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피아노 못치는 애들 있나요?

고민 조회수 : 2,684
작성일 : 2013-01-25 13:53:21
사정상 피아노를 늦게 시작했었어요. 여자애구요.

2학년부터해서 2년했는데요. 피아노선생님께서

이제 못하시게되서 쉬게되었어요.

아직 잘 못치고 악보보는것도 못하는데요.

근처에 이제 배울데가 없어서 방문으로 해야되는데

금액도 비싸지만 집에 누가 오는게 힘들어서요.

그리고 이제 5학년되니 시간도 빠듯할것 같아요.

그만두려니 이제껏 배운게 아깝고 하려니 고민이...

주변엔 시간상 고학년되면 다들 관두더라구요.

걔들은 어릴때부터쳐서 잘치니까 다른 경우고요.

요즘 피아노 못치는애들 있나요?

제가 가르치면 좀 그렇겠죠...
IP : 1.253.xxx.46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25 1:55 PM (117.111.xxx.148)

    배우거나 못 배우면 못 치는거죠.

  • 2. 주위에도
    '13.1.25 2:00 PM (219.250.xxx.158)

    근데 요즘에 정말 피아노 못치는 애도 드물긴해요.
    보통 체르니40까지는 기본으로 치고 그만두던데요.
    옛날과 달라서요...

  • 3.
    '13.1.25 2:01 PM (112.158.xxx.101)

    못쳐두돼요~~
    중고 음악시간에 피아노 실기가 있는것도 아니고
    칠줄알면 좋지만 칠줄몰라도 하등의 문제 없던데요..
    음악 필기시험은 열심히 공부해서 치면 되구요..

  • 4. 고민
    '13.1.25 2:02 PM (1.253.xxx.46)

    그렇죠... 아예 안배운애도 보긴했는데 대부분 취학전 시작해서 40까지 치고 고학년때 관두더라구요. 중학교가면 피아노 배워놓은게 도움될까요?

  • 5. ...
    '13.1.25 2:14 PM (58.126.xxx.18) - 삭제된댓글

    학년보다는 아이가 더 배우고 싶어하는지가 중요하겠죠.
    중학교 가서 피아노 못쳐도 별 영향 없어요.
    주요 과목외에는 별로 신경 안쓰는 분위기예요.

  • 6. 저는
    '13.1.25 2:27 PM (125.135.xxx.131)

    중학교 때 음악 필기 시험이 무척 힘들었어요,
    악보 보는데 너무 어려웠거든요.
    그러나 제 생각은 피아노를 배웠다면 마치 한글을 배우듯이 다 알고 들어온다고 생각들었어요.
    피아니스트 될거 아니라면 심층적으로 배울 필요는 없지만 이왕 배운거 ..
    초등까지라도 배워두면 음악은 자신감을 가질 거고 앞으로 취미로도 간간이 쓸 수 있을 거예요.
    요즘은 피아노 학원이 드물 정도로 피아노 배우는 거 유행이 갔지만 그래도 우수한 아이들은 공부에 한 악기 정도는 하는 주의거든요.학예회때 악기부 조직돼 있는 거 보면 다 공부 잘하는 애들이네요.

  • 7.
    '13.1.25 2:39 PM (175.192.xxx.55)

    비주얼 괜찮았나요? CG남처럼 외모로 훌륭하지 못하니, 두부조림으로라도... 맛있게 드셔요!

  • 8. 못치는애 있죠
    '13.1.25 3:24 PM (118.216.xxx.135)

    우리 둘째..
    피아노만 보내놓으면 자고...선생이 나중에 포기..ㅠㅠ 2년 보냈으나 바이엘도 못뗐어요. 미쳐~ (아! 여자아이인데 꼭 머스마 같아요.)

  • 9. 못치는애 있죠
    '13.1.25 3:25 PM (118.216.xxx.135)

    근데 요샌 대학가는데 예체능 영향력 없고 하니까 큰 문제는 안됐어요. 작년에 무사히 인서울 중위권 합격했네요.

  • 10. ...
    '13.1.25 3:34 PM (223.62.xxx.169)

    피아노 잘 치는 아이도 드물어요. 피아노는 4년은 쳐야지 친다 할 수준이어요. 평균적으로요~
    4년 이상을 취미로 하는 아이도 드물어요. 중학교 한반에 반주 가능한 아이들 2~3명 될까요~

  • 11. 못쳐도돼요
    '13.1.25 3:47 PM (183.102.xxx.216)

    피아노 못 쳐도 되지요.
    그런데 말씀만 그렇게 하시는 거지 2년 배운 여자 아이라면 악보는 대충 볼 줄 알 것 같아요.
    여자애들이 훨씬 야무진 구석이 있던데요.
    아직 초등학생이니까
    피아노 말고 다른 악기 하나 가르쳐주시면 좋지 않을까 싶어요.
    플룻이나 기타 정도 배워두면 중학교, 고등학교에 진학해서 활용할 기회가 더러 있어요.
    제 아이는 고등학교 남학생이지만 음악 실기 시험중 가창 말고는 항상 피아노로 준비 했어요.
    대부분의 친구들은 리코더로 시험 본다고 하던데
    자기는 피아노로 준비하니 수월하고 점수도 후하게 받는다고 만족해 했어요.
    음악 필기 시험도 잘 보는 편이니(내신 상관 없다고 시험 공부 전혀 안하는 경우도 있어요)
    악기 하나 정도는 가르치기 잘 했구나 싶어요.
    학교 시험이나 성적이 문제가 아니고 평생 취미 차원에서 다른 악기 하나 가르치면 좋겠어요.

  • 12. 근데..
    '13.1.25 5:02 PM (115.140.xxx.42)

    예체능이 그렇듯이 치기싫어하고 별로 진도도 안나가고 하면 굳이 오랫동안 시킬필요있나 싶어요...
    정말 능력에따라 차이가 많이 나는게 예체능아닌가 싶어요...소질있는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는
    근 1년이상 차이나기도 하니까요...우리아이는 지가 원해서 시켜줬는데 이사가면서 여의치않아 그만
    뒀었는데 2년지나 요즘 조르네요...시켜달라고...그래서 고민중입니다..

  • 13. ;;;
    '13.1.25 7:47 PM (86.159.xxx.155)

    저는 전공자인데도 작은애는 가르치지 않았어요.
    제가 해서 아쉬움이 없는건지 큰애는 몇년 쳤는데 다 잊어버린거 같고
    작은애는 지금 기타 배웁니다. 기타는 사실 코드 위주로 배워서 악보 보는데
    큰 도움도 없고.... 악보 보는거 어려워하는 애들은 몇년을 쳐도 힘들고,
    좀 똘똘하다 싶은 애들은 금방 배우기도 하구요, 다 애들마다 달라요.
    애가 특별히 배우고 싶어하지 않으면 더 가르치지 않으셔도 되는데,
    제 친구는 본인이 음치고 어렸을때 피아노 배우다 그만둔게 사실 음치랑 아무 상관 없는데도
    그게 한이 되는지 열심히 가르치더라구요. 그러면서 엄마가 애가 싫다해도
    좀 강제로라도 시키지 하면서 애가 원하는대로만 다 해주면 뭐가 발전이 있겠냐 하는데...
    또, 저희 부모님은 너무 강제적인게 많아서.... 나중 우리 애들이 제 친구처럼 말할수 있겠다도 싶어요.

  • 14. ....
    '13.1.25 11:09 PM (121.254.xxx.76)

    피아노 8년 배웠는데 중고등학교 실기시험은 항상 리코더로 봤어요....--;;;
    사실 피아노란게 진짜 제대로 치지 않으면 되게 어설퍼서요. 그냥 웬만하면 다들 리코더로 하는 분위기였어요
    그리고 음악 이론 필기시험도 저한텐 너무너무 어려웠네요.
    실질적으로 대학진학? 하는데는 영향력이 거의 0%에 가까우니까 이런쪽으로는 신경 안 쓰셔도 되구요...
    근데 피아노 칠 줄 알면 되게 좋긴 좋을거 같아요...제대로 칠 줄 알면요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4072 아우~사랑했나봐...더이상 못보겠네요 6 최선정 2013/01/31 2,182
214071 불산 사망자 유족 "삼성, 조문은커녕 연락도 안 해&q.. 6 주붕 2013/01/31 1,174
214070 빚만 남는 하우스 푸어들 어찌 되는건가요? 7 내집장만 2013/01/31 2,665
214069 3학년 분수를 가르치려는데... 2 방법좀 2013/01/31 1,139
214068 제가 시댁에 뭘 잘못했는지.. 40 아침부터 속.. 2013/01/31 11,185
214067 정우택 성추문 유포 새누리당 전 청년위원장 징역형 구형 2 웃긴나라 2013/01/31 545
214066 담주초에 한복이 필요해요 4 여아한복 2013/01/31 609
214065 03.11.12라고 씌여있는 유통기한은 12년 3월 11일까지인.. 1 유통기한 2013/01/31 459
214064 국정원 여직원이 '오유'에 썼던 글, 이제야 밝혀지다 7 우리는 2013/01/31 1,357
214063 스파게티위에 뿌려 먹을거 5 bbb 2013/01/31 750
214062 뉴욕에서 유명한 9 dainnk.. 2013/01/31 1,473
214061 질문 월계수잎은 마라톤에 금메달딴사람만 1 소금 2013/01/31 470
214060 백팩 예쁜거 추천부탁드려두 될까요? 키플링 이런거 말구요... 7 김은영 2013/01/31 2,095
214059 서울에 유명한 한의원 추천 부탁 드림니다 1 멀리살아요 2013/01/31 1,184
214058 이동흡도 자진사퇴 카운트다운? 4 세우실 2013/01/31 904
214057 네살 여아 피부가...간지럽지는 않은데 닭살처럼 건조하고..오돌.. 7 아이가 2013/01/31 3,315
214056 김태원 방송보다가 ,, 44 2013/01/31 13,425
214055 맥반석 계란 집에서 찌는방법 아시는분계세요? 7 2013/01/31 1,387
214054 롱*가방에 대해 문의 드려요 3 가방이필요해.. 2013/01/31 1,531
214053 명절 음식하는거 싫으네요 1 실타 2013/01/31 579
214052 시댁에 형님 되시는 분들~! 저 큰집 당일 아침에 가면 욕 먹을.. 19 으니맘 2013/01/31 3,998
214051 임신중인데 병원에 너무 자주 오라고 하는 것 같아요.. 5 임산부 2013/01/31 1,227
214050 아기낳고 요실금 증세ㅠㅠ 4 부자 2013/01/31 1,496
214049 kb 와이즈홈 카드 쓰시는 분? 7 kb 2013/01/31 1,010
214048 곧 대한민국에 최초의 여성대통령이 생기게 되네요..축하합니다. 26 , 2013/01/31 1,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