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예비고엄마 조회수 : 911
작성일 : 2013-01-09 16:53:17

고등학교 입학 전에 공부할 것들, 읽을 책들 챙겨보고 있는데요.....

국어는 문학에서 왜 "단편소설"을 비중있게 다루나요?

( 뭐, 현대시, 고전소설, 고전시, 비문학 등등 다아 많지만....)

입학 전에 읽을 필독서에도 주루루룩 리스트가 올라와 있고

그래서 그렇겠지만 수능국어지문에도 많이 출제가 되구요.

근대 단편소설, 김동리, 현진건, 염상섭, 이효석 등등......

짧은 글 속에서 인간심리가 함축적으로 표현된다거나해서 학생들이 그것을 해석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기를 원하는 건지, 아니면  자랑스런 우리나라의 문학이니 당연히 자긍심 있게 많은 작품들을 읽고

알고 있어야 해서 그러한 건지, 아니면 그냥 수능 출제하기 좋아서? 이건 아닌것 같고.....

교육과정 속에 들어있다면 꼬옥 필요해서 있을터인데 무식한 제 머리로는 어떤 "의의"를 갖는 지 모르겠네요.

이과 엄마라 쫌 문외한이라 그런지 요 몇달 사이 제 머리 속에 계속 떠다니며 궁금했었어요.

아이한테 읽혀도 아 이래서 읽어야하는구나 알고 읽히고 저도 안 읽었던 작품들이 있으면 읽어보려구요.

답변이 많이 달리면 좋겠어요.

 

 

IP : 59.12.xxx.3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9 5:29 PM (1.236.xxx.45)

    우리가 근대라고 부르는 시절,일제 강점기하죠.
    이 시절은 장편보다 단편이 많습니다.
    단편은 길이는 짧지만 함축적으로 시대상과 그 시절을 살아낸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구요.다양한 작가의 다양한 문체와 개성을 엿볼 수 있기도 하고 그래서 시험에 내기도 사실 좋구요.

    좀 더 긴 장편,대하 소설은 작가의 역량도 필요하지만 그것을 읽고 즐길 줄 아는 긴 안목을 지닌 독자도 있어야 합니다.그 시절은 아직 그 점이 무르익지 않은 시대라 봅니다.

  • 2. 국어쌤이에요
    '13.1.9 6:44 PM (175.223.xxx.131)

    장편도 교과서 수록되지만 너무 길어서 일부분만 실어요. 고2 문학 책을 보시면 아실거예요.

    그리고 우리나라 근대문학이 형성되어 발전한 시기가 일제강점기와 전쟁 후 70년대까지예요.
    그리고 문학은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라
    중요한 시기가 고스란히 담긴 일제강점기와 전후 기절의 문학 비중이 커요.

  • 3. 예비고엄마
    '13.1.9 9:11 PM (59.12.xxx.32)

    예 그렇군요. 감사드립니다.

  • 4. 노고단
    '14.10.20 8:10 AM (124.50.xxx.116)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9127 체크카드는 소액이어도 가게에 미안해 할 필요 없나요? 10 .. 2013/01/18 2,927
209126 강남,서초쪽에 괜찮은 학군 선택 어느쪽이 나을까요? 수선화 2013/01/18 1,283
209125 기분좋은 오후~ 82에 감사드려요^^ 4 독감 2013/01/18 805
209124 이번주인간극장보셧어요? 2 ........ 2013/01/18 2,789
209123 옷가게를 하는데 종교인들 땜에 너무 힘들어요. 5 힘들어 2013/01/18 2,837
209122 동생 결혼식 축의금에 대한 답례를 어떻게 해야할지... 8 결혼 2013/01/18 2,709
209121 남편이 설 연휴에 출장을 가요. 시댁은 미리 가면 되겠지요? 13 우왕 2013/01/18 1,958
209120 갤럭시 노트2에서 사진이 원래이렇게 붉은가요? 2 .... 2013/01/18 1,150
209119 실비보험료요 개인이 병원비청구하면 더 오래걸리나요? 7 으잉 2013/01/18 1,303
209118 절대로 생굴 드시지마세요 8 //////.. 2013/01/18 4,449
209117 청와대, 임기 말 동시다발 4大 악재에 곤혹 7 세우실 2013/01/18 1,095
209116 웹디자인 하시는 분중에 일본어 공부 하시는 분들 계세요? 2 ,... 2013/01/18 977
209115 동생의 행동 웃어야하나요?울어야하나요? 3 흠흠 2013/01/18 1,100
209114 하정우 이 화보가 낯설지 않은 것은.. 1 해질녁 2013/01/18 1,397
209113 주민등록등본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요 2 dd 2013/01/18 3,236
209112 거리낄일 없고 부정도 없는데 왜 못까봅니까? 7 진짜 2013/01/18 677
209111 남편 성과급 들어왔어요!! 46 넘 좋아서... 2013/01/18 15,995
209110 일본어 아시는분 이게 무슨말인지요? 1 ... 2013/01/18 1,287
209109 지금 종편에 송영선나와요 5 헉~ 2013/01/18 1,175
209108 농협 하나로 짜증 ㅠㅠ 피칸파이 2013/01/18 806
209107 남자친구 부모님 뵙는데 좋은 선물이요.. 1 궁금이 2013/01/18 1,374
209106 술도 체하나 봅니다. 5 하트 2013/01/18 1,002
209105 닭 기름...건강에 나쁜가요? 5 2013/01/18 10,434
209104 우울증 치료.... 어떻게 해야 할까요? 7 ........ 2013/01/18 1,732
209103 발성 연습 어떻게 해야하나요? 2 hts10 2013/01/18 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