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채식의 배신'을 읽고

신업인 조회수 : 5,029
작성일 : 2013-02-26 04:58:56

반갑습니다.

몇 분이 이 책의 정보에 관심을 표명하고,
저는 비록 채식주의자는 아니지만 채식을 실천하고 있으며,
부인이 ' 현미채식요리 '란 책을 내기도 했기에 직접 사서 읽어보았네요.  

원제목The Vegetarian Myth처럼 
앞부분은 '채식주의자의 엉터리 신화'를 
여러 면에서 지적합니다.
작가는 채식을 전면 부정하는 게 아니라 
채식을 종교적인 수준으로 맹신하거나 남에게 강권하는 이들에게 
논리의 허점을 지적하면서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 있죠 . 

하지만 뒷부분의 실제 일어나는 현재의 지구 환경 문제는 
채식주의자뿐만 아니라 
현대를 사는 모든 이에게 해당하는 내용이더군요.
'우리 문명의 마지막 시간들'과 유사한 내용이지요. 

한국판 제목인 '채식의 배신'은 
실제 책 내용과는 거리가 있다고 봅니다.
작가는 채식은 했어도 
영양과 열량(칼로리)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했더군요. 
자동차가 휘발유(열량)로만 움직이는 게 아니라 
윤활유(영양)도 있어야 합니다. 
이런 면에서 무지한 작가는 20년간 
정제된 곡식(백미 백밀)으로 된 음식을 먹어서 
소위 말하는 저혈당 상태가 되어 건강을 망쳤다는 것이죠.

결국 작가는 채식이 아니라 
당을 무분별하게 섭취한 귀결로 
저혈당 상태를 겪고 있는 것이죠. 
이것은 정제된 곡식, 당류를 드시는 이는 
채식하든 육식하든 누구나 걸리는 현상이죠. 
이런 점에서 '채식의 배신'이 아니라 
입맛대로 단맛을 선호했던 
자신의 '식습관의 귀결'일 뿐이죠. 

하지만 정치적, 종교적인 채식주의자들에게는 
채식의 동기를 돌아보게 할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채식은 한다고 하면서도 
설탕을 비롯한 당류를 먹고, 
곡식이나 과일을 껍질째 먹지 않는다면 
채식만으로는 빛좋은 개살구일 뿐인데 
이런 점을 나름의 방식으로 잘 지적합니다.  

작가도 당중독으로 저혈당 상태가 되어서 거의 죽다가 산 경우죠. 
작가는 ‘단백질 중독’에서 ‘당중독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육식을 시작했으니 
그래도 다행히(?) 단백질 중독 상태로 돌아간 것이죠. 
그녀는 단지 중독을 당에서 단백질로 옮겼을 뿐이죠. 
약간 위험한 상태에서 벗어나긴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저혈당 상태입니다. 
이런 점에서 고기보다 당인 밥을 더 찾는 것은 
건강한 상태가 아니라 곧 당뇨가 온다는 저혈당의 신호죠. 

마찬가지로 현재 대한민국의 구성원의 80%가 
저혈당 상태이거나 대사증후군에 걸려 있죠. 
제가 볼 때 채식한다는 이들도 50%는 저혈당 상태입니다.
작가는 그 원인을 정제한 곡물 섭취라고 합니다.  

또 육식은 안 되고 채식은 된다고 하는 동물 권리주의는 
채식주의자의 엉터리 논리라 하죠.
같은 생명인데 동물과 식물을 차별하는 것은 이치에도 맞지 않고,
비건주의자는 종교인들처럼 남의 말을 검토하지 않고 믿는다고 지적하죠. 
기아의 해결책으로 곡물이 적절하지 않은 점을 역설하죠. 

동학의 해월 선생님께서 '하느님이 하느님을 먹는다'는 말처럼 
자신이 먹는 생명은 타의 (죽음으로 인한) 생명 덕택에 
즉 삶은 다른 생명의 죽음을 전제로 성립된다는 것이죠.
또 우리가 먹는 곡물에는 멸종된 생명의 희생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인간은 최종 포식자가 아니라 
자신의 삶을 위해 다른 생명체를 죽여야 하지만 
자신도 순환의 한 고리로 그들의 먹이가 돼야 한다고 합니다.  

결국, 작가는 농업 자체가 지속 불가능한 문명의 핵심이라고 하며
해결책으로 지역 농사를 강조합니다. 
즉 일년작 작물이 아니라 다년작 식물을 심고, 
동물과 가축을 공존하게 하여 
걸어 다닐 수 있을 정도의 범위 안의 지역경제를 
각 지역에 적합한 생태계를 복원하기를 제안하죠.  

저는 중간 부분에 설명하는 일년작 농사의 폐해에 대해 
처음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네요. 

결국, 이 책은 채식주의자보다는 일반인들이 불편할 내용이겠더군요.
이 지구의 화석 에너지는 얼마 있지 않아서 끝장난다.
지구 상의 인간의 개체 수가 과잉이다. 
(곧 개체 수가 조절된다.)
이런 불편한 진실이지요... 

감사합니다.

음식과 건강_단백질중독과 당(탄수화물)중독에 관하여
http://blog.naver.com/synup/10161194937  도
참고하시길...

IP : 182.221.xxx.22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morning
    '13.2.26 5:41 AM (119.203.xxx.233)

    아직 못읽어보고 있는데 '직접 읽으신' 분의 소감을 보니 참고가 많이 됩니다.
    충분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아는 절제식은 '무분별한' 식생활을 하는 것과 다름이 없는 것 같습니다.

  • 2. hhh
    '13.2.26 8:05 AM (180.224.xxx.178)

    정제된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저혈당이 아니라 고혈당이 되는 것 아닌가요?

  • 3. 감사
    '13.2.26 8:34 AM (211.108.xxx.159)

    책 내용이 무척 궁금했는데 감사드려요. 역시 채식을 최종 목적으로 삼기보단 환경과 몸을 아우르는 식습관이 최종목적이 되어야하는군요..

  • 4. ..
    '13.2.26 8:40 AM (121.162.xxx.172)

    저도 흥미를 가지게 된 책이긴 한데 반갑네요. 아직 읽어 보지는 않았지만.
    어떤 편협된 식습관이 과히 좋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또 육식을 하는 근간의 산업을 비판 하는 소리는 많았지만. 채식산업이나 그 근간의 산업에 대한 고찰이 개인적으로 부족해서 꼭 읽어 보려고 합니다.
    최종적으로 현대 사회의 모든 산업이 어쩜 극단을 달린다는 결론이 나올지도..

    다이어트를 하면서 참 음식이 넘쳐 나는 세사에 먹을 음식또한 많지 않고 그럼에도 아직 희망은 있다고 믿고 싶어서요. ㅠㅠ

  • 5. 그 맛있는 산해진미 다 끊고
    '13.2.26 9:37 AM (121.141.xxx.125) - 삭제된댓글

    그래서 현미생식, 현미채식으로 보통 채식을 시작하죠.
    동양에서는 채식할 때 백미채식은 하지 않지요.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히 백미 백밀이 좋지 않다는걸 알거든요.
    채식보다 더 좋은건 생식이지만
    일반인이 실천하기엔, 그리고 지금까지 길들여져왔던 그 먹는 즐거움을 포기하기엔
    인류는 너무 멀리 와버렸는지도 몰라요.

  • 6. 그 맛있는 산해진미 다 끊고
    '13.2.26 9:38 AM (121.141.xxx.125) - 삭제된댓글

    참 저출산은 가장 인간적인 인구감소 방식이라고 하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3007 저녁먹고나서 허기져하는 남편 8 허기 2013/02/27 1,572
223006 월세살다 돈모으신분계신가요? 6 ㄴㄴ 2013/02/27 2,335
223005 좀 급해요 pdf로 들어온건 2 지금 사무실.. 2013/02/27 505
223004 8시부터 공사하는 윗층 인테리어 업체 정말 짜증나요. 5 아래층 2013/02/27 1,861
223003 단발 머리,어떤 파마가 나을까요? 2 예비 중1 2013/02/27 1,589
223002 남편의 보험... 24 살다보면.... 2013/02/27 2,478
223001 집에서 염색하려고 하는데 추천해 주세요~~ 3 염색약 2013/02/27 883
223000 야왕에 나오는 침대 문의 2013/02/27 559
222999 몸무게 변화 별로 없고, 외모지수도 순탄한 분들, 비결 좀 풀어.. 5 초보맘 2013/02/27 1,393
222998 왜 악기 하나씩은 해야 하냐구요? 27 지니제니 2013/02/27 4,029
222997 스트레칭이 습관이 되어버린 사람 5 ... 2013/02/27 3,003
222996 2월 27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3/02/27 264
222995 곧 초등학교 입학인데, 아이 공부할 책 뭘 사야 할까요? 3 입학직전 2013/02/27 609
222994 주말마다 집안 대청소중 ... 2013/02/27 748
222993 아이낳고 관절이 아픈데 나중에 괜찮아지나요? 12 .. 2013/02/27 1,080
222992 굴 제철시기 끝난걸까요? 2 햇살 2013/02/27 3,903
222991 대입 전화찬스?궁금해요. 고등맘 2013/02/27 661
222990 딱딱한 원목 가죽쇼파 쓰시는분 계시면.. 후기좀 알려주세요 3 쇼파 2013/02/27 1,874
222989 시어머니 복 2 시어머니 복.. 2013/02/27 1,423
222988 연말정산 결과가 나왔네요... 17 정말정말 2013/02/27 3,218
222987 월남쌈 푸른색 재료는 뭐가 맛있나요?? 13 월날쌈 좋아.. 2013/02/27 1,255
222986 코스트코에서 안마의자 큰 거 파는 거 보신분? 6 ? 2013/02/27 1,559
222985 수학 공부법 글 좀 찾아주세요. 중등맘 2013/02/27 358
222984 이삿날인데 이사업체가 까먹고 안왔어요. 15 망할!! 2013/02/27 5,883
222983 필립스쥬서기 사용하시는 분이요 사용법 2013/02/27 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