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국공립 병원만 가야겠군요 ..

포괄수과제 조회수 : 1,757
작성일 : 2013-06-21 13:15:09

저는 대학병원에서 산부인과 스텝으로 재직중입니다.

 

대형병원에 스텝으로 오면서 가장 좋았던 거가 (아니, 유일하게 좋았던거) 뭔지 아셔요 ?

수술 기구들이 참말로 좋았습니다.

제가 있던 병원보다 더 시설도 좋고, 수술기구니 약들을 좋은 거를 써서 정말 수술할 맛이 나더군요.

 

그런데 이제 그게 어렵게 됬네요.  이제 back to 90's 입니다.

개인병원에서 수술할 수 없는 어려운 케이스 환자들 수술하는것이 

사실 대학병원 산부인과 의사가 가지는 유일한 보람이기도 한데

이젠 대학병원들끼리 서로 떠넘기기를 해야 할 판이네요.

 

경영이 어쩌구 저쩌구를 떠나 의사로써의 보람이 위협받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모 병원장님은 제 후배 산부인과 스텝한테 "돈도 못받는 자궁근종 절제수술은 이제 하지말라" 고

직접적으로 오더했다는 군요. ㅠㅠ

 

착찹합니다. 정말, 진심으로.

 

이게 뭔지 모르겠네요.. 정말..

 

이제부터 개인병원에서 수술못하는 케이스들은  국공립 병원으로 가셔야 할듯합니다.

거기는 그래도 나랏돈으로 수술하니

어려운 케이스들도 해주겠죠 ?

대학병원에 오셔도... 저희는 정말 수술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저 자궁근종 한 사람한테 40개 까지 근종절제 한적도 있습니다.

수술시간만 4시간 넘게 걸리죠.

이제는 근종을 한개 수술해도, 40개를 수술해도 병원이 받을 수 있는 돈은 같습니다 !!

그럼 누가  근종을 40개 떼는 수술을 해주겠습니까 ?

산부인과 수가는 매우 저렴합니다.

이제까지도 저렴했습니다.

근데 이제는, 정말 수술을 하지 않는게 되려 병원에 도움이 될 지경입니다.

 

 

더 안타까운것은 대학병원급이 아닌 1, 2차 병원들은

포괄수과제가 이득이되기도 하기때문에 오히려 환영하는 분위기라는 군요...

산부인과 내부에서 목소리가 합쳐지지 않는 상황...  

3차 병원 병원장님들은 산부인과때문에 골머리 ㅠㅠ

수술을 하면 할수록 손해가 날수도 있다니...

정말 울고 싶습니다.

 

 

산부인과 학회에서는 오히려 대형병원들은 이에 굴하지 말고

 쓰던거 계속 쓰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그러지만.

도대체 월급쟁이들은 누구 장단에 춤을 춰야 하는건지 ㅠㅠ

 

그럼 아예 이분화해서

 

1, 2차 병원들은 이렇게 하고

3차병원급들은 어떻게 하자... 다들 모여서 대책을 좀 의논하고 싸우던지...

이건 이렇게 하잔말도 없고 저렇게 하잔말도 없고ㅠㅠ

 

 

오늘도 뱃속에 유착 심하게 진행된  자궁내막증 환자 수술하면서

돈 못받을 비싼 adhesion 방지제 하나 달라고 해서 뱃속에 뿌리고

이게 내가 뭐하는 짓인지 ㅠㅠ

내가 이거 쓰면서 왜 병원에 미안해 해야 하는지 ㅠㅠ 하는 자괴감에 시달립니다.

내가 이거 쓰면 병원에서 욕하겠지요 ㅠㅠ

나는 왜 수술을 하면서 욕먹고 있는 건지

 

의약분업때 거리에서 데모하면서도

의사된것에 후회가 없었건만

지금은 진정 슬프군요.

 

해결방법이 없는 건 아니죠.

돈있는 사람들은 로봇으로 수술하면 되고 (로봇은 포괄수과제 제외라고 하더군요)

돈없는 사람들은 질 낮은 약에 질 낮은 기구써서 수술받으면 되겠죠.

이게 왠 의료수준 낮추기 정책인지 모르겠습니다.

 

진정 짜증나고 슬프네요.

 

해결방법이 없는 걸까요 ?

82쿡 여러분들, 지혜를 좀 짜내주셔요.

 

 

대학병원 산부인과 의사들, 어려운 환자 케이스들 해결하는 것이 삶의 유일한 낙인 사람들이 많습니다.

월급이 떵떵거리고 살만큼 많은 것도 아니고

대학병원 의사라고 누가 굽신거리면서 존경해 주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의 유일한 삶의 낙을 뺏지 말아주셔요 ㅠㅠ

 

이런글 올린다고 또 욕하실까요 ? ㅠㅠ

정말 진정 답답하고 어디 호소할때도 없네요 ㅠㅠ

 

IP : 61.78.xxx.13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안타깝게도
    '13.6.21 1:20 PM (211.198.xxx.67) - 삭제된댓글

    이런 말씀을 하신다고 해도
    '돈만 알고 의술을 저버린 파렴치한인 의사들' 이라고
    매도나 당하지 않으면 다행일거라고 생각이 되니 너무 슬픕니다.

  • 2. 맞아요
    '13.6.21 1:26 PM (119.202.xxx.221)

    대학병원들의 존재이유를 다시 생각해야합니다.

  • 3.
    '13.6.21 1:26 PM (14.35.xxx.1)

    큰일이네요
    갈수록 어찌 돌아가는 상황인지...

  • 4. //
    '13.6.21 1:34 PM (124.49.xxx.19) - 삭제된댓글

    전 의료정책이 희귀병이나 난치병 불치병에 대해 좀더 많은 혜택을 나라에서 지원해주고
    개인이 충분히 지불할수 있는 큰돈 들지 않는 이런 수술에 대해선 쓸데없이 지원하지 않았음 싶어요,

  • 5. 국립병원을
    '13.6.21 1:41 PM (116.39.xxx.87)

    늘리는게 답이라고 생각해요
    의사가 환자를 위해 있다고 느껴지지 않아요

  • 6. ...
    '13.6.21 2:08 PM (110.15.xxx.54)

    답답하네요 에혀...

  • 7. ...
    '13.6.21 2:11 PM (119.192.xxx.90)

    저도 답답하네요. 없는사람만 죽어라죽어라 하는...

  • 8. 의료민영화는
    '13.6.21 2:35 PM (203.248.xxx.70)

    이런 식으로 차차 진행되는거죠
    여기서 생각하는 것처럼 어느 날 갑자기 바뀌는게 아니구요

    정부에서는 계속 의료보험에 대한 예산과 의료비를 줄이기를 바라기때문에
    이런 식으로 의료에 들어가는 비용을 통제하려고 할 겁니다.
    새로운 기술이 있어도 더 좋은 약이 있어도
    정부에서 '과잉진료'로 묶어버리기 때문에 무용지물이 되는 거지요.
    그러니 돈 많고 능력되는 사람들은
    최선의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자기 돈 가지고 미국이나 일본, 유럽으로 가겠지요.
    그런 일이 반복되다보면
    자연스럽게 이런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한 영리병원이 도입될거고
    의료보험은 서민들의 전유물로 전락할겁니다.
    지금도 시립병원이나 도립병원같은 시설이나 자본에서 뒤지는 병원들보다
    서울에 있는 대형 사립병원들이 성업 중인 것처럼요.

    저도 윗분처럼 경증 환자들에 대해서는 국가의 지원을 최소화하고
    중증, 희귀질환자 위주로 가야한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불가능하지요.
    어느 정당이든 그런 법안을 추진했다가는 대량으로 표 떨어질게 뻔한데
    (그리고 어차피 정치인들한테는 실익도 없는데)
    누가 그런 총대를 메겠습니까.
    오히려 지역구마다 보건소에서 선심행정으로 세금 펑펑쓰면서
    선거때마다 생색내는데 급급하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9483 현대차 사려는데, 물샌다는 소리듣고 망설여 집니다. 5 ... 2013/08/22 1,416
289482 급)오리훈제 구워먹는거 말고 맛나게 먹는법요~ 3 아롱 2013/08/22 1,289
289481 토마토캔 보관기간 2013/08/22 879
289480 과외 선생하기 힘들어요. ㅠㅠ 7 에휴 2013/08/22 3,592
289479 애날때골반이옆으로안벌이지고앞뒤로벌어진분 계신가요 ㅠ.ㅠ 2013/08/22 723
289478 산후도우미 더 필요할까요? 1 진이엄마 2013/08/22 874
289477 엄마 생신이라 꽃배달 보내드리려구요 아는 곳 있으면 추천 좀 해.. 3 꽃배달 2013/08/22 1,181
289476 메모의 달인 계신가요? 메모를 잘하는 요령을 다룬 책이나 동영상.. 궁금 2013/08/22 717
289475 국민연금 개인연금 다 가지고 계신가요? 3 연금 2013/08/22 2,190
289474 돈은 얼마든지 있으니까 5 충분 2013/08/22 2,727
289473 아들땜에 너무 힘들어 죽겠어요. 26 ㅇㅇ 2013/08/22 8,720
289472 슈퍼에서 유통기한 지난거 파는데 어디에 신고하나요? 17 ^^* 2013/08/22 2,245
289471 이준기 연기 잘하네요 3 이준기 2013/08/22 1,367
289470 이 약을 먹어야할까요 말까요? 고민 2013/08/22 620
289469 낯가림하는 9개월 아이를 일주일에 한번,3시간 맡기는 것..괜찮.. 8 애기엄마 2013/08/22 1,383
289468 파마먼저 염색먼저? 4 룰루랄라 2013/08/22 2,444
289467 이런 경우도 있었어요 현#백화점에.. 2013/08/22 599
289466 탄수화물이 뱃살의 주범이라면.. 24 왕뱃살 2013/08/22 13,125
289465 도자기 그릇이 냉동실에 넣었다고 깨지나요? 6 ㅇㄿㅊㄴㄹ 2013/08/22 10,397
289464 위로를 구합니다ㅜ.ㅜ(시댁관련) 4 찹찹.. 2013/08/22 1,828
289463 일반 펌은 정확히 어떤건가요? 5 단발머리 2013/08/22 2,364
289462 술 좋아하시는분.. 4 ..... 2013/08/22 1,038
289461 신도림 디큐브시티 사시는 분~질문드려요~ 7 주상복합 2013/08/22 6,485
289460 요즘엔 칠순에 어떻게 하나요? 가족끼리 식사이긴한데요.. 3 야옹 2013/08/22 1,903
289459 넷서스 7을 살까 생각중인데... 1 태블릿 2013/08/22 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