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골로 이사온 사람들이 서울과 시골에서 뼈저리게 비교되는 것 한가지.

리나인버스 조회수 : 1,727
작성일 : 2013-03-28 09:32:21

보통 별 생각없이 이사오고 나서 얘기하는것 한가지가 있습니다.

 

 

 

"도시가스 언제 들어와요?"

 

 

 

보통 도시가스 난방의 경우 많이 나와도 30 만원 정도면 30 평대 아파트 그런대로 살죠.

 

 

헌데 시골로 와서는 서울서 사는 방식대로 기름 보일러 돌리기 시작하면 뭐 기름값 월 60~70 만원 선이 나올수가 있죠.

 

 

요즘의 건축 추세는 "건축비가 많이 나와도 단열을 신경쓴다" 로 정의 됩니다.

 

단열재 비용 좀 들어도 기름값이나 가스비로 금방 뽑으니까요.에너지 절감 대책이 필요한거죠.도시가스는 참 많은 혜택을 보고 있는 겁니다.

 

 

거기에 아파트는 뭐 말할것도 없구요.

 

아래층 옆집에서 올라오는 열기도 만만치 않거든요.

 

헌데 대부분 단독주택인 시골지역에서는 대부분 단열이나 개념없이 건축한 주택이 많다보니 난방비가 상당히 부담스럽게 되죠.

 

저도 심야전기 보일러 입니다만 정말 따뜻하게 살려고 하면 월 50 만원 정도는 들이 부어야 25 도 정도 유지가 가능한 수준이니 말입니다.

 

결국 해결책은 안쓰는 방 다 끄고 꼭 쓰는 방만 사용하는 방식을 적용할수 밖에는 없죠.

 

 

시골로 이사왔는데 단독주책이고 슬라브 주택이라면 수리할때 꼭 슬라브에 지붕을 얻으시는 것이 좋습니다.지붕도 그냥

모양새 지붕은 별로고 조립식 판낼로 올리시면 겨울철에는 난방비 여름철에는 냉방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요즘은 벽돌 주택보다는 alc 주택이 휠씬 좋기는 합니다만 아직 alc 제대로 건축하는대를 못봐서 걱정이기는 합니다 좋은 소재인데 기피하는 이유가 경험과 기술의 부족 때문이니까요.

 

예전 벽돌 주택 올리는 방식을 그대로 진행하다 보니 하자가 좀 발생하는 편이죠.

 

 

서울처럼 밀집된 곳과 시골 처럼 여기 저가 산발적으로 주택이 존재하는 경우 난방비는 더더욱 증가합니다.바람이 그대로 들이 치니까요.

 

시골로 이사해서 주택 수리를 할 요령이라면 꼭 단열공사에 우선 순위를 두시기를 권해 봅니다.

 

 

IP : 121.164.xxx.22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리나인버스
    '13.3.28 12:24 PM (121.164.xxx.227)

    예 봄소식 조만간 올려 드리겠습니다.

    alc 가 단열이나 기타는 짱이죠.

  • 2. 비온
    '13.3.28 4:39 PM (39.113.xxx.174)

    좋은 글 올려 주셔서 감사 드려요
    주택으로 이사 가고 싶어서 관심이 많아요

  • 3. 리나인버스
    '13.3.28 4:58 PM (121.164.xxx.227)

    비온님 별 말씀을요~

  • 4. 홍홍홍
    '13.3.29 6:55 AM (183.109.xxx.35)

    귀농한 제 이웃이 흙마대 (?)집을 지었어요. 것두 그집 남편이 손수. 물론 품앗이로 도와주시는 분들하고
    벽 둨께가 50센치라던가. 패시브 하우스의일종이죠 아마도.
    난방하지 않아도 집안에 냉기가 없대요 겨울에 몇일 집 비우고 들어와도 차지가 않다네요.

  • 5. 리나인버스
    '13.3.30 5:03 AM (121.164.xxx.227)

    어떤 자재던 벽 두께만 두껍게 하면 괜찮아요.

    그리고 흙은 워낙에 공간 사이 사이에 공기 층이 많아서 두껍께만 하면 단열이 됩니다.


    우리가 땅에 수도 파이프 묻을때 보통 1 미터 깊이로만 묻으면 안 얼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4419 영화추천해드릴께요 7 MM 2013/03/29 2,294
234418 보험문의요 3 부자인나 2013/03/29 345
234417 엄마가 집에서 피아노 직접 가르칠 수 있을까요?? 5 피아노 2013/03/29 1,323
234416 신발 깔창 좋은것 좀 추천해주세요. ... 2013/03/29 397
234415 오븐, 렌지겸용 좋은가요? 5 고민중 2013/03/29 3,116
234414 씨리얼은 포스트랑 켈로그 두 브랜드 중 어디가 더 좋은가요?? 6 씨리얼 2013/03/29 3,530
234413 대기업 법무실 변호사 5 ... 2013/03/29 2,473
234412 약쑥 훈증용 최근 산에서 뜯어온거 해도 되겟죠? 5 ...,. 2013/03/29 909
234411 삼성가전제품 왜이래요 ㅠㅠ 20 아리에티 2013/03/29 3,067
234410 청주 여행 문의드려요. 11 --- 2013/03/29 1,047
234409 볼고기 브라더스...어떤가요? 9 궁금 2013/03/29 1,858
234408 박근혜정부 지지율 40%도 무너지나 6 갤럽조사 2013/03/29 1,352
234407 노처녀와 기혼 친구와의 전화통화..좀 봐주세요.. 16 궁금 2013/03/29 4,765
234406 캐나다에서 냉장고 부품 통관 가능할까요? 1 EMS 2013/03/29 432
234405 게장 간장 재활용해서 다시 게장 담글 수 있을까요? ... 2013/03/29 2,133
234404 파킨슨씨병 앓고 계신 지인분 계시나요? 10 /.... 2013/03/29 2,792
234403 요즘 인기있는 명품브랜드는 뭐죠^^?? 1 궁금 2013/03/29 1,393
234402 돈이 없어서.. 피자@ 쪼꼬만 피자 하나 나눠먹었네요 8 헤... 2013/03/29 1,538
234401 아몬드에 2 ㅎㅎ 2013/03/29 680
234400 예전대학입시때 나는90. 2013/03/29 471
234399 강아지 입양하고 싶으면 어디로 가야되나요? 12 문재인대통령.. 2013/03/29 1,245
234398 실크느낌 차렵이불 세탁했는데 뜯어진거있죠 6 아고 2013/03/29 1,140
234397 40대 아파트경리나 전산세무 배우면 취업자리 있을까요 4 취업 2013/03/29 6,699
234396 핏플랍 듀에 페이던트 캔버스 7 privat.. 2013/03/29 1,720
234395 남아 1학년 생일 선물 뭐가 좋을까요? 2 초1 2013/03/29 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