원에 도움이 될 지경입니다.

 

 

더 안타까운것은 대학병원급이 아닌 1, 2차 병원들은

포괄수과제가 이득이되기도 하기때문에 오히려 환영하는 분위기라는 군요...

산부인과 내부에서 목소리가 합쳐지지 않는 상황...  

3차 병원 병원장님들은 산부인과때문에 골머리 ㅠㅠ

수술을 하면 할수록 손해가 날수도 있다니...

정말 울고 싶습니다.

 

 

산부인과 학회에서는 오히려 대형병원들은 이에 굴하지 말고

 쓰던거 계속 쓰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그러지만.

도대체 월급쟁이들은 누구 장단에 춤을 춰야 하는건지 ㅠㅠ

 

그럼 아예 이분화해서

 

1, 2차 병원들은 이렇게 하고

3차병원급들은 어떻게 하자... 다들 모여서 대책을 좀 의논하고 싸우던지...

이건 이렇게 하잔말도 없고 저렇게 하잔말도 없고ㅠㅠ

 

 

오늘도 뱃속에 유착 심하게 진행된  자궁내막증 환자 수술하면서

돈 못받을 비싼 adhesion 방지제 하나 달라고 해서 뱃속에 뿌리고

이게 내가 뭐하는 짓인지 ㅠㅠ

내가 이거 쓰면서 왜 병원에 미안해 해야 하는지 ㅠㅠ 하는 자괴감에 시달립니다.

내가 이거 쓰면 병원에서 욕하겠지요 ㅠㅠ

나는 왜 수술을 하면서 욕먹고 있는 건지

 

의약분업때 거리에서 데모하면서도

의사된것에 후회가 없었건만

지금은 진정 슬프군요.

 

해결방법이 없는 건 아니죠.

돈있는 사람들은 로봇으로 수술하면 되고 (로봇은 포괄수과제 제외라고 하더군요)

돈없는 사람들은 질 낮은 약에 질 낮은 기구써서 수술받으면 되겠죠.

이게 왠 의료수준 낮추기 정책인지 모르겠습니다.

 

진정 짜증나고 슬프네요.

 

해결방법이 없는 걸까요 ?

82쿡 여러분들, 지혜를 좀 짜내주셔요.

 

 

대학병원 산부인과 의사들, 어려운 환자 케이스들 해결하는 것이 삶의 유일한 낙인 사람들이 많습니다.

월급이 떵떵거리고 살만큼 많은 것도 아니고

대학병원 의사라고 누가 굽신거리면서 존경해 주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의 유일한 삶의 낙을 뺏지 말아주셔요 ㅠㅠ

 

이런글 올린다고 또 욕하실까요 ? ㅠㅠ

정말 진정 답답하고 어디 호소할때도 없네요 ㅠㅠ

 

IP : 61.78.xxx.13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안타깝게도
    '13.6.21 1:20 PM (211.198.xxx.67) - 삭제된댓글

    이런 말씀을 하신다고 해도
    '돈만 알고 의술을 저버린 파렴치한인 의사들' 이라고
    매도나 당하지 않으면 다행일거라고 생각이 되니 너무 슬픕니다.

  • 2. 맞아요
    '13.6.21 1:26 PM (119.202.xxx.221)

    대학병원들의 존재이유를 다시 생각해야합니다.

  • 3.
    '13.6.21 1:26 PM (14.35.xxx.1)

    큰일이네요
    갈수록 어찌 돌아가는 상황인지...

  • 4. //
    '13.6.21 1:34 PM (124.49.xxx.19) - 삭제된댓글

    전 의료정책이 희귀병이나 난치병 불치병에 대해 좀더 많은 혜택을 나라에서 지원해주고
    개인이 충분히 지불할수 있는 큰돈 들지 않는 이런 수술에 대해선 쓸데없이 지원하지 않았음 싶어요,

  • 5. 국립병원을
    '13.6.21 1:41 PM (116.39.xxx.87)

    늘리는게 답이라고 생각해요
    의사가 환자를 위해 있다고 느껴지지 않아요

  • 6. ...
    '13.6.21 2:08 PM (110.15.xxx.54)

    답답하네요 에혀...

  • 7. ...
    '13.6.21 2:11 PM (119.192.xxx.90)

    저도 답답하네요. 없는사람만 죽어라죽어라 하는...

  • 8. 의료민영화는
    '13.6.21 2:35 PM (203.248.xxx.70)

    이런 식으로 차차 진행되는거죠
    여기서 생각하는 것처럼 어느 날 갑자기 바뀌는게 아니구요

    정부에서는 계속 의료보험에 대한 예산과 의료비를 줄이기를 바라기때문에
    이런 식으로 의료에 들어가는 비용을 통제하려고 할 겁니다.
    새로운 기술이 있어도 더 좋은 약이 있어도
    정부에서 '과잉진료'로 묶어버리기 때문에 무용지물이 되는 거지요.
    그러니 돈 많고 능력되는 사람들은
    최선의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자기 돈 가지고 미국이나 일본, 유럽으로 가겠지요.
    그런 일이 반복되다보면
    자연스럽게 이런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한 영리병원이 도입될거고
    의료보험은 서민들의 전유물로 전락할겁니다.
    지금도 시립병원이나 도립병원같은 시설이나 자본에서 뒤지는 병원들보다
    서울에 있는 대형 사립병원들이 성업 중인 것처럼요.

    저도 윗분처럼 경증 환자들에 대해서는 국가의 지원을 최소화하고
    중증, 희귀질환자 위주로 가야한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불가능하지요.
    어느 정당이든 그런 법안을 추진했다가는 대량으로 표 떨어질게 뻔한데
    (그리고 어차피 정치인들한테는 실익도 없는데)
    누가 그런 총대를 메겠습니까.
    오히려 지역구마다 보건소에서 선심행정으로 세금 펑펑쓰면서
    선거때마다 생색내는데 급급하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6876 자식*ㅡ사주ㅡ대로 이뤄 지는지요... 8 심란 2013/06/23 2,746
266875 김용판에게 보내는 서울경찰청 소속 일선 경찰의 편지 1 .. 2013/06/23 760
266874 산에 올라다니는 운동을 한달 정도 했어요 2 -_- 2013/06/23 2,469
266873 왜 베란다에서 개를 키우냐고! 3 나 참 2013/06/23 2,402
266872 독일에서 사용하던 세탁기, 식기세척기 한국에서 사용하시는 분 계.. 3 귀국 2013/06/23 1,732
266871 백인남자와 다니는 여자들 12 ㄴㄴ 2013/06/23 5,793
266870 핸드믹서기 추전좀해주세요 제발 2 오로라리 2013/06/23 2,848
266869 남편에게 예쁘단 말 듣고 싶어요. 7 궁금하다.... 2013/06/23 2,263
266868 안녕하세요에서 방청객들 리액션이요 3 혹시 2013/06/23 1,567
266867 닭죽에 녹두+찹쌀 넣어도 맛있을까요? 13 ... 2013/06/23 1,858
266866 케찹소스 활용 어떻게 하시나요 요리요리 2013/06/23 682
266865 대장 내시경 약을 먹고 있는데요.. 14 glaemf.. 2013/06/23 5,728
266864 군가산점 찬성합니다 57 .. 2013/06/23 2,782
266863 닭봉으로 볶음을 할려고 하는데.. 비법좀 알려 주세요. 4 궁그미 2013/06/23 748
266862 노트2 신규로 사고 싶은데 4 노트2 2013/06/23 1,090
266861 아들이 머리가 나쁜데 남편이 나닮아 그런거라고 하면?! 28 ... 2013/06/23 3,371
266860 당검사 식전이 높아요 식후가 높아요? 6 ..... 2013/06/23 2,038
266859 콩국수랑 어울리는 메인메뉴는 뭘까요? 7 dav 2013/06/23 3,779
266858 빨래말리기 제습기 짱이에요~ 5 아좋다 ㅋ 2013/06/23 3,095
266857 주변에 있는 잡초만 잘 이용해도 먹고사는데 문제 없을거 같네요 1 산야초 2013/06/23 1,341
266856 한국은 왜 혼자 밥먹는 사람있음 이상하게 쳐다볼까요? 37 gh 2013/06/23 4,460
266855 암웨이 냄비 할인받을수 있나요? 1 암웨이 2013/06/23 1,937
266854 30대 남자 스킨이요 남자스킨 2013/06/23 452
266853 평생 짊어질 장애가 생겼어요.. 도움되는 말씀 좀 해주시면.. 6 .. 2013/06/23 3,857
266852 여동생에게 오빠 자전거 물려주면 안될까요? 6 2년차이 2013/06/23 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