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겨운 제사 얘기 입니다.^^

머리아퍼 조회수 : 2,776
작성일 : 2013-02-04 23:51:09

저희집은 첫째구요 어머님이 돌아가신 후 제가 제사 물려 받게 되어 작은 어머니3분이랑 사촌동서2명 옵니다.

13년동안 제사 지냈구요,

문제는 저랑 작은어머니 사이에 묘한 기운이 있습니다.

반가운척 하지만 부담스러운, 친한것 같지만 결코 친하지않은 미묘한 기운이 항상 있습니다.

그리고 전 항상 외톨이 였습니다.

알고보니 그전에 어머니도 그랬던거 같습니다.

누구한테 의지 할 사람이 없어 마음이 힘들고 괴로운 나날들이 많아서,

과거를 생각해보면 명절이 우울해집니다.

그래서, 봐야 옛생각나서 우울한 작은어머니들은 이제 며느리도 보고 하셨으니 조카동서2명과

저랑 제사상을 차렸으면 하는데,

예의에 많이 어긋나는 일일까요?

저번 추석때 살짝 운을 떼오보니 좋은 기색은 아니었습니다.

그땐 제가 저도 혼자서 여러가지 요리 할 수 있단걸 보여줬어거든요..

눈치빠른 작은어머니가 저의 의도를 모를리 없고,

전 일이 문제가 아니라 사람간의 스트레스가 너무 크기 때문에 솔직히 그냥 혼자 하고 싶어요.

이만때쯤이면 신경이 곤두서서 잠도 잘 안오고,

날카로워 져 있네요.

IP : 119.64.xxx.7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3.2.4 11:57 PM (203.152.xxx.15)

    저랑 비슷하시네요.
    저도 맏며느리고 결혼한지 20년 됐고 제사는 제가 결혼하면서부터 물려받아 했었죠..
    (시아버님은 돌아가셨고 시어머님은 투병중이셨고 결혼후 6개월만에 돌아가셨어요..)
    나중에지만 동서도 생겼는데..
    작은집에서 오셔서 제사 차례 같이 지내십니다.
    한 5년 정도 그렇게 지내다가...
    제가 직장생활도 하고 .. 아이도 있게 된후...
    할아버님 할머님 제사에만 오시라고 말씀드렸어요.
    설과 추석 명절은 작은아버님댁에서 그집 아들 며느리 데리고 지내셨음 한다고요.

    원글님네는 어떻게 하실지 원글님이 정하겠지만...
    저희집은 할아버님 할머님 제사에만 작은 집이 오십니다.

  • 2. ...
    '13.2.4 11:57 PM (175.223.xxx.93)

    작은어머니는.시어머니대신.어른노릇하고싶으신거죠.오시지말라고 할 순 없지않나 싶어요.

  • 3. ㅁㅁㅁ
    '13.2.4 11:58 PM (58.226.xxx.146)

    저기...
    작은어머니들은 오시지 말라고 하고, 조카며느리 두 명과 님이 준비하고 싶다는 말씀이세요?
    그런데, 님에게는 조카 며느리가 아니지 않나요?
    작은 어머니들의 며느리면, 님에게는 사촌동서들 아닌지요.
    아님 사촌 동서들이 또 아이들을 낳아서 님에게도 조카 며느리가 생긴건가.. 이건 아닌 것같은데..
    어쨌든, 음식할 때 시어머니들은 오지 말라고 하고, 며느리들만 큰집에 가서 준비하고 하는건 좀 이상해보여요.
    차라리 며느리 들였으니 각자 집에서 하라고 하면 몰라도요.
    작은 어머니들은 모이는걸 좋아하겠지요. 나중에 오시라고 하는게 더 복잡할 것같네요.
    명절이라면 자기 아들들하고 같이 큰집에 가려고 하겠지, 따로 오는건 싫어할 것같아요.

  • 4. 웃긴
    '13.2.4 11:58 PM (119.71.xxx.74)

    작은엄마네요 그게뭐 기분나쁜 일인가요 제사지내주고 본인은 쉬라는데

  • 5. ....
    '13.2.5 12:07 AM (211.244.xxx.166)

    저희 작은어머니는 명절 때마다 해외여행가세요
    그때 아니면 여행갈수없다고 전 어이없었는데
    이젠 편하고 좋아요

  • 6. 그게 참
    '13.2.5 12:08 AM (118.91.xxx.218)

    윗 형님도 안계신데 조카며느리가 주도하는 제사에 작은 어머님들 모두 참여하시는건가요?
    굳이 안 오셔도 되는건 아닌지....

  • 7. 안오셔도
    '13.2.5 12:26 AM (220.94.xxx.17)

    될것 같은제요.어른 노릇하고 싶으신지 몰라도 보니까 거져 세월 먹고 들어간 양반 같은데요.참고로 저는 작은 어머니라는 미친여자때문에 시댁과 연끊은 사람이예요.요즘 시댁들은 아들과 사이라도 틀어질까 며느리 눈치 보는데 작은 어머니 자린 그걸 즐기더군요.휘둘리지 마세요.

  • 8. 제사가
    '13.2.5 12:44 AM (118.216.xxx.135)

    참 문제군요!

    우리 세대에선 반드시 없애야할 구습인듯 해요!

  • 9. ...
    '13.2.5 1:03 AM (175.113.xxx.11)

    안오셔도 되는건 아니죠 본인인들 백프로 오고 싶겠어요 남편에게 내 부모 내 조부모 제사인데 숙부 숙모에게 오지 말라 할수는 없어요

  • 10. 에구...
    '13.2.5 2:00 AM (174.93.xxx.110)

    참 제가 들어도 여러가지 탱탱한 어떤 감정의 선이 보이네요.
    지금 원글님의 입장 충분히 이해 갑니다.
    원글님은 13년이란 세월을 혼자 하셨구요,
    이젠 원글님이 당당히 뭔가 문제 재기를 하셔도 될듯합니다.
    첫댓글 다시분처럼요.
    명절은 그집에서 며느리들과 지내시고 제사는 일년에 할아버지 할머니 직속 제사만 오시게 하는것이 가장 좋은 생각이라 드네요.
    만약 그분이 그걸 수용하지 않는 다면 그분은 어른의 그릇이 되지도 못하시는 분이구요(지금 봐도 그렇지만)
    물론 말을 꺼내는게 어렵긴 하시겠지만, 그럴수록 원글님 혼자 스트레스 쌓이고 몸만 힘들어 질뿐이지요.

  • 11. 작은집 며느리입니다
    '13.2.5 2:55 AM (119.70.xxx.35) - 삭제된댓글

    큰댁 시어른들은 모두돌아가시고 작은집인 저희 시어머니만 계시는데요.저와 윗동서 결혼후 얼마 지나지않아 명절엔 저희어머님은 가시지 않고 대신 장남을 보냅니다
    며느리들도 가서 따로 일 도와드리진 않구요 저희집 차례를 조금 일찍지내고 맏이되시는 아주버님과 남편이 같이가기도 하지만 아주버님 혼자서 주로 가십니다 누군가 작은집의 대표로 큰집에 참석만 하는거죠
    큰집 며느리들이 작은어머니 오시는거 불편할거라고 안가시더군요

  • 12. 작은집 며느리입니다
    '13.2.5 3:05 AM (119.70.xxx.35) - 삭제된댓글

    남편이 사촌들에게 얘기하는게 낳을듯하네요
    음식은 원글님이 다할테니 제사에만 참석하시라고..
    한두번 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안오십니다

  • 13. ...
    '13.2.5 7:45 AM (222.109.xxx.40)

    작은 엄마 입장인데요.
    제사 참석하기 싫어도 가야해요.
    남편(원글님편에서 작은 아버지) 눈치가 보여서요.
    원글님 남편이 작은 아버님께 말씀 드려야 할거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7515 영화 베를린 인물관계도 - 강풀 2 참맛 2013/02/08 2,097
217514 위염으로 아파하는 재수생딸,도와주세요. 36 걱정거리 2013/02/08 14,220
217513 괌... 3 구름 2013/02/08 940
217512 왜이렇게 몸이 간지러운거죠?ㅠㅠ 8 ㅠㅠ 2013/02/08 5,156
217511 명절에 사악한 친척들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말 한 마디 .. 18 유기물 2013/02/08 5,029
217510 먼훗날 시어머니 되면 이렇게 하고파요 ㅋㅋ 66 정글속의주부.. 2013/02/08 5,086
217509 5세 음악 취향 2 ... 2013/02/08 1,034
217508 호떡 믹스 어디꺼가 젤 맛있나요?? 9 에이요요 2013/02/08 2,737
217507 시누의 시어머니께서 돌아가셨는데 6 조의금 2013/02/08 2,259
217506 외환 크로스마일 se 카드 발급받으신분 계신가요? 4 여행 2013/02/08 1,561
217505 전 명절때 억지로 윷놀이하라는 것 싫어요 1 .. 2013/02/08 1,067
217504 설에 조카들과 어떤 놀이를 할까요? 8 음.. 2013/02/08 981
217503 원통해서 못살겠습니다. 16 억울하고 2013/02/08 5,373
217502 조ㅇ 호텔 뷔페 갔다가 실망했어요 10 Aria 2013/02/08 4,497
217501 친정아부지 불면증 1 ㄴㄴ 2013/02/08 1,010
217500 장모님이 오늘 퇴직하셨습니다. 어떤 꽃선물이 좋을까요? 9 용알 2013/02/08 2,753
217499 노트북 쓰시는 분들..인터넷이요 15 스노피 2013/02/08 5,623
217498 이번 주말엔 파리를 걸어요 :) 8 im알파걸 2013/02/08 1,519
217497 기쁜 마음에 자랑하려고 글써요. ~~~ 17 밤비 2013/02/08 3,731
217496 설선물 어떻게 하세요? 초뉴 2013/02/08 681
217495 아웃백 추천음식? 과 할인카드~~ 4 궁금 2013/02/08 1,513
217494 명절 아침에 꼭 아침을 같이 먹어야 하나요? 60 좀힘들 2013/02/08 4,596
217493 박수건달 vs 다이하드 vs 7번방의선물? 9 영화모볼까요.. 2013/02/08 1,921
217492 친정엄마가 아프신데, 명절 친정안가는게 도움될까요? 4 이런 경우 2013/02/08 1,235
217491 내사랑봉구 1 봉구 2013/02/08 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