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확정일자만으로는 불안한 건가요? 전세권 설정을 하는 게 나았을까요?

세입자 조회수 : 1,317
작성일 : 2013-01-12 14:52:21
저희 전세는 융자도 없고 집주인도 공무원이라 하고 해서 그냥 확정일자만 받은 상태인데요...
아래 게시글을 보니 (계약금10% 주어야 하는지...) 댓글 대부분이 전세권 설정을 하시는 분위기라...
문득 궁금해져서요. 
전세권 설정의 잇점이 집주인이 보증금 지급을 미룰 경우 막바로 경매에 넘길 수 있다는 정도로 알고 있는데 
확정일자로도 소송걸어서 가능하지 않은가요?
IP : 182.212.xxx.1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2 3:01 PM (123.199.xxx.86)

    확정일자만 받아도 충분히 대응이 되는 상황이 있고..그래도 안심을 못해서 전세권 설정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법적으로는 확정일자만 받아 놓아도 법적대응은 같다고 하지만 실지로는 절대 다릅니다..)
    일단...확정일자만 받아도 되는 경우는...주인의 신용이 문제가 되겠구요..
    다세대나 다가구의 세입자고..그 건물에 주인이 같이 살고 있고..주인의 은행융자 금액이 적을 경우는..확정일자만 받아 놓아도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건물이 아파트나 단독 빌라일 경우....주인이 그 건물을 담보로 소액이라도 채무를 지고 있다면...전세설정을 해야 합니다..왜냐면...요즘은...매매금이나 전세금의 차이가 그닥 나지 않기에....만약의 사태에....대응 할 수 있는...법적인...장치를 해주는 것이 전세설정권이기 때문이예요...아시겠지만 전세권자가 임의경매를 할 수 있느냐...못하느냐의 차이이지요..

  • 2. 안하셔도 될듯.
    '13.1.12 3:06 PM (1.236.xxx.223)

    저도 전세권 설정해봤는데, 그건 살다가 전세금 못받고 나와서 할 수없이 법적조치로 그렇게 한 것이고..
    뭐 해도 되기야 하지만, 님같은 경우는 융자도 없고 집주인 신분도 멀쩡하고..굳이 할 필요 없을 것 같아요.
    저는 집주인이 돈을 안줘서 설정한 것이라 나중에 그 비용까지 다 받았어요. (못 받은 전세금에 대한 이자가 200만원 넘어서..그거 달라는 말에 설정비용 13만원 가량은 집주인이 당연히 주더군요.)
    그리고 집주인이 보증금 지급 미룬다고 어떻게 금방 경매로 넘기나요? 물론 그러기도 하기야 하겠지만, 그건 너무 원수지는 사이로 가는 것이고..
    전세 살다가 내가 낸 전세금이 집값과 비슷해져서 위험하다 싶으면 그때 설정하셔도 늦지 않아요.
    제 경험으로는 지금 걱정은 기우라고 생각...

  • 3. 세입자
    '13.1.12 6:00 PM (182.212.xxx.10)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ᆢ 저도 괜찮을 것 같아 가만 있었는데 다들 전세권 설정하시는 것 같아 순간 놀래서ᆢ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6225 요즘은 데이트할때 반반씩 부담하나요? 5 구세대 2013/01/14 1,422
206224 라이프 오브 파이 영화 재밌게 보나요??? 7 초4되는 아.. 2013/01/14 2,633
206223 전업이셨다가 다시 일하시는분들 1 ᆞᆞ 2013/01/14 1,722
206222 작년에 화제되었던 셜록~ 새 시리즈는 언제 볼 수 있을까요? 1 베네딕트 2013/01/14 794
206221 책장 배송 문제... 이럴땐.. 2013/01/14 505
206220 뒷북)서영이는 왜 속이고 결혼했나요? 11 서영이 2013/01/14 3,063
206219 씨제이 맛밤 맛있네요~ 4 주전부리 2013/01/14 1,743
206218 저 아래 예비시댁문제로 몇자 적어요. 결혼은 뚜껑열어봐야 아는 .. 15 랜덤 2013/01/14 4,758
206217 박근혜표 묶음에 무효표가 섞여 있다고 항의하는 참관인영상이네요... 3 어머.. 2013/01/14 1,175
206216 45평 아파트 TV 21 새집 2013/01/14 3,847
206215 제사상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며느리 2013/01/14 766
206214 올 1월부터 가입조건이 바뀌었나요? 3 실비보험 2013/01/14 895
206213 설날때 시댁식구들 오는데... 교자상 좀 골라주세요~~ 14 며느리 2013/01/14 1,738
206212 제빵재료 사는 쇼핑몰 알려주세요 4 제빵재료 2013/01/14 1,527
206211 저처럼 집에 초밥 귀신 키우는 분 안 계세요?? ㅎㅎㅎ 14 혹시 2013/01/14 3,197
206210 길냥님들에게 굴비 진상해도 될까요? 9 차차부인 2013/01/14 1,091
206209 무쇠솥에 빠져들기. 7 하얀공주 2013/01/14 2,110
206208 친오빠 장가가기 어려울까요? 18 연봉5500.. 2013/01/14 4,785
206207 제이크루 남자코트 사이즈 문의합니다. 제이크루 2013/01/14 1,688
206206 반말가사도우미 아줌마가 남편 니트를 애기옷으로 만들어놨어요 이거.. 13 에궁 2013/01/14 4,614
206205 명태코다리 만들때 재료와 만드는방법알고싶어요 2 기린 2013/01/14 723
206204 아이가 평발이 심한데 좋은 병원선생님 추천 부탁드려요 6 ... 2013/01/14 1,566
206203 연말정산 교복구입비도 소득공제 받을 수 있다는데... 10 방법 2013/01/14 8,776
206202 이사를 가야할까요,아님 2년더 살아야할까요 2 fjtisq.. 2013/01/14 888
206201 tv 사이즈 고민이에요 2 22인치와 .. 2013/01/14 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