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 공부에 대한 생각...

베리떼 조회수 : 1,956
작성일 : 2013-06-15 00:56:58

아시는분들은 아시겠는데,

82장터를 통해, 무료수학과외를 2년째 해오고,

이렇게 직업이 알려져, 유료 과외 부탁으로

82회원님 자녀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네,

직업이 가르치는겁니다.

나름 고정닉을 쓰고 있어서,

자게에 직업에 연관한 글을 안쓰려 했고,

현재까지, 그렇게 82쿡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만,

어제

문자를 받았습니다.


최근 바쁜일로 82 자게판을 잘보지 못했는데,

자녀교육에 대한 글들이 올라왔나 봅니다.

많은 걱정을 하는 문자였습니다.


그래서 검색해 글을 읽어봤습니다.

대부분 공감하는 내용이구요.

원칙적으로 맞는 말씀입니다.

공부 잘하고 싶으면,

탑랭킹 대학 가고 싶으면,

공부 많이 하라는 말씀입니다.

틀린 말 없죠.


82게시판의 분위기가

항상 그렇듯이,

이런 글들이 올라오면,,

내 아이를 쳐다보며,

한숨을 짓는 분들이, 많습니다.

당연하죠,

탑은 극히 소수이고,

자녀 성적에 만족하는 어머님들은,

아주 드물기 때문입니다.


글 쓰신, 강사님께서,선행에 대해 말씀하신 부분을,

읽는 회원님들이,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도 있는것 같고,

어제 

걱정 많은 문자를 주신,

학생 어머님이자, 82쿡 회원님께

말씀드리고자 하는 일부분을

함께 공유하고자,

평범한,

누구나 다 아는 내용이지만.

너무 걱정마시란 의미로 글 올립니다.



본론입니다.


1> 선행은, 공부에 있어서 큰 덕목이 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선행은 저는 권하지 않습니다.

천편일률적인 것도 오류입니다.

억지로 시키지 마세요.

자녀 실력에 맞춰 시켜야지, 내 욕심에 맞춰 하는 선행은,

아이의 수학 싫증 향상에 대단한 역활을 합니다.

잘하는 애들은, 1년선행이상을 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능력껏 선행(또는 예습)하면 됩니다.

사교육을 시키면, 사교육 쌤하고 상담을 하셔서 목표점을 잡으세요.

없이 공부시키는 분들은, 자녀의 수준에 맞는 수준의 책으로 시키십시오.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1권 완독을 하면 좋고,,

꾸준히, 2~3단원 앞서가도 양호합니다.

내 아이가, 수학에 특별한 영재가 아니라면,

영재애들이 한다고, 똑같이 하라는 법은 없습니다.


저는

선행에 대한 강조보다는,

자기 학년의 교과내용을

차근차근히 익히는 나아가는지를 중시하라고

강조하고 싶습니다.



2> 수학 잘하지 못하면, 대학 가지 말란 것인가,

수학 못해도 갈수 있습니다.

수학을 포함,

소위 말하는, 언수외를 잘하면,

선택을 할수있는, 그 폭이 넓어지고, 업그레이드를 할수 있는것이지,

못해도, 갈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포기는 쉽게하지 마세요.

특히,

중학교 자녀를 둔 분들,


중학때 수학이 그렇게 눈에 띄는 수준이 아니였지만,

고등 올라가서, 많은 향상을 이룬 경우도 많습니다.


수학,

쉬운 과목 아닙니다.

성적도 단박에 오르지 않기때문에,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포기하지않는 정신이 중요합니다.

수학은,

무지 어렵긴 하나,

아주 막연하지 않습니다.

과정이 보이는,

그래서 계획을 세우며 공부할수있는 과목입니다.

매번 보는 시험점수가 공부 잘하는 여부에 중요한 자료가 될수있지만,

너무 일희일비하지 마시고,

틀린 문제와 틀린 이유를 파악하는것도 중요합니다.


고등과정이라면,

1등급을 목표로 한다면 그 수준에 맞게 해야겠고,

4~5등급이라면, 한등급 올리는데 노력을 해야겠습니다.

1등급은 1등급 수준의 대학을 고르고,

아니면,, 그 위치에 맞는 계획을 세우면 됩니다.


수학,

포기는 하지 마시되,

큰 욕심도 가지지 마세요.

현실은 직시하시되,

막연한 불안감과 낙심은 하지 마세요.


내 아이에 대해,

적절한 목표를 세우고,

장기전을 준비하세요.

지치지 않으면 이깁니다.

바라는대로, 이룰수 있습니다.


학생들과, 어머님들,,, 모두 화이팅하세요...


IP : 180.229.xxx.4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감사
    '13.6.15 1:13 AM (223.62.xxx.81)

    현재 지극히 평범한 중1아들 둔 엄마로서..
    사실 어제 글 읽고 많이 심란했었거든요
    좋은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늦게 자는 보람이 있네요..

  • 2. 감사합니다
    '13.6.15 1:36 AM (68.82.xxx.18)

    수학...지치지 않으면 이긴다는말씀 참 가슴에 와닿네요..
    제 아이도 수학 머리 없고 수학 싫어해서 요즘 너무 걱정이 많습니다.
    이런 글 보면 힘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 3. 저도 감사^^
    '13.6.15 3:00 AM (123.214.xxx.49) - 삭제된댓글

    저도 어제 글 보고 심란했는데.. 글 읽고 첫 중학 중간시험 수학 50점 받은 아이를 생각하니 참 난감했는데.. 힘이 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고등과정 선행이니 뭐니 다 접어두고 일단 내 아이가 할 수 있는 것부터 차근차근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아이에게는 중간 보다 더 잘보면 된다고 격려하고 있는데.. 조금씩 올라가다 보면 언젠가 좋은 점수 받을 날 있겠죠.. 새벽에 위로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4. 중3엄마입니다
    '13.6.15 8:16 AM (220.76.xxx.183)

    그 글 읽고 제 아이보며 답답했었는데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네요.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가 않은 것 같아요.
    제아이 같은 경우도 주위에 친구들이 많은 선행을 했다며 비교해보고 위축되어 벌써 수학을 포기할려고 하네요
    진심으로 제 아이 과외를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가끔 좋은 글 부탁드리겠습니다

  • 5. 96점 맞는 아들은
    '13.6.15 8:51 AM (220.76.xxx.244)

    100점 맞게 하고 싶고
    88점인 딸도 100점 맞게 하고 싶은
    이 끝없는 내 욕심과 늘 싸웁니다.
    모두 100점 받으면 행복한 세상이 올까?
    모두 80점 받으면 행복할까?
    남보다 조금이라도 잘하고 싶은 이 끝없는 욕심...
    내려놓고, 또 내려놓고....

  • 6. ..
    '13.6.15 12:13 PM (110.14.xxx.155)

    맞아요
    사실 공부 못하는 애들이 대다수인데... 잘한다는 정도는 상위 10프로 이내
    엄마들 만나면 다 잘해요 ㅜㅜ
    중고등학교 가보니 잘하는 애들 엄마만 학교일에 참여하는거더군요
    그냥 내 아이 한계를 인정하고 그 내에서 좀 노력해주길 바라는 수 밖에요

  • 7. 영어도 마찬가지
    '13.6.16 11:20 AM (112.171.xxx.67)

    좋은 글 고맙습니다.
    영어강사인데 초/중등에 영어 끝낸다며
    아이를 영어에 질리게 만들고
    영어가 엉망으로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상태/의견을 존중하면서 push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3254 일반고에 111등급은 얼마나 있을까요? 14 고1맘 2013/06/17 2,454
263253 영국 히드로공항 근처 호텔 정보 부탁해요. 9 도움부탁 2013/06/17 1,709
263252 악세사리 요란한 언니에게 조언하면 안되나요? 12 말해주고싶어.. 2013/06/17 2,385
263251 네비게이션 추천좀 해주세요 1 2013/06/17 382
263250 허벅지 쥐날때 갈 병원? 4 병원 2013/06/17 1,640
263249 캐나다 뮤직 어워드 co-host해요^^ 싸이 대단해.. 2013/06/17 352
263248 매실 장마끝나고 사도 될까요? ... 2013/06/17 528
263247 인사 청탁인지 아닌지 한 번 봐 주시겠어요? 억울한이 2013/06/17 408
263246 장마오기전에 저장마늘 사다놓는 건가요? 2 마늘 2013/06/17 1,013
263245 시부모님 초대식사 메뉴 선정 좀 도와주세요~ (초보주부 ㅠ) 10 행복한밀뽕네.. 2013/06/17 1,301
263244 토마토 쌀때 마니 사서 저장할수있는 방법이 있나요 4 저장 2013/06/17 1,809
263243 냉우동 샐러드 손님 오시기 2시간 전 미리 해놓아도 될까요?? 4 !! 2013/06/17 1,063
263242 작은 제습기는 빨래 안마르나요? 1 장마 2013/06/17 1,060
263241 반찬가게 반찬 6 반찬^^ 2013/06/17 1,944
263240 내가 경험한 안드로이드 vs 아이폰 26 써보고 2013/06/17 4,886
263239 잠 못드는것 무슨 병일까요? 2 자고싶다 2013/06/17 593
263238 아기스포츠단3년보내신분 5 운동 2013/06/17 729
263237 가까운 곳에 갈때 들 파우치 숄더 가방 뭐가 좋을까요? 파우치가방 2013/06/17 469
263236 베이킹소다+구연산=신세계!! 13 설거지달인도.. 2013/06/17 40,290
263235 고양이영역싸움 조언부탁드려요 아주 절실합니다 7 캣맘분들 2013/06/17 7,848
263234 쿠쿠 압력밥솥으로 죽이 가능한가요? 2 2013/06/17 989
263233 82cook 에서 본 리플중 가장 황당했던 것 하나. 3 리나인버스 2013/06/17 1,421
263232 좋은 리코더는 어디에서 살 수 있나요? 6 ..... 2013/06/17 2,872
263231 라디오에서 인용하는 것을 들었는데요 sbs에서 소식 관련해서 ^^ 2013/06/17 433
263230 턴블러 ..어느게 좋나요?? 5 해라쥬 2013/06/17 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