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노란 종이봉투에 담긴 잔치음식.

추억 조회수 : 1,761
작성일 : 2013-01-04 11:50:54

옛날에는 경조사가 생기면 집에서 그 모든 경조사를 치르고

음식들도 다 집에서 장만해서 손님들을 맞이하던 시절이 있었잖아요.

서른 여섯.

전 산골마을에 가난한 집에서 나고 자랐어요.

찢어지게 가난하고 쌀 한톨 보기 힘들 정도로 가난했던 때는

엄마가 시집오던 때였고

저는 그정도로 가난한 생활을 하진 않았지만

과자 한 번 제대로 사먹어 보지 못했고

소풍때나 어쩌나 엄마가 읍에 나가 장을 보러 다녀오실때나

그럴때나 먹을 수 있었어요.

 

어쩌면 시골애들이 대부분 비슷했을 수도 있겠지만

용돈이란 것도 따로 없었고요.

 

그러니 뭔가 맛있는 음식이나 간식에 항상 목말라있던 시기였을 거에요.

어쩌다 부모님이 잔치집을 가시게 되면

목이 빠져라 기다리게 되는 것도 돌아오시는 길 손에 들려 올

잔치 음식을 기대하기 때문이었어요.

 

언제였드라

살짝 추웠던 계절 같아요.

잔치집에 가신 아버지를 기다리다 이불속에서 설잠을 잤는데

늦게 집에 돌아오신 아버지가 잔치집에서 싸준

(옛날엔 손님들 손에 잔치 음식들 싸서 들려보내는게 또 예의였잖아요)

잔치 음식을 가져오셨는데

 

노란 종이에 전이며 떡이며 이것거것 함께 싸진 잔치음식이

종이냄새가 배여서 맛이 좀 요상하게 되어 버리기도 했는데

그렇게 종이 냄새가 배여서 니맛도 내 맛도 아닌 맛이어도

너무 맛있던.

아니 너무 맛나던  노란 봉투에 담긴 잔치 음식이 문득 생각 나네요.

 

날도 춥고.

옛 생각도 나고

아버지도 그립기도 해서 그런가봐요.

 

IP : 58.78.xxx.6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좋으다
    '13.1.4 12:15 PM (112.165.xxx.216)

    전 노란 종이봉투의 음식은 못 먹어 봤지만
    옛날 잔치 음식이 그리워요.
    갈비탕이랑 집에서 준비 해 온 떡이며 전이며
    특히 새콤달콤 오장어 무침회~

    요즘 먹어도 먹은거 같지 않은 뷔페 음식은 정말 싫다우.

  • 2. ...
    '13.1.4 12:26 PM (183.101.xxx.196)

    울아버지가 간식거리를 자주 사다주셨는데
    옛날엔 통닭을 말그대로 통으로 튀겨져 팔았잖아요. 그것도 맛있었고
    당시 살던 고향에서 젤 오래됐다는 빵집에서 크림빵이랑 야채고로케 사다주신것도 생각나고
    마약김밥처럼 속재료 적게넣고 파는 손가락김밥이라고 있었거든요, 그것도 생각나고
    딸네미 고기좋아한다고 고깃집가서 부러 구워가지고 포장해오셨던것도 생각나고ㅋㅋㅋㅋ
    근데 대부분 술한잔 걸치시고 오다가 사오신거라 항상 자는애 꺠워서 먹이셨다능,.

    그런거보면 새삼 추억이 참 소중하구나 싶어요.
    이따가 전화나 한통 드려야겠네요.

  • 3. ^^
    '13.1.4 12:55 PM (59.15.xxx.78)

    원글님 글을 보니 옛날 생각이 나네요.
    아버지 혼자 벌어서 7식구가 살았으니 가난한 살림이었네요.
    같은 마을에 사는 큰 집에서 제사가 있으면 탕국과 떡 몇 조각들고 오셨지요.
    무우 나물도 같이 있었던 것 같네요.
    가끔 슈퍼에서 지금도 파는 둥그렇고 빨간 무늬 있는 사탕(옥당 ?) 도 있었고
    좋은 글 올려주셔서 잠시 옛생각이 났었어요

  • 4. 원글
    '13.1.4 12:58 PM (58.78.xxx.62)

    저흰 시골 마을이라 가게도 없고 뭐 하나 사러면
    두시간에 한대 오는 버스타고 다녀오거나 했어야 했어요.
    그러다보니 간식은 커녕
    라면도 중학교때 먹어봤던가 그래요.

    산골에서 살면 꼭 나가야 할 일 외에는 나갈 일이 없다보니
    아버지나 엄마가 간식거리 사들고 오는 일은 드물었어요.
    잔칫날이나 장날이나 꼭 다녀올 일이 있을때
    그때도 혹 잊으실때도 많았고요.ㅎㅎ

    지금도 생각나는 건
    제가 초등학생때 한겨울 어느날 아버지가
    밖에 나가셨다가 처음으로 호빵을 사오셨던 날을 기억해요.

    쑥호빵. 짙은 쑥색.
    그때 당시에는 흰색 호빵만 나오다가 쑥 호빵이 나오던 시기였어요.
    크기도 크고 맛도 달콤하던.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오래 되어서 가끔 아버지 생각이 나곤해요.

  • 5. 시제음식
    '13.1.4 2:01 PM (112.148.xxx.5)

    전라도 시골인데 아버지께서 시제 지내시러 갔다오시면
    짚으로 된 보따리 비슷한거 하나씩 들고 오셨거든요..

    그 거 풀어보면 떡한조각 전 몇조각, 수육한조각 육포 한조각 과일 한조각등등..
    그 때 그맛. 그향기
    먹을 것이 풍족하지 않았을때라 그거 푸는 맛을 잊을 수가 없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6573 냉장고 열무김치 1 화초엄니 2013/01/12 425
206572 데이터완전차단서비스 문의드릴께요! 딸기맘 2013/01/12 447
206571 경북지역에서 염산누출로 주민 760명 긴급대피 4 이계덕/촛불.. 2013/01/12 1,754
206570 김황식이 능력이 있나봐요(펌) 2 ... 2013/01/12 1,242
206569 정시 추합 작년과 비슷할까요? 3 추합 2013/01/12 2,178
206568 "손수조가 새누리 20대 얼짱? 기사제목이 유머&quo.. 1 이계덕/촛불.. 2013/01/12 1,120
206567 혹시 토르플 학원 추천 해주시겠어요? 1 sunny 2013/01/12 736
206566 할거 다 하고 집에 갈까요, 아님 집에가서 할까요 3 32주 임산.. 2013/01/12 846
206565 대한문 촛불집회 방송 링크좀 부탁드려요. 3 어디서 2013/01/12 620
206564 핸드폰 없이 살아도 괜찮네요. 11 구루비 2013/01/12 2,593
206563 박근혜 머리스타일 바뀌었네요 6 호박덩쿨 2013/01/12 5,272
206562 2004년 방영된 드라마 불새를 아시나요?? 14 조중동아웃 2013/01/12 3,626
206561 무릎 아래쪽 피부가 속에서 곪는 거 같아요. 6 어느 병원?.. 2013/01/12 1,455
206560 도가니는 어떻게 먹어야 해요? 궁금 2013/01/12 564
206559 시청앞상황 어떤가요? 3 지금 2013/01/12 1,147
206558 노후에 살기 좋은 나라 3 신문 읽기 2013/01/12 3,642
206557 솔치 15 솔치 2013/01/12 4,829
206556 페이스ㅡ북 잘 쓰는 요령좀 알려주세요. 페이스북 2013/01/12 470
206555 누가 진상(?)인 건가요? 28 zzz 2013/01/12 5,327
206554 뜨개질 배우는 곳 원래 이런가요? 7 ㅇㅇ 2013/01/12 7,803
206553 마음의병이 생겨서 몸이 너무 이상하네요... 6 ... 2013/01/12 2,602
206552 생닭 4천원 양배추 한통 5천원 7 미미 2013/01/12 1,946
206551 배송대행추천부탁드려요~(그릇) ... 2013/01/12 693
206550 분당구 야탑에 있는 SK 아파트 어떤가요? 2 zzz 2013/01/12 1,493
206549 윤창중 "소설기사 국민 혼란초래" 니가할말은 .. 이계덕/촛불.. 2013/01/12 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