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은 부동산 경기 회복 중

조회수 : 1,192
작성일 : 2013-01-22 11:30:49
1. 미국은 반등이라는 표현으로 부족할 정도로 일부 지역은 호황

2. 홍콩은 예전에 바닥 찍고 이제 다시 넘사벽 시세를 형성

3. 중국도 이제 반등세


이 세 나라의 공통점은 인구가 감소하지 않는다는 점이죠.

미국은 꾸준한 이민유입.  홍콩은 중국 본토에서 유입.  중국본토야 뭐...

우리나라는 어찌될까요.  여기서 많은 분들이 바라듯이(?) 꾸준한 하락세는 아닐 것 같지만, 그렇다고 상승할 가능성도 낮아보입니다.
IP : 211.219.xxx.6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2 11:38 AM (222.119.xxx.37)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되지 않을까 싶어요.
    경제모델이나 개개인의 성향이 비슷한 부분이 많아서
    중국보다는 일본처럼 될 가능성이 높아보여요.
    상승을 기대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 2. cass
    '13.1.22 11:58 AM (220.77.xxx.174)

    저도 윗분말에 동감입니다

  • 3. 우리나란 일본 판박인거 같아요
    '13.1.22 11:59 AM (211.224.xxx.193)

    일본에 대해 잘 알면 경제적으로 처신하기가 수월할것 같은데 일본사회의 변화같은거에 대한 책이나 다큐 혹 추천해주실분 없나요?

  • 4. 라바라바
    '13.1.22 1:36 PM (211.197.xxx.113)

    이거는 제 사견이지만, 일본처럼 완전 폭락으로 쭉까지는 아닐거 같고요.
    지금 하우스푸어중에서도 버티다가 못버티는 사람들의 물건이 경매로 나오겠죠.
    그런 물건들을 지금 실탄준비하고 있는 중산층에서 흡수를 일부하겠고요.
    인구가 점차줄어들고 있음으로 집을 사고자 하는 인구가 급속하게 줄어드는 시점부터 예전처럼 집값이 뛰는 현상은 없겠죠.

  • 5. 에구구
    '13.1.22 1:53 PM (76.102.xxx.90)

    미국의 호황(?)인 일부 지역에 제가 살고 있네요.

    실리콘 밸리쪽인데, 집 사려고 몇달전부터 정말 고생했어요.

    집 나오면, 며칠 안에, 경쟁적으로 10팀 20팀 이 사겠다고 나서서 결국 집값의 10퍼센트 정도는 기본으로 더 얹어서 사게 되는 것 같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물이 없어도 너무 없어서, 상황이 더 악화되네요.

    말씀하신 인구 구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 같고요.

    지금 미국은 집 융자 (모기지 라고 하죠) 가 이자율이 매우 낮아요. 30년 빌리는 조건으로 3퍼센트대, 아니면 변동 이자율로 해서, 첫 7년간 2퍼센트 대로 돈을 빌리수가 있다보니, 그것도 과열에 한몫하고요.
    또 여기 실리콘밸리는 미국 말고, 외국 (중국이나 인도 등등) 의 부자들이 현금 싸들고 와서 집을 사니까 그것도 한몫하고...

    하지만, 미국 전역으로 봣을 때는 아직은 내려가거나 올라가지 않는 지역이 많다고 합니다.

  • 6. 에구구
    '13.1.22 2:02 PM (76.102.xxx.90)

    특정 지역의 집들은, 작년 한해동안 1.7배 정도로 집값이 올라서 팔린 매물도 목격했네요. (저도 1.4배쯤 올랐을 때, 이건 너무 하다 싶어서 안 사고 버텼는데, 몇달 지나니 더올라버려서...)

    하지만, 미국 전체적으로 보면, 아직도 실업률이 매우 높고, 또 현재의 엄청 낮은 이자율을 언제까지 유지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이자율이 올라가면, 사람들이 돈 빌리기가 어려워져서, 다시 집값 하락의 요인이 될수 있다는 예측도 많구요.
    그렇게 될 경우, 또 다른 거품 꺼지기가 될수도 있죠.

  • 7.
    '13.1.22 10:14 PM (79.194.xxx.233)

    일본의 경우와 한국은 너무 달라요. 일본은 집담보를 현재가치120%만큼 빼서 융자를 내줬거든요;;; 무엇보다 주식시장이 91년 이후 계속 하락 중이고요.

    한국은 성장경제인데다 부동산 담보를 엄격하게 평가하고 주식시장도 좋아서 솔직히;;; 전세만 없었음 지금 꽤나 올랐을 거라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4176 명절 새뱃돈도 부담이네요. 3 ㅎㅎ 2013/01/31 1,620
214175 소고기 대쳐놓고 소스묻혀놓고 6시간 지난후에 먹어도 될까요 4 토마토소고기.. 2013/01/31 608
214174 완전 사랑스럽고 설레임가득한 디즈니 단편 애니메이션... 2 오늘도웃는다.. 2013/01/31 798
214173 스키장 처음인데 스키와 보드 중 어떤게 나을까요? 8 초보 2013/01/31 1,237
214172 음식물 쓰레기.. 13 으.. 2013/01/31 2,257
214171 강남 쌍거플 수술 잘하는 곳 알려주세요 1 엄마 2013/01/31 1,537
214170 지금 시점에서 사야하는 코트? 1 마여사 2013/01/31 902
214169 60만원이 넘는 패딩 주문했는데.. 10 겨울이 끝인.. 2013/01/31 3,751
214168 삼성, 불산 누출 사망사고 늑장대응…사흘간 뭐했길래? 1 세우실 2013/01/31 493
214167 박시후 얼굴 좀 달라진 것 같은데 성형한건가요? 7 가문의영광 2013/01/31 3,988
214166 나이들면 부모님때문에 우는사람 많습니다 (펌) 2 그냥 2013/01/31 1,844
214165 중학생아들화나게하네요 4 화난이 2013/01/31 1,147
214164 애들 생일 외식 어디가 좋을까요?(분당) 3 하늘 2013/01/31 771
214163 옆집이 이사왔는데요 8 각박한세상 2013/01/31 3,442
214162 아이허브 영양제 추천해주세요 1 영양제 2013/01/31 1,595
214161 국정원女 "불심검문 지지한다"면서 문은 왜 .. 뉴스클리핑 2013/01/31 465
214160 특이하게 조리하여 먹는음식있으시면 공유^^저는 뜨거운비빔면! 18 별미~ 2013/01/31 2,279
214159 칙칙한 악세서리 세척 2 ^^ 2013/01/31 1,904
214158 조언 좀 해주세요(남편 보여줄꺼에요) 6 고민중 2013/01/31 792
214157 나이들어 공부해서 좋은 점이 있을까요? 4 감자찜 2013/01/31 1,296
214156 베라크루즈가 차들중 어느정도 가격대 인가요? 15 베라크루즈 2013/01/31 2,428
214155 (방사능) 카톨릭,기독교인들 꼭 봐주세요 5 녹색 2013/01/31 1,003
214154 의료소비자들 리베이트 전면투쟁…2천억 소송 주붕 2013/01/31 459
214153 영화 제목이 기억나지 않아요.. 8 영화... 2013/01/31 894
214152 와 이거 미치겠어요..다음이나 네이버 로그인이 안되어요. 1 컴도사님 알.. 2013/01/31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