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소고기무우국 맑게 끓이기 가르쳐 주세요

색깔이 조회수 : 3,151
작성일 : 2012-12-27 14:10:25

저는 국거리용으로 잘라놓은 고기를 간장, 설탕, 파, 마늘 등으로 양념후 그것가 무우를 같이 볶다가

 

쌀뜨물 넣고 끓여요.   근데, 문제가 두가지에요

 

1. 색깔이 맑지가 않아요(양념하여 볶은 고기 때문일까요?...   그후의 간은 소금, 후추로 해도 검네요ㅠㅠ)

 

2. 고기가 질겨요..(지금 잘라논 국거리용 고기 파는거 사와서 핏물빼고, 있어요..  어찌해야 하나요?)

 

도움 부탁드릴게요..

IP : 121.175.xxx.11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잉..
    '12.12.27 2:11 PM (118.32.xxx.169)

    쌀뜨물을 왜 넣죠.
    맑은국에?
    그냥 물 넣어봐요.

  • 2. 쌀뜨물
    '12.12.27 2:14 PM (14.43.xxx.161)

    말고 저는 멸치 다시마 육수 넣는데요.
    소고기에서 육수 나오지만 그래도 그러면 더 맛나서요.
    그리고 무랑 어우러지면 맛나기 때문에..
    그리고 질긴 고기는 물 많이 부어서 오래 푹 익히면 부드러워져요.
    첨에 물 많이 붓고 끓이다가 좀 줄면 차츰 멸치 육수로 보충 하시면서요.

  • 3. 물을 넣어야
    '12.12.27 2:15 PM (119.71.xxx.30)

    쌀뜨물이 원인 아닐까요? 저도 물에 멸치육수 내서 끓여요.

  • 4. 제경우
    '12.12.27 2:17 PM (59.86.xxx.85)

    무 마늘 고기넣고 국간장 조금넣고 볶는수준으로 약불로 익혀서(고기가 익어야 국물색깔이 맑아요)
    고기가 익으면 물붓고 끓이는데
    쌘불로 팔팔끓으면 약불로 푹~1시간정도 끓여요(국거리쇠고기는 푹~끓여야 고기가 연해져요)
    거의끓으면 국간장으로 간보고 파넣고 후추는 먹을때 국그릇에서 넣고 먹어요
    쇠고기 넉넉히넣고 무넣고 1시간정도 푹 끓이면 거의 사골국같이 진해서 맛있어요
    미역국도 같은수준으로 고기넣고 참기름넣고 볶다가 1시간정도 약불에 푹끓이면 아주 맛있답니다 간은 국간장으로 하시구요

  • 5. 그러게요
    '12.12.27 2:17 PM (118.216.xxx.135)

    쌀뜨물은 된장국에 주로 넣던데...

    쌀뜨물 말고 맑은 물로 끓여보세요. 전 고기 넣으면 멸치다시도 안내고 그냥 맹물 넣어요. 맛이 겹치는거 같아서...;;

  • 6. 제경우
    '12.12.27 2:18 PM (59.86.xxx.85)

    전 쇠고기국 끓일땐 육수물 따로 안넣고 정수기물넣고 끓입니다

  • 7. 어머나
    '12.12.27 2:22 PM (59.86.xxx.85)

    쇠고기무국엔 설탕 안넣어요
    각장은 국간장넣어야지 진간장은 절대 아닙니다
    그리고 볶을때 참기름이나 들기름넣지마세요
    고기에서도 기름떠요
    그냥 약불에 볶아도 무 들어가서 안탑니다

  • 8. ...
    '12.12.27 2:29 PM (61.79.xxx.13)

    쇠고기 핏물 빼고 하는게 중요해요.
    그러면 국물도 맑고 거품도 없어요

  • 9. ..
    '12.12.27 2:32 PM (115.178.xxx.253)

    쌀뜨물 쓰지마시고, 핏물이 덜빠져 갈색 거품이 나면 거품을 거둬내세요.

    소금으로 간하시구요. 만약 간장 쓰신다면 재래간장(국간장) 쓰셔야 합니다.
    너무 많이 넣으면 색이 진해지니 소금을 같이 쓰시구요.

  • 10. ...
    '12.12.27 2:49 PM (121.153.xxx.229)

    쇠고기 국거리는 국으로 끓이면 질기지 않은데 이상하네요..
    질기다면 핏물뺀다음 맹물(찬물)에 넣고 푹 삶아보세요..
    고기가 물러지면 무우넣고 끓이다가 다른거 넣지 마시고 파,마늘,국간장+소금, 후추약간 넣습니다.
    설탕,진간장쓰시면 맛없어요..

  • 11. 부너
    '12.12.27 2:49 PM (114.207.xxx.35)

    무를 처음부터 넣고 끓이나요?
    고기가 어느 정도 익은 후에 무를 넣어야 무가 뭉개지지 않을텐데요.

  • 12. 저는
    '12.12.27 2:58 PM (110.70.xxx.16)

    사태나 양지를 덩어리째 넣고 30분 이상 푹 끓여요
    그런 담에 고기를 찢거나 썰어서 양념 살짝 해서 국에 넣으면 아주아주 맑은 고기국이 됩니다

  • 13. 연하게
    '12.12.27 3:44 PM (110.70.xxx.99)

    고기가 연하고 맛있어야 국도 맛나고 질겨지지 안아요. 고기를 참기름에 볶다가 거의 익었을쯤에 무 넣고 같이볶다가 물 조금씩 넣으면서 끓여요. 그냥생수. 마늘조금 넣고 국간장으로 간하고 마지막에 파 큼직하게 썰어넣고 소금간+후추약간 ... 맛이 끝내줘요. 이 국으로 손님 접대하는 사람입니다 ^^

  • 14. 라떼홀릭
    '12.12.27 6:53 PM (211.246.xxx.88)

    거품을 걷어내야 됩니다.
    핏물을 빼내지만 속에있는건 잘 안빠지는데 그게 거품으로 나옵니다
    거품을 잘걷어낼수록 맑은국이 되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2967 막장드라마 사랑했나봐에서 최선정문제-아동문제질문 8 잔잔한4월에.. 2013/01/03 1,801
202966 연말정산 카드에 관련된 질문이에요 2 알뜰하게 2013/01/03 638
202965 이 게시판에도 툭하면 그깟 경비원 당장 자른다는 분들 계시죠? 9 생각이 없어.. 2013/01/03 3,218
202964 가계부 쓸 때요... (질문입니다) 살림초보 2013/01/03 609
202963 안상수 씨가 부정선거 충분히 가능하답니다. 전자개표는 개표 아니.. 7 옳으신 말씀.. 2013/01/03 2,549
202962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냥 가만히 있을까요... 7 ㅠㅠ 2013/01/03 1,607
202961 아이리스 제작자 조현길 대표 자살소식 들으셨나요? 1 오늘도웃는다.. 2013/01/03 5,324
202960 장터에 판매해도 될까 싶어서요 2 질문 2013/01/03 2,004
202959 엄마가 아들이랑 몇살까지 같이 목욕할 수 있나요? 7 들꽃이다 2013/01/03 4,775
202958 구로쪽 교회 추천해주세요 2 후라이 2013/01/03 640
202957 쌍꺼풀 수술요.. 고민만 십수년이 넘었어요 ㅎㅎㅎ 6 라인 2013/01/03 2,351
202956 아기 수면훈련시키는 것 좀 도와주세요 (선배님들의 조언절실합니다.. 15 꽃사슴맘 2013/01/03 2,266
202955 노통님 나오셨는데 꿈해몽 가능할까요? 2 꿈해몽 2013/01/03 1,023
202954 취업문의 하려구요.. 1 이혼녀 2013/01/03 828
202953 <남영동 1985> 정지영, 젊은 세대에게 쓴소리 3 엘도라도 2013/01/03 1,353
202952 선관위의 부정선거- 투표수 조작의 완벽한 증거 2탄 5 부정선거 2013/01/03 5,239
202951 안먹어도 너무 안먹고 심한 편식쟁이 7살 딸 자라면 낫아지나요?.. 1 고민맘 2013/01/03 1,239
202950 ((질문)) 쌍꺼풀 수술 자연스럽게 하는 곳 어디일까요? 9 속눈썹찔림 2013/01/03 2,379
202949 오리털패딩/ 거위털패딩/ 그냥 솜털 패딩/ 어떤게 제일 따뜻한가.. 6 따뜻한옷??.. 2013/01/03 5,267
202948 (단독) 중앙선관위 수개표 주장은 '새빨간 거짓말' 8 후아유 2013/01/03 3,601
202947 방금 레몬청을 만들었는데 끓는 물에 넣는 걸 빼먹었어요. 7 어쩌죠? 2013/01/03 2,715
202946 문재인 미공개 광고 - 운명 5 참맛 2013/01/03 2,193
202945 혹시 갤럭시 노트 10.1을 폰 용도로도 쓸수 있을까요? 1 ///// 2013/01/03 1,080
202944 인천시 개표의혹, 사라진 0.1% 논란 해명…“결과 불복 유감”.. 2 고발뉴스 2013/01/03 1,609
202943 부동산에서 거래 책임을 지는 것을 실제로 경험해보신 분? 3 cake o.. 2013/01/03 1,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