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 하락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웃자고 조회수 : 3,012
작성일 : 2013-01-13 10:48:47

다른 분들은 부동산 하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 궁금하네요~

 

저는 조금한 빌라 하나 사놨는데 점점 떨어져서 걱정이예요~

근데 크게 봤을때는 더 떨어져야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잠실에 20평대 아파트 전세값은 4억대...

 

부모님이 부자가 아닌이상 진짜 집같은 집에 살기 너무 어려운 현실이더라구요.

솔직히 서민들중에 부동산으로 돈 버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요?

 

그리고 변화가 있으려면 소수의 희생은 필수일 수 밖에 없어요.

저희 집값 떨어져도 괜찮으니까 전체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더 하락되었으면 좋겠어요.

 

건설회사 거품도 좀 빠지구요.

건설회사쪽 비리가 장난 아니라 그러더라구요. 친구가 건설회사 다니는데, 그쪽 관련 공무원들 회식할때는 무조건

가서 계산하는것이 그냥 관례라네요~~ 이렇게 저렇게 더러운 돈이 나가니 결국 거품이 가득할 수 밖에 없겠죠.

 

그냥.. 여당도 야당도 그냥 부동산 침체를 막아야 된다. 라는 얘기에 서민입장에서 답답해서 주저리주저리 써보네요...

IP : 211.112.xxx.5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게멘봉일쎄
    '13.1.13 11:03 AM (117.111.xxx.55)

    실업자가 늘어나고
    저임금 고물가 시대면 집값은 더 떨어진것 같아요

    언제 누군가 더 가격이 낮아지고 규제가 완전 풀리면 부자들이 그때 움직일꺼라고 하는데

    ...

    대한민군 부자들이 다 걷어들인것도 아니고
    중산층 서민층이 구입 의사가 없응 부자들도 부동산에 돈 묻어두지 못할것 같아요.

  • 2. 그런데
    '13.1.13 11:07 AM (211.234.xxx.145)

    강남 최요지라고 하는곳은 많이 빠지지도않고
    일단 물건이없어요
    결국 사람들이 선호하는곳은 다시 회복할거고
    부동산시장도 안정이 될거같아요
    서울에 해당되는거지만 자기집없는사람이
    오십퍼가넘고 집없는 설음이얼마나 크고
    불편한것도 알고
    뭔가 곧 정리가될것같아요

  • 3. 원글님
    '13.1.13 11:08 AM (220.86.xxx.167)

    빌라 소유자 맞으세요?
    그리고.. 부동산이 떨어져야 한다면 그건 원글님 소유 빌라나
    일반 서울시내 아파트 중 7억 이하 집들은 해당되기 힘듭니다

    이미 7억정도까지의 아파트는 해당 금액 산정이 물가대비, 소득과 현재의 금융산업내
    위치에서 더 떨어지거나 하면 장기적 관점에서 민생을 파탄내는 구조라고 전문가들 보고 있어요

    떨어져야 하는 것들은 그런 게 아니에요
    그리고.. 경제적으로 감추려고 하는 대기업 금융 관련 불로소득이야말로
    떨어지고 파헤치고 과세해야 하는 대상이지
    부동산 중에서 거품 낀 극소수 지역 빼고
    떨어지는 건 장기적 관점에서 경제에 치명적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집값이 떨어졌다기보다는 매매 거래가 없다는 게 정확한 시점이구요 현재는..
    저희는 집이 없고 부모님집만 있지만
    부동산 거품 어쩌구 하는 곳에 포함될 정도의 거품군 상류층은 오히려
    신경도 안써요.
    그런 부동산들이나 떨어져도 되겠죠.

  • 4. 이제 시작
    '13.1.13 11:14 AM (110.32.xxx.180)

    이제 시작한 겁니다.
    2010년쯤 시작했다고 치면
    한 8~10년 지나야 저점에 닿을락 말락 할 겁니다.

    한국은 인구 다수의 소득이 늘지 않고 있고
    거기다 집이 필요한 사람들의 숫자도 줄고 있으니
    무슨 헛꿈들을 꿔도 집값이 예전처럼 오를 수는 없습니다.

    물론 이태원 최고요지 이촌동 최고요지 압구정 최고요지 등의 집값은
    오를 수도 있죠, 맨하탄이나 런던 씨티안 집값처럼, 홍콩 아일랜드 집값처럼.
    거기엔 비싼 돈내고 집살 사람들이 있을테니까요.

  • 5. ㅇㅇ
    '13.1.13 11:18 AM (211.237.xxx.204)

    저도 서울에 소형아파트 한채
    지금 대박 떨어진 일산에 16평 아파트 한채 있지만
    솔직히 지금도 집값은 거품이 많아요...
    저도 한때 집값 올라서 좋아했던 시절도 있었습니다만
    다른 물가 상승율에 비해 집값은 너무 크게 올랐었죠..
    차라리 집값이 다 같이 하락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 6. 건설사들 위한
    '13.1.13 12:07 PM (211.234.xxx.90)

    선분양같은제도도 이제 사라졌으면 합니다.그런게 필요한 정책이죠.

  • 7. ^^
    '13.1.13 12:38 PM (211.178.xxx.139) - 삭제된댓글

    집은 투기가 아닌 실거주 개념으로 정착해야죠.. 그러려면 아직 한참 더 떨어져야 할 것 같아요..

  • 8. 웃자고
    '13.1.20 7:24 PM (211.111.xxx.136)

    이제서야 봤네요~ 답글 감사합니다^^ 이 생각 저생각 많이 하게 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4829 이쁘게요 3 알려주세요 2013/02/01 830
214828 전주에서 제일 비싸고 맛있는 한정식집 5 .. 2013/02/01 4,061
214827 궁금한이야기 나온 남편 23 미틴 2013/02/01 12,055
214826 순간적인 충동으로 양파즙 주문했어요. 읽어보시면 살빠집니다. 6 혜혜맘 2013/02/01 2,678
214825 시사인 잼있네요 4 시사인 2013/02/01 1,190
214824 배치고사 질문 2013/02/01 474
214823 루이비통 바빈 요즘도 있나요? 1 .. 2013/02/01 962
214822 피곤하면 입과 코가 허는 체질 2 개선하신분계.. 2013/02/01 1,003
214821 광목커텐을 하고싶은데요. 2 ... 2013/02/01 1,862
214820 꽃빵 어떻게 먹을까요 4 꽃빵 2013/02/01 976
214819 국정원 '뽐뿌'에서 '버스파업' 비난하기도…증거인멸 시도도 포.. 뉴스클리핑 2013/02/01 526
214818 그겨울? 간담회사진 봤는데 송혜교. 조인성ㅠ 6 잉잉 2013/02/01 3,847
214817 두돌 아들을 어찌 키울까요? 6 막내 2013/02/01 1,214
214816 일산지역중학교 반배치고사 날짜와 과목 4 졸린달마 2013/02/01 1,077
214815 52세 인대요. 소화가 너무 안되요. 10 하얀공주 2013/02/01 2,293
214814 요즘 남자들은 스키니에 워커가 대세네요. 2 ... 2013/02/01 1,730
214813 민송아라는 사람이 원래 직업이 뭔가요? 3 민송아 2013/02/01 4,009
214812 런던 버스의 문화충격 88 .... 2013/02/01 18,336
214811 궁금한 이야기 Y...지문까지 벗긴 살인...너무 무섭고 이해안.. 2 2013/02/01 2,322
214810 마인크래프트 라는 게임은 어떻게 살 수 있나요? 6 ^^ 2013/02/01 926
214809 뮌헨이 주요 배경인 영화 있나요?? 3 ----- 2013/02/01 842
214808 . 47 도대체왜 2013/02/01 19,531
214807 갑자기 숨쉬기가 힘든데 3 ㅠ ㅠ 2013/02/01 858
214806 클래식 감상실 있으면 추천해주세요. 3 방구석요정 2013/02/01 656
214805 학력고사세대 82님들보세요~남편이랑 내기했는데 학력고사과목에 39 전복죽 2013/02/01 4,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