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제가 외상후증후군인가봐요.

괴로움 조회수 : 1,048
작성일 : 2013-05-29 16:08:59

며칠 전 점심먹으면서 ebs 라디오를 듣는데,

그 프로가 책읽는 라디오..인가 하는거예요.

단편소설을 읽어주는데, 그날의 소설이 '그밤의 경숙' 이었어요.

내용은 콜센터 직원으로 고객과 다른 직원과의 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경숙이

육아와 가족안의 빗나가는 소통으로 힘들어하는 상황이 그려져있거든요.

 

밥을 먹으면서 무심코 라디오를 틀어놓고 듣다가 안듣다가 하는게 습관이었는데

그날은 책에 그려지는 주인공의 심리에 너무 몰입해서 듣게 되었어요.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애들을 키우는 문제,

연로한 부모님 모시는 문제로 친정에서 형제들끼리의 갈등,

대출받아서 마련한 집의 융자 갚는 문제,

남편도 스트레스를 받아서 운전중에 퀵서비스 남자와 도로 한복판에서 싸움이 날뻔한 거.

집으로 가는 길을 넘어서 낯선 길로 남편이 마구 주행하던 거.

그 차 안에서의 남편과의 말싸움..

그리고 사고..

거의 총체적인 난관이죠.

 

 

밥을 먹으면서 듣다가 제가 심장이 쿵쾅거리고 식은 땀이 나더라고요.

우리 애들 키우면서 직장 다니면서

정말 마지막 한방울의 힘까지 쥐어 짜내면서 일하던 제 젊은 시절이 떠올라 너무 괴로왔어요.

그때 시댁이고 친정이고 저희에게 도움이 되기는 커녕

오히려 더 많은 짐만 되었구요.

더우기 첫째는 많이 아파서 죽을뻔한 고비도 여러번 넘겼는데

그때 가족 안에서 경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여러가지 힘든 일이 많았어요.

돈은 하나도 없이 거의 빈민이었지, 애는 병원에 입원해서 죽네사네 하지,

일은 해야겠지.

시댁이고 친정이고 도와주기는 커녕 오히려 더 상처만 주지..

도대체 우리 애가 과연 살기는 할까.. 우리 가족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그 모든 것이 다 어둡고 긴 터널이었던 것 같아요.

지금 생각해도 애들 어릴 때 제가 거의 고갈되기 직전의 정신상태로

이를 악물고 맨땅에 헤딩하면서지푸라기라도 잡으면서 버티던 시절이

그 소설속의 경숙의 심리에 오버랩 되면서 머리 속에 그대로 재현되는 거예요. 

 

그 라디오 방송을 들은지 며칠이 지났는데도

아직 제가 마음이 안 다스려져요.

젊은 시절의 힘들었던 상황이 바로 지금도 그런 것처럼 느껴지고,

괜히 마음이 다급해지고 신경이 곤두서고 그래요.

 

사실 요즈음엔 애들이 다 커서 별로 제가 집안일이라고 해봤자 힘들게 없어요.

지금도 직장 열심히 다니지만 지금은 제가 단련이 되서인지 예전과 같은 스트레스는 아닙니다.

집안 살림도 애들이 학기중에는 집을 떠나 있고

방학에 와 있으면 애들이 빨래니 청소니 다 해줘서 제가 몸은 안 힘들어요.

이제는 그렇게 힘든 날 모두 지났으니 마음 편히 지내면 되는건데 왜 이러는 걸까요.

 

그 단편소설 들은 뒤로는

제가 마음 속으로 몸살을 하고 있네요.

평소에는 6시에 깨어서 상쾌한 마음으로 아침준비하고 운동하고 출근하는데

요즘은 4시 반, 5시반.. 이렇게 깨서도 멍하니 있다가 뒤늦게서야 부랴부랴 황급히 준비하고 그러네요.

아침 일찍 깨니 낮에는 졸립구요.

신경만 마구 곤두서있고 말이죠.

아무래도 제가 예전에 너무 힘들게 살았던 것이 외상으로 남았나봐요.

좀 많이 힘드네요.

IP : 112.186.xxx.156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5.29 5:52 PM (218.155.xxx.49)

    님 제가 한번 꼬옥 안아드릴게요 잘 버텨오셨어요 스스로도 안아주세요

  • 2. *****
    '13.5.29 6:17 PM (124.50.xxx.71)

    잊은듯이 사셨지만 잊혀지지 않았던거죠
    잊어버릴수 있다면 상처가 아니라더군요...
    그 상처를 딛고 아이들 잘 키우면서 아직도
    직장생황 열심히 하시는 님께
    박수쳐드릴게요

  • 3. 괴로움
    '13.5.30 11:51 AM (112.186.xxx.156)

    오늘 아침엔 3시 반에 깼어요.
    오늘도 멍하니 있으면 제가 너무 기분이 나쁠 것 같아서
    부억일을 했답니다.
    일요일에 장아찌 담으려고 곰취 사놓았는데
    제가 며칠내내 마음이 안정이 안되어서 손도 못대고 있었거든요.

    곰취 다듬고 한장한장 씻으면서 몇번이나 물을 갈면서
    곰취의 두툼한 잎사귀와 줄기를 내 손끝으로 느끼면서
    내가 이 자리에서
    우리 남편과 아이들과 애써서 이룬 행복한 가정에서 곰취를 다듬을 수 있다는 사실에
    진정으로 감사했어요.
    나는 어두운 터널에서 살아나왔어.. 이젠 더 이상 예전 일때문에 괴로워할 필요 없어..
    설사 그때 너무 힘들었다 해도 이제 와서 보면 다 의미가 있는 일이었어.. 이렇게 되뇌였어요.

    가족이라는 것이 이렇게 큰 힘이 되는구나 싶어요.
    남편이 깰 때 즈음해서 조금 졸립기 시작했지만
    그냥 둘이서 운동하려고 나섰어요.

    위에 댓글로 위안주신 분들의 글읽으면서
    제가 마치 엄마 품에 안긴듯, 등을 두드려 주는 듯 마음이 편안해졌어요.
    여태까지 제가 이렇게 위안이 필요하다는 것조차 모르고 살았어요.

    남편에게 제가 라디오에서 읽어주는 단편소설을 듣고 이렇게 힘들었다고 하니
    남편이 그런거 왜 들었냐고..
    그렇지만 그것을 들음으로 해서 제가 얼마나 벼랑끝에서 살아왔는지
    그래서 왜 지금 힘든지 알게 된 계기인 것 같아서 그것도 결국엔 좋은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 프로그램에 나온 단편소설..
    그래도 저는 직접 읽지는 못할 것 같아요. 아직은.
    좀 더 마음이 편안해지면.. 언젠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2682 남자들 가정절대안깨잖아요 34 가정 2013/08/04 16,423
282681 농산물받은 답례로 롤케이크 괜찮을까요?~ 2 ^^ 2013/08/04 1,156
282680 수박•과일껍데기 말려서 버리니 좋네요 1 말려요 2013/08/04 1,510
282679 기자들이 오버하는거지 2 ... 2013/08/04 1,155
282678 저같은 사람은 어디서 남자를 만나야 할까요. 13 엉엉 2013/08/04 4,527
282677 자기가 말하고 자기가 웃는성격.. . 6 그린tea 2013/08/04 3,392
282676 사춘기 아이들과 꼭 같이보세요 ! 영화 플립 3 ... 2013/08/04 2,438
282675 자연유산의 원인과 증상 좀 알려주세요 3 이유 2013/08/04 1,575
282674 영화 개봉작도 꼭 스포일러 찾아보고 결말을 알아야 보러가는 심리.. 9 ... 2013/08/04 1,253
282673 이런 막장드라마가 제게도 생기네요 (길어요) 93 살아가기,,.. 2013/08/04 22,145
282672 강아지에게 훈제연어 물에 담궜다줘도 될까요? 2 sa 2013/08/04 3,615
282671 구라용팝 재밌네요 8 a 2013/08/04 1,780
282670 DKNY 싱글 노처자들 컴온 6 싱글이 2013/08/04 1,212
282669 외국잡지 배송 질문이요 2 잡지 2013/08/04 753
282668 우리나라 지도,세계지도 책... 감사히..... 2013/08/04 1,278
282667 공공장소에서 영어닉넴으로 아이이름 부르는 엄마 25 영어이름 2013/08/04 4,880
282666 캠퍼 메리제인 슈즈... 2 싱고늄 2013/08/04 2,608
282665 교황 “교회도 거리로 나가라 …불평등과 맞서 싸워라” 1 빛과 소금 .. 2013/08/04 1,586
282664 부부간에 대화 많이 하시나요? 4 대화 2013/08/04 1,965
282663 고1딸아이 돈타령 14 불만 2013/08/04 4,693
282662 생중계 - 민주당 천막당사 국정원 규탄 촛불집회, 일요일인데도 .. lowsim.. 2013/08/04 1,073
282661 설국열차 방금 보고 왔는데요. 16 라이프 2013/08/04 3,644
282660 믿고 구할 수 있는 곰보배추 구매처를 알려주세요. 2 도움청합니다.. 2013/08/04 1,595
282659 초등학생에게 15세 이상 관람가 영화를 보여주려고 안달인가요? 8 2013/08/04 1,767
282658 에일리ᆞ유엔아이요 ᆞ외국곡 맞죠? 4 엄마 2013/08/04 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