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채식의 배신'을 읽고

신업인 조회수 : 5,080
작성일 : 2013-02-26 04:58:56

반갑습니다.

몇 분이 이 책의 정보에 관심을 표명하고,
저는 비록 채식주의자는 아니지만 채식을 실천하고 있으며,
부인이 ' 현미채식요리 '란 책을 내기도 했기에 직접 사서 읽어보았네요.  

원제목The Vegetarian Myth처럼 
앞부분은 '채식주의자의 엉터리 신화'를 
여러 면에서 지적합니다.
작가는 채식을 전면 부정하는 게 아니라 
채식을 종교적인 수준으로 맹신하거나 남에게 강권하는 이들에게 
논리의 허점을 지적하면서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 있죠 . 

하지만 뒷부분의 실제 일어나는 현재의 지구 환경 문제는 
채식주의자뿐만 아니라 
현대를 사는 모든 이에게 해당하는 내용이더군요.
'우리 문명의 마지막 시간들'과 유사한 내용이지요. 

한국판 제목인 '채식의 배신'은 
실제 책 내용과는 거리가 있다고 봅니다.
작가는 채식은 했어도 
영양과 열량(칼로리)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했더군요. 
자동차가 휘발유(열량)로만 움직이는 게 아니라 
윤활유(영양)도 있어야 합니다. 
이런 면에서 무지한 작가는 20년간 
정제된 곡식(백미 백밀)으로 된 음식을 먹어서 
소위 말하는 저혈당 상태가 되어 건강을 망쳤다는 것이죠.

결국 작가는 채식이 아니라 
당을 무분별하게 섭취한 귀결로 
저혈당 상태를 겪고 있는 것이죠. 
이것은 정제된 곡식, 당류를 드시는 이는 
채식하든 육식하든 누구나 걸리는 현상이죠. 
이런 점에서 '채식의 배신'이 아니라 
입맛대로 단맛을 선호했던 
자신의 '식습관의 귀결'일 뿐이죠. 

하지만 정치적, 종교적인 채식주의자들에게는 
채식의 동기를 돌아보게 할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채식은 한다고 하면서도 
설탕을 비롯한 당류를 먹고, 
곡식이나 과일을 껍질째 먹지 않는다면 
채식만으로는 빛좋은 개살구일 뿐인데 
이런 점을 나름의 방식으로 잘 지적합니다.  

작가도 당중독으로 저혈당 상태가 되어서 거의 죽다가 산 경우죠. 
작가는 ‘단백질 중독’에서 ‘당중독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육식을 시작했으니 
그래도 다행히(?) 단백질 중독 상태로 돌아간 것이죠. 
그녀는 단지 중독을 당에서 단백질로 옮겼을 뿐이죠. 
약간 위험한 상태에서 벗어나긴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저혈당 상태입니다. 
이런 점에서 고기보다 당인 밥을 더 찾는 것은 
건강한 상태가 아니라 곧 당뇨가 온다는 저혈당의 신호죠. 

마찬가지로 현재 대한민국의 구성원의 80%가 
저혈당 상태이거나 대사증후군에 걸려 있죠. 
제가 볼 때 채식한다는 이들도 50%는 저혈당 상태입니다.
작가는 그 원인을 정제한 곡물 섭취라고 합니다.  

또 육식은 안 되고 채식은 된다고 하는 동물 권리주의는 
채식주의자의 엉터리 논리라 하죠.
같은 생명인데 동물과 식물을 차별하는 것은 이치에도 맞지 않고,
비건주의자는 종교인들처럼 남의 말을 검토하지 않고 믿는다고 지적하죠. 
기아의 해결책으로 곡물이 적절하지 않은 점을 역설하죠. 

동학의 해월 선생님께서 '하느님이 하느님을 먹는다'는 말처럼 
자신이 먹는 생명은 타의 (죽음으로 인한) 생명 덕택에 
즉 삶은 다른 생명의 죽음을 전제로 성립된다는 것이죠.
또 우리가 먹는 곡물에는 멸종된 생명의 희생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인간은 최종 포식자가 아니라 
자신의 삶을 위해 다른 생명체를 죽여야 하지만 
자신도 순환의 한 고리로 그들의 먹이가 돼야 한다고 합니다.  

결국, 작가는 농업 자체가 지속 불가능한 문명의 핵심이라고 하며
해결책으로 지역 농사를 강조합니다. 
즉 일년작 작물이 아니라 다년작 식물을 심고, 
동물과 가축을 공존하게 하여 
걸어 다닐 수 있을 정도의 범위 안의 지역경제를 
각 지역에 적합한 생태계를 복원하기를 제안하죠.  

저는 중간 부분에 설명하는 일년작 농사의 폐해에 대해 
처음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네요. 

결국, 이 책은 채식주의자보다는 일반인들이 불편할 내용이겠더군요.
이 지구의 화석 에너지는 얼마 있지 않아서 끝장난다.
지구 상의 인간의 개체 수가 과잉이다. 
(곧 개체 수가 조절된다.)
이런 불편한 진실이지요... 

감사합니다.

음식과 건강_단백질중독과 당(탄수화물)중독에 관하여
http://blog.naver.com/synup/10161194937  도
참고하시길...

IP : 182.221.xxx.22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morning
    '13.2.26 5:41 AM (119.203.xxx.233)

    아직 못읽어보고 있는데 '직접 읽으신' 분의 소감을 보니 참고가 많이 됩니다.
    충분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아는 절제식은 '무분별한' 식생활을 하는 것과 다름이 없는 것 같습니다.

  • 2. hhh
    '13.2.26 8:05 AM (180.224.xxx.178)

    정제된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저혈당이 아니라 고혈당이 되는 것 아닌가요?

  • 3. 감사
    '13.2.26 8:34 AM (211.108.xxx.159)

    책 내용이 무척 궁금했는데 감사드려요. 역시 채식을 최종 목적으로 삼기보단 환경과 몸을 아우르는 식습관이 최종목적이 되어야하는군요..

  • 4. ..
    '13.2.26 8:40 AM (121.162.xxx.172)

    저도 흥미를 가지게 된 책이긴 한데 반갑네요. 아직 읽어 보지는 않았지만.
    어떤 편협된 식습관이 과히 좋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또 육식을 하는 근간의 산업을 비판 하는 소리는 많았지만. 채식산업이나 그 근간의 산업에 대한 고찰이 개인적으로 부족해서 꼭 읽어 보려고 합니다.
    최종적으로 현대 사회의 모든 산업이 어쩜 극단을 달린다는 결론이 나올지도..

    다이어트를 하면서 참 음식이 넘쳐 나는 세사에 먹을 음식또한 많지 않고 그럼에도 아직 희망은 있다고 믿고 싶어서요. ㅠㅠ

  • 5. 그 맛있는 산해진미 다 끊고
    '13.2.26 9:37 AM (121.141.xxx.125) - 삭제된댓글

    그래서 현미생식, 현미채식으로 보통 채식을 시작하죠.
    동양에서는 채식할 때 백미채식은 하지 않지요.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히 백미 백밀이 좋지 않다는걸 알거든요.
    채식보다 더 좋은건 생식이지만
    일반인이 실천하기엔, 그리고 지금까지 길들여져왔던 그 먹는 즐거움을 포기하기엔
    인류는 너무 멀리 와버렸는지도 몰라요.

  • 6. 그 맛있는 산해진미 다 끊고
    '13.2.26 9:38 AM (121.141.xxx.125) - 삭제된댓글

    참 저출산은 가장 인간적인 인구감소 방식이라고 하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6931 가방 이름 좀 알려주세요 5 잇 백 아니.. 2013/03/06 974
226930 죽은노트북 하드 새노트북에 옮기려는데 어디가야하나요? 4 돈도없는데 .. 2013/03/06 602
226929 장터 "가정용"의 정의는 뭔가요? 13 ... 2013/03/06 1,958
226928 담임쌤이 교실에서 실내화 벗게 하신답니다. 12 초등2 2013/03/06 3,306
226927 완경이 오는거 같은데요.. 4 .. 2013/03/06 2,304
226926 인터폰 가격이 이렇게도 비싼가요? 3 20~30만.. 2013/03/06 6,429
226925 어르신 장례식장에서 울었네요.. 1 주책맞게.... 2013/03/06 1,323
226924 네이버 파워블로거 말인데요 ㄷㄷ 2013/03/06 1,554
226923 그 겨울 끝나고 바로 이병헌 광고 눈을 뗄 수가 없네요 3 우연? 2013/03/06 1,995
226922 다른동네 교촌치킨은 쿠폰있나요? 9 2013/03/06 2,264
226921 하이네켄 채용 프로세스 有 소나기와모기.. 2013/03/06 697
226920 뚜껑까지 스텐인 스텐 전기주전자는 없는 걸까요? 4 급질.. 2013/03/06 2,841
226919 이번주 제주 날씨 어떤가요? 2 ^^ 2013/03/06 822
226918 요즘은 ABC..를 에이.비.씨. 이렇게 안가르치고 아브스.. .. 33 영어 2013/03/06 11,771
226917 갑자기 혼자가 되신 우리엄마..어떤 도움을 드려야할까요?? 10 딸.. 2013/03/06 2,397
226916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진과 동영상 컴에 옮기고 싶은데요 8 질문 2013/03/06 1,318
226915 여자가 주관이 뚜렸한 남성에게 끌리는 이유 프로이트말함.. 2013/03/06 1,305
226914 방광염은 스트레스성 아닌가요? 6 이유 2013/03/06 3,167
226913 갤럭시S3 이 가격이면 좋은건가요? 7 스마트폰 2013/03/06 1,798
226912 피자 어떡하면 맛나게 만들수 있을까요? 4 모닝콜 2013/03/06 1,046
226911 저두요ㅜㅜ 노란딸기 2013/03/06 488
226910 송혜교 눈 뜨고 연인으로 달달한 연애나 실컷 보여줬으면!! 12 차라리 2013/03/06 4,347
226909 휴양지가서 하루종일 수영장 해변에 누워서 칵테일 맥주 주구장창먹.. 6 2013/03/06 1,868
226908 그룹수퍼비전 연구소 2013/03/06 414
226907 지금 그겨울보시는분 소라가 1 뭐라고했나요.. 2013/03/06 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