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은 부동산 경기 회복 중

조회수 : 1,192
작성일 : 2013-01-22 11:30:49
1. 미국은 반등이라는 표현으로 부족할 정도로 일부 지역은 호황

2. 홍콩은 예전에 바닥 찍고 이제 다시 넘사벽 시세를 형성

3. 중국도 이제 반등세


이 세 나라의 공통점은 인구가 감소하지 않는다는 점이죠.

미국은 꾸준한 이민유입.  홍콩은 중국 본토에서 유입.  중국본토야 뭐...

우리나라는 어찌될까요.  여기서 많은 분들이 바라듯이(?) 꾸준한 하락세는 아닐 것 같지만, 그렇다고 상승할 가능성도 낮아보입니다.
IP : 211.219.xxx.6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2 11:38 AM (222.119.xxx.37)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되지 않을까 싶어요.
    경제모델이나 개개인의 성향이 비슷한 부분이 많아서
    중국보다는 일본처럼 될 가능성이 높아보여요.
    상승을 기대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 2. cass
    '13.1.22 11:58 AM (220.77.xxx.174)

    저도 윗분말에 동감입니다

  • 3. 우리나란 일본 판박인거 같아요
    '13.1.22 11:59 AM (211.224.xxx.193)

    일본에 대해 잘 알면 경제적으로 처신하기가 수월할것 같은데 일본사회의 변화같은거에 대한 책이나 다큐 혹 추천해주실분 없나요?

  • 4. 라바라바
    '13.1.22 1:36 PM (211.197.xxx.113)

    이거는 제 사견이지만, 일본처럼 완전 폭락으로 쭉까지는 아닐거 같고요.
    지금 하우스푸어중에서도 버티다가 못버티는 사람들의 물건이 경매로 나오겠죠.
    그런 물건들을 지금 실탄준비하고 있는 중산층에서 흡수를 일부하겠고요.
    인구가 점차줄어들고 있음으로 집을 사고자 하는 인구가 급속하게 줄어드는 시점부터 예전처럼 집값이 뛰는 현상은 없겠죠.

  • 5. 에구구
    '13.1.22 1:53 PM (76.102.xxx.90)

    미국의 호황(?)인 일부 지역에 제가 살고 있네요.

    실리콘 밸리쪽인데, 집 사려고 몇달전부터 정말 고생했어요.

    집 나오면, 며칠 안에, 경쟁적으로 10팀 20팀 이 사겠다고 나서서 결국 집값의 10퍼센트 정도는 기본으로 더 얹어서 사게 되는 것 같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물이 없어도 너무 없어서, 상황이 더 악화되네요.

    말씀하신 인구 구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 같고요.

    지금 미국은 집 융자 (모기지 라고 하죠) 가 이자율이 매우 낮아요. 30년 빌리는 조건으로 3퍼센트대, 아니면 변동 이자율로 해서, 첫 7년간 2퍼센트 대로 돈을 빌리수가 있다보니, 그것도 과열에 한몫하고요.
    또 여기 실리콘밸리는 미국 말고, 외국 (중국이나 인도 등등) 의 부자들이 현금 싸들고 와서 집을 사니까 그것도 한몫하고...

    하지만, 미국 전역으로 봣을 때는 아직은 내려가거나 올라가지 않는 지역이 많다고 합니다.

  • 6. 에구구
    '13.1.22 2:02 PM (76.102.xxx.90)

    특정 지역의 집들은, 작년 한해동안 1.7배 정도로 집값이 올라서 팔린 매물도 목격했네요. (저도 1.4배쯤 올랐을 때, 이건 너무 하다 싶어서 안 사고 버텼는데, 몇달 지나니 더올라버려서...)

    하지만, 미국 전체적으로 보면, 아직도 실업률이 매우 높고, 또 현재의 엄청 낮은 이자율을 언제까지 유지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이자율이 올라가면, 사람들이 돈 빌리기가 어려워져서, 다시 집값 하락의 요인이 될수 있다는 예측도 많구요.
    그렇게 될 경우, 또 다른 거품 꺼지기가 될수도 있죠.

  • 7.
    '13.1.22 10:14 PM (79.194.xxx.233)

    일본의 경우와 한국은 너무 달라요. 일본은 집담보를 현재가치120%만큼 빼서 융자를 내줬거든요;;; 무엇보다 주식시장이 91년 이후 계속 하락 중이고요.

    한국은 성장경제인데다 부동산 담보를 엄격하게 평가하고 주식시장도 좋아서 솔직히;;; 전세만 없었음 지금 꽤나 올랐을 거라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4229 국정원 "김선동 통합진보당 국회의원은 진짜 종북&qu.. 뉴스클리핑 2013/01/31 560
214228 아이 안경테가 부러졌네요. 판단좀 해주세요 31 .... 2013/01/31 4,043
214227 초등학교 영어 방과후 교사 되는 방법 4 궁금맘 2013/01/31 2,973
214226 전세 이제 감당안되네요.. 2 감당안되네 2013/01/31 2,022
214225 계란말이 사각 후라이팬 추천해주세요 4 ... 2013/01/31 2,262
214224 한의원 가면 홍삼은 다 안 맞다고 하나요? 20 .. 2013/01/31 3,421
214223 맛있는 배는 어디에서 사야 될가요? Jo 2013/01/31 380
214222 회사 동기언니가 너무 귀찮아요. 이런 부류는 뭘까요? 4 ... 2013/01/31 2,495
214221 도대체 왜 영화관람등급이 있는데 나이 안되는 애들 보여주려고 하.. 4 ... 2013/01/31 876
214220 아이허브 200달러 넘으면 vip 되는거 오늘까지 주문하면 될까.. 3 아이허브 2013/01/31 1,076
214219 경찰 '국정원女 글' 알고도 숨겨…축소·은폐 의혹 2 세우실 2013/01/31 543
214218 언제세일 제일 크게하나요? 1 겨울옷은 2013/01/31 833
214217 8세아이 치아 흔들리기도 전에 영구치가 나오는데요 3 두아이맘 2013/01/31 1,896
214216 뽐뿌에서요.. 1 폰... 2013/01/31 601
214215 로션끝까지 다 쓰는법 알려주세요. 2 늦잠 2013/01/31 4,146
214214 부산분들 ! ! 거기로 가족여행가요. 팁 좀 주세요 4 어른으로살기.. 2013/01/31 920
214213 묵은 김치 씻어서 밥 싸먹는거 넘 맛있어요. 15 맛있다 2013/01/31 8,577
214212 서울광장에서 박원순 독재자 물러가라며 집회중 3 주붕 2013/01/31 1,120
214211 [아이허브] 주문하는데 vip뜨는건 뭔지 좀 알려주세요 3 .. 2013/01/31 1,066
214210 4개월동안 91개글 그중 야당비판 4개.. 1 국정원녀 2013/01/31 435
214209 손글씨 배울곳 있을까요?? 3 ... 2013/01/31 886
214208 전기렌지 추천 좀 해주세요 우노 2013/01/31 401
214207 휴대폰을 잃어버렸어요. 1 ㅠㅠ 2013/01/31 504
214206 옛날 명화극장에서 본 영화 제목을 알고 싶어요. 1 밀크티 2013/01/31 710
214205 교과서는 버리나요 3 중학생 2013/01/31 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