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기 예금, 적금 관련 질문입니다.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려요~!

재테크 하수 조회수 : 3,029
작성일 : 2013-01-05 08:32:09

항상 82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새내기 주부입니다~!

새해들어서 정기 예금이나 적금상품에 가입 하려고, 82 게시판을 검색해 보았는데요..

관심 가는 방법이 한달에 한번씩 12개의 통장을 만들어, 다달이 만기되게 운용하는 방법인데요..

제가 그게 잘 이해가 안되서요..(이게 풍차돌리기 인가요???)

혹시 예를 들어 설명해 주실분 있으실까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한달에 150만원 정도 저축할 예정이구요..

150씩 풍차돌리기 방식으로 저축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해서요..

그리고 일년후 한달에 한번씩 만기가 돌아오면, 그 후에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고 설명해놓은 글이 있던데

어떻게 같은 방법으로 하는지도.. 잘 이해가 안 가네요..--;;;

 

혹시 잘 알고 계신분 설명좀 부탁드려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IP : 180.69.xxx.2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5 8:39 AM (58.240.xxx.250)

    그 풍차돌리기 좀 상업적인 냄새가...
    알고 보니, 한 일반인이 책내면서 주장한 이론(?)이더군요.

    풍차돌리기의 유일한 장점은 중도해지시 유리하다는 거겠지요.

    그런데, 만약 중도해지할 이유가 없다면, 굳이 적금보다 이율 낮은 예금을 하는 풍차돌리기는 별 장점이 없을 듯 싶은데요.

    중도에 해지하실 일 없으시면, 그냥 적금 드세요.
    비과세나 세금우대 상품으로요.

  • 2. ..
    '13.1.5 8:46 AM (175.116.xxx.107)

    12개통장은 적은돈으로 저금하는습관들이고 적은돈으로 적은목돈만드는 재미를 위해선 좋은방법인것같아요.. 근데 150만원씩 적금들 여유있으신분께는 안맞는방법인듯...저도 이달부터 2만원씩 들어갑니다

  • 3. ^^
    '13.1.5 8:48 AM (175.113.xxx.117)

    긴급자금이 필요할때 유리하다..
    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시점이라면 낮은 이율에 1년씩 묶일 필요가 없다. 요 정도??

    그리고 1년이 지나면 매달 만기가 돌아오니 돈 늘리는 재미를 느낀다는데... 사실 요건 돈을 써버릴 유혹도 강해지니 패스.

    노력 대비 효과는 잘 모르셌어요

  • 4. ...
    '13.1.5 8:57 AM (115.142.xxx.219) - 삭제된댓글

    금리가 오르는 추세에는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금리 하락기에는 손해죠. 원글님은 메카니즘이 궁금하다는건데 어러운게 아니예요. 목돈을 1년간 정기예금 하는데 그정기예금을 매월 돈 있을때마다 하나씩 든다는거예요. 이게 월 3백이상 들수 있을때 도움이 되는 방식입니다. 3백이상 정기예금 금리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더군요. 아뭏든 잘 따져보고 드세요. 은행에서 상담도 받으시구요.

  • 5. ...
    '13.1.5 9:23 AM (182.210.xxx.14)

    다달이 만기되는 재미는 있겠지만 솔직히 노력대비 이익이 많지 않고 귀찮지 않나요?
    백+오십 이렇게 통장 분리해서 적금하시고, 추가이율 받을수 있는방법 은행과 상담하셔서 최대한 받을수 있게 조건 만드세요. 그리고 만기되면 이자까지 전부 복리예금으로 돌리시고, 다시 새로운 적금 시작...1년씩...
    그래도 풍차돌리기식 예금 하고싶으시면 '모네타'라는 사이트 들어가서 보세요, 거기 자세히 설명 있어요..그외에도 재테크정보 많고, 남들 가계부도 볼수 있고 그런사이트예요

  • 6. 여유자금이라면
    '13.1.5 9:44 AM (112.184.xxx.53)

    이율이 오르지 않는 요즘은 적금이 좀 낫다고 보이는데요?^^

  • 7. 핫뮤지션
    '13.1.5 9:49 AM (222.98.xxx.193)

    저금리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는 저축하는 건 기본이지만, 더 기본은 쓰는 방법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합니다.
    1년에 목돈이 들어갈 만한 것들이 무엇이 있을까를 사전에 리스트를 만들어서 그것을 나누는 방법이지요.
    사실 저축하면서 큰 돈이 들어가면 어떤 걸 깰까? 라는 생각을 하는 순간 금리가 아주 높아도 돈을 모을 방법이 없다는 것이지요.
    즉 쓰는 방법을 어떻게 나눠서 쓰게끔 하냐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년 중 큰 돈이 들어가는 것은 대략, 재산세, 자동차 보험료, 뜻하지 않은 사고... 등등 많겠죠.
    만약 자동차 보험이 년에 100만원 들어간다 치면, 매월 월급 받은 것 중 보험료 명목으로 통장을 만들어서 거기에 년 중 차곡 차곡 1달에 84,000원씩 이체 시켜 놓는 거죠. 그렇게 큰 돈이 들어가는 명목별로 통장을 그 갯수별로 만들어 거기에 이체 시켜 놓으면, 중간에 목돈이 들어가더라도 예금을 깨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되는 거죠.

    저는 중간에 6개월 쉴 때가 있었는데, 그 때 재산세, 자동차 보험 등 큰 돈 들어 갈 경우가 있었는데, 아무런 무리 없이 지나갔습니다.

    예금이나 적금은 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지, 중간에 깨는 게 목적은 아닙니다. 아무리 부득이한 상황이 있다하더라도, 돈을 모으려면, 사전에 계획하고, 예방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게 중요한 거지요.

    큰 돈 모으세요.....

  • 8. 물고기
    '13.1.5 1:34 PM (220.93.xxx.191)

    그냥 풍차돌리기 설명만 할께요
    2013년1월에 150을 일년예금을들어요.
    또,2,3,4,5,6,7,8,9,10,11,12월에도 똑같이들어요.
    (되도록 같은 은행이편하지만 이율따라 바꿀수있죠)
    2014년 1월에 작년만기 예금을 타면서
    새로150+예금이자+예금원금 을 다같이 또 예금
    2,3,4,5~12월 같은 방법으로 계속합니다.
    1년후 300+이자 2년후450+이자 이렇게 계속
    불려가며 이자도 늘어나겠죠
    5~6년지나 갑자기 목돈이 필요할때 그달 만기 예금을 쓸수있고 나머지는 남아있으니 전체 해약을
    안할수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 9. 감사합니다~~
    '13.1.5 3:27 PM (211.234.xxx.86)

    와~~이렇게많은 댓글이..선배님들 감사합니다~^^열심히공부해서 부자되야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2426 간호사들 성희롱 엄청 당하나봐요 기막혀 2013/02/25 2,218
222425 수입 대비 대출비용.. 너무 과한가요?? 8 집값고민 2013/02/25 1,921
222424 집정리하는데.. 내 옷들이 왜.. 후질근해 보이는지 5 ... 2013/02/25 2,542
222423 부산에서 허남식시장 인기 많나요? 5 쓰리고에피박.. 2013/02/25 952
222422 일산사시는분들 한수초등학교 혹시 어떤가요?^^;; 3 2013/02/25 2,719
222421 부산경남은 결혼식못가서 축의금 남에게부치면 만원 돌려보내주잖아요.. 9 ... 2013/02/25 2,599
222420 애들... 각각 다른 유치원을 보내면 힘들까요? 4 이클립스74.. 2013/02/25 696
222419 결국 울고 앉아있습니다. 30 아놔 2013/02/25 17,324
222418 생들기름과 그냥 들기름(볶아서 짜낸) 용도 알려주세요.. 3 ... 2013/02/25 1,160
222417 4인가족 식재료비가 한 달에 얼마나 나올까요? 2013/02/25 606
222416 들기름이랑 참기름 구별방법 아시는분.. 23 들기름?참기.. 2013/02/25 11,087
222415 어제 베를린보고와서 2 알면서도 2013/02/25 941
222414 오늘 힐링캠프에 김성령씨 나오나보네요~ 2 야왕좋아~ .. 2013/02/25 1,890
222413 콧물이 계속 멈추질 않아요. 3 ,,,,, 2013/02/25 1,014
222412 100분에 98안에 들거라고 믿지만 가슴이 허해요. 6 ... 2013/02/25 2,152
222411 지금 이율 높은 은행이 어디인가요? 6 지금 2013/02/25 2,003
222410 스마트폰 싸게 사려면? 3 갤3사고파 2013/02/25 1,081
222409 베이비시터 관련 제보부탁드립니다 2 공덕노루 2013/02/25 804
222408 브랜드아울렛 굿! 뽕미미 2013/02/25 738
222407 이사비용 줄이는 방법 아시는분 도와주세요 8 봄입니다 2013/02/25 1,862
222406 유아 원목식탁의자에 허리안전벨트가 없는데 어떻게 보완하면 안전할.. 1 답글감사합니.. 2013/02/25 921
222405 금리저렴한 부동산대출 2 은행대출 2013/02/25 513
222404 백내장 수술~ 의사에 따라서 결과가 차이가 많이 나나요? 2 궁금이 2013/02/25 1,401
222403 이 벌레 이름 좀 알려주세요(혐오스럽지않아요!!) 4 하얀 먼지 2013/02/25 1,271
222402 브래지어가 목어깨 근육통과도 관련이 있을까요? 2 직업병 2013/02/25 1,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