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기렌지 장점과 단점

전기렌지 조회수 : 14,360
작성일 : 2013-04-18 12:15:11

오븐과 일체형 가스렌지를 쓰다가 며칠 전 헬*전기렌지로 바꿨어요..

지대한 기대감 속에서..저는 르쿠르제 무쇠로 밥을 하는데 가스를 썼을 땐 정말 20분 정도면충분하게 맛있는 밥을 해먹었는데....요즘 40분 이상 더디 되면서 너무 밥이 맛없어요..뜸도 늦게 들고.밥알이 버글거리고... 음식도 늦게 끓어서 출근준비에도 지장이 너무 많아요...건강생각해서 바꾼 것이 너무 스트레스를 주네요.

전기렌지 사용하시는 분들 사용법 TIP 구해요.

IP : 14.55.xxx.206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닌데
    '13.4.18 12:21 PM (124.50.xxx.18)

    저두 전기렌지 쓴지 2년정도 되어가는데요... 저는 음식이 늦게된다는 생각은 별로 안들던데요..
    원글님이 불을 너무 약하게 쓰시는 거 아닐까요?
    바꿀까 고민할때 화력이 약하다는 게 걱정이었는데 막상 써보니 안그렇더라구요...
    전 가스렌지보다 음식이 늦게 된다는 느낌은 전혀 없이 쓰고 있습니다만...
    밥하실때 불조절을 어떻게 하시는지 구체적으로 올려보시면 상세한 팁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 2. 아닌데
    '13.4.18 12:21 PM (124.50.xxx.18)

    제건.. 틸만입니다..

  • 3. .....
    '13.4.18 12:27 PM (218.159.xxx.80)

    저도 가스렌지에 비해 늦게 되는 느낌은 없었는데.. 강도 3으로 놓고 해보세요.

  • 4. 어머나
    '13.4.18 12:27 PM (121.166.xxx.39)

    아닌데요. 원글님, 불조절 잘 못하셨나봐요.
    저도 틸만 쓰고 있는데요, 풍년압력솥은 가장 쎈불 9번에서 15분정도 있다가 추가 안 돌아가도 그냥
    불을 끄고 잔불로 10분정도 뜸 들이면 잘 돼요. 휘슬러 같이 눈금 올라가는 건 8분에서 10분만 하면 끝나구요.
    타이머 설정도 되고, 상판 청소도 철수세미로 쓱쓱하고 끝나서 전 너무 편하고 대만족.

  • 5. 글쎄요
    '13.4.18 12:28 PM (61.102.xxx.19)

    저는 밥을 압력솥에 하는데 이전보다 몇분 정도 늦는 정도인데요.
    일반 솥에 했을때도 20분이나 더 걸린다는 그런 느낌은 없었어요. 무쇠가 아니라서 그런가요?
    조금 더 느리긴 하지만 물 잘 맞춰서 올리고 바글바글 끓어 오를때 5단계로 잠깐 두었다가 바로 불 끄고
    다른 볼일 보고 오면 완전 잘 되어 있어요. 뜸들이기 신경 안써도 잔불로 뜸이 들기 때문에 좋던걸요.
    혹시 뜸을 충분히 안들이신게 아닌지요?

    저도 바꾸고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아서 고생 했는데 쓰다보니 너무 편하고 좋구요.
    가스불 보다는 아주 조금 느린면은 없지 않으나 이젠 체감할 정도가 아니더라구요.
    한번 끓기 시작하면 오히려 더 센불에서 끓는다는 느낌 이구요.

    집안 공기가 너무 좋아져서 좋아요. 주방 창가에 허브화분을 사다 두어도 2주를 못넘기던게 지금 한달도 더 넘게 잘 살아요. 주방도 끈적거리는 더러움 없이 넘 깔끔 하구요.

  • 6. --
    '13.4.18 12:28 PM (165.132.xxx.30)

    그릇 올리기 전부터 미리 켜 놓아요.

  • 7. 전기렌지
    '13.4.18 12:29 PM (14.55.xxx.206)

    가스에서는 몇분 안되어서 밥물이 끓으면 껐다가 물이 다 잦아들면 제일 약한부로 10분정도 뜸이 맛있게 들었어요.그런데 전기에서는 최고온도 9에 놓고 끓으면 7정도로 낮추니까 계속 보글보글 끓는데 밥물이 빨리 잦아들지 않고 20분정도 계속 끓다가잦다 들고 뜸이 들면 밥을 푸는데 영 제 스탈이 아니네요..흑흑 남편이 밥이 이상하다네요.버글버글하니

  • 8. 글쎄요
    '13.4.18 12:29 PM (61.102.xxx.19)

    저도 틸만 입니다만 어쩌다 죄다 틸만 댓글이 ^^;;

  • 9. 다시
    '13.4.18 12:34 PM (61.102.xxx.19)

    잘 읽어보니 몇일 안되셨다고 하는데요.
    밥은 원래 불조절이 생명이고 그 타이밍이 젤 중요해요.
    여러차례 시도해서 나와 내 냄비에 맞는 타이밍을 찾아 보세요.
    저도 첨엔 압력솥으로도 좀 잘 못맞췄거든요. 이젠 뭐 냄비에도 잘 해요.
    타이밍을 찾았거든요. 몇번 더 실패와 성공을 거듭하다 보면 잘 하실수 있으실거에요.

    제가 보기엔 9에서 물이 다 잦아 들때까지 쭉 끓이다가 그냥 불 끄고 뜸 들이시는게 좋겠어요.
    7로 낮추니까 온도가 떨어졌다 올랐다 해서 밥이 맛없게 되는거 같거든요.

    저는 냄비에 밥 할때는 뚜껑 아예 열고 시작해서 밥물 반쯤 잦아 들면 숟가락으로 휘익 섞어 주고
    밥물 거의 다 잦아 들면 뚜껑 덮어서 뜸 들여요. 이건 가스에서 할때도 전 원래 이렇게 했었구요.
    그럼 밥물이 안넘쳐서 좋더라구요.

    연습 조금 해보세요. 나중엔 이 좋은걸! 이러실거에요.

  • 10. 어머나
    '13.4.18 12:40 PM (121.166.xxx.39)

    원글님, 압력솥이 아니고 냄비밥이셨군요. 제가 잘 해요.ㅋㅋ
    불린쌀 2인분(작은 냄비에 반 정도)에 물 넣고 9번에서 시작해서 끓기 시작하면 숟가락으로 한번
    위아래 뒤젹여 주세요. 그런담에 5번으로 낮춰서 5분, 불 끄고 잔불로 10분..
    요렇게 하면 아주 환상적인 냄비밥이 됩니다.^^

  • 11. 0000
    '13.4.18 1:10 PM (175.208.xxx.248)

    전기렌지에는 무쇠솥이 빨리 안끓어요

    휘슬러나 실리트 차라리 우리나라 뚝배기는잘 끓어요

  • 12. 전기요금은
    '13.4.18 2:57 PM (118.91.xxx.35)

    얼마나 나오나요? 전기렌지로 바꾸고싶은데 제일 걱정되는게 전기비용이에요.

  • 13. 전기렌지
    '13.4.18 3:06 PM (211.36.xxx.249)

    솔직히 틸만이나 헬러나 뭐나 다 화력은 거기서 거기예요
    사용에 더 익숙해지면 됩니다^^
    전기렌지 6년째 사용중...

  • 14. 저도
    '13.4.18 4:02 PM (112.152.xxx.82)

    제방법 알려드려요·
    전기레인지는 잔열로 요리하는장점을 잘 이용하셔야해요 밥하는데만 40분씩 켜두시면 전기세 폭탄맞으셔요

    불린쌀을 무쇠냄비에 녛고 부글부글 끓으면
    수저로 저어준다음 1~2분 더 끓이면 물이 없어져요
    곧바로 불끈후 잔열로 뜸 들이면 맛있더라구요

  • 15. 웃뜨까
    '13.4.18 7:17 PM (175.193.xxx.145)

    휘슬러 전기렌지 사용하는데 밥 맛있게 됩니다.
    제 경우 타이머를 7분으로 맞추지 않고 9분으로 맞추고 불 세기는 9로 하네요.
    쌀을 불리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구요.
    사용법을 조금 더 익혀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7433 샤시설치하면방충망이세트로제공되나요? 6 ^ ^ 2013/06/24 1,173
267432 어떤 빌라가 더 나을까요?? 조언좀.... 6 이사고민 2013/06/24 1,069
267431 ”국정원 바로잡자”.. 민주 개혁법안 봇물 1 세우실 2013/06/24 462
267430 고3이과생 3등급인데 2 ... 2013/06/24 1,803
267429 입주청소요 4 blackd.. 2013/06/24 1,016
267428 자다가 숨을 못쉬어서 깨요 2 뭔지. 2013/06/24 1,271
267427 햄스터를 본의아니게 죽였어요... 22 햄스터..... 2013/06/24 4,492
267426 본인 필요할때만 연락하는 지인.. 2 ... 2013/06/24 2,011
267425 임신초기증상 어떤가요..? 7 임신초기증상.. 2013/06/24 12,565
267424 어제까지 언니언니~ 하다가 하루아침에... 4 동네 2013/06/24 2,791
267423 독일친구 결혼선물 추천좀해주세요^^ 2 마님입니다 2013/06/24 1,005
267422 세무사랑 소개팅 하는데요.. 2 ,, 2013/06/24 5,002
267421 부산역 근처 음식점, 먹을 만한 곳 추천해주세요. 4 ... 2013/06/24 1,914
267420 육아로 경력단절됐다가 재취업성공 하신분 계신가요? 3 job 2013/06/24 1,664
267419 오래된 김치에 하얀점이 생겼는데 먹어도 될까요? 3 신김치 2013/06/24 2,382
267418 영어 문법 공부가 이렇게 재밌다니.. 75 .. 2013/06/24 7,612
267417 대통령 대화록 원본 절차대로 까! 5 아 진짜 2013/06/24 1,005
267416 (급대기)국간장 대신 간을 뭐로 할까요? 5 깜박이 2013/06/24 4,064
267415 타운하우스, 고급빌라, 넓은 집이 꿈이신 분들께...생생후기 77 경험자 2013/06/24 41,659
267414 이쯤해서 보는 서상*의원의 NLL포기발언록 2 .. 2013/06/24 907
267413 그럼 박근혜의 DMZ 평화공원 설치는 휴전선 포기하는 꼴? 2 코메디야~ 2013/06/24 550
267412 82에 보석같이 빛나는 댓글이 있어서.. 84 2013/06/24 15,457
267411 치유= 포기 앞으로 힐링캠프가 아니라 포기 캠프라 불려야 할듯... 2 창조 번역!.. 2013/06/24 1,139
267410 SOS! 코스트코에 배추 있나요? 가격은 얼마나? 2 헬프미 2013/06/24 1,204
267409 국민티비 라디오..조상운의 뉴스피드 들어보세요 3 국민티비 2013/06/24 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