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 가끔 저의 전생을 들여다보고 싶어져요.

땅콩사탕 조회수 : 1,498
작성일 : 2012-12-26 22:47:24

달마다 삼천만원씩 기부를 하고, 일억원가량,몇십억,몇백억원 기부를 하시는 분들을 하시는 분들(TV, 신문)을 보면, 저분들은 전생에 어떤 사람이었을까, 또 태어난다면 더 좋은 세상을 만나 태어날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전 그렇게 기부를 해본적이 없어요.

굳이 예를 그래도 들어보자면,

초등학교 5학년때 싸리빗자루질을 하고있다가, 빛좋은 햇볕이 반들반들 빛나는 대청마루위에 양말장사 할머니가 무조건 제 허리를 부둥켜안으면서 쌀좀 달라고 하는바람에 쌀통속의 쌀을 40킬로가까이 퍼준 적이 있었어요.

그다음날, 엄마한테 머리채를 통째로 잡힌채 온방안을 다 질질 끌려다니고, 눈물로 뒤범벅이 되어서 혼절상태까지 갔다가 깨어나보니 머리카락이 뱀처럼 잔뜩 뽑혀 있던 장면을 목도한적이 있었어요.

그리고, 회사생활할때 정기적으로 보내주던 소액의 기부와 ,그것도 처음엔 2000원짜리기부에서 출발했다가 5000원으로 올랐고, 나중엔 15000원까지 보냈었어요.

그리고 원래가 전 알뜰한 편이어서 더이상의 저를 위한 지출도 또 회사생활을 그만둔 10년전부터는 남을 위한 생활에 눈을 돌리고 살지 못했었어요.

캄캄한 반지하전세방에서 5년을 살다보니, 저만의 그 궁핍에 갇혀버린것도 있었거든요.

그리고 속좁은 우리남편을 만나 행동과 생활의 반경이 많이 좁아졌어요.

아기가 배고파 우는 것도 못참아하고, 분유탄다고 왔다갔다하는 그 찰나의 시간에도 잠을 깬것이 싫어서 핏발이 잔뜩 돋은 눈으로 빨리 주라고 소리소리 지를때 흠칫 놀라다가도 곧 아기를 어르고 안으면서 살아왔거든요.

그도, 돈이 수중에 없는것을 못견뎌하는 스탈이었는데 아기도 생기고, 돈은 안모이고 직장도 잃었겠다, 집에 오면 아내는 아이한테 매달려서 반찬도 안해놓았겠다, 결국 아기를 안고 등을 돌려 앉은 제게 아기를 스웨덴으로 입양해버리겠다는 말을 아이가 7살이 될때까지 입에 달고 살았었어요.

그런 사람이 명절마다 큰형집에 꼭 가는거에요.

그 큰형수가 우리 오는것을 그리 싫어해서 문도 안열어주고 온식구들이 다 없는사람취급을 해대고 무시를 해대는데

그래도 꿋꿋이 개념치않고 가는겁니다.

그 수모와 냉대가 두려워 저는 그집으로 가는 차안에서 근심만 잔뜩 서린 얼굴로 앉아있었어요.

그런 세월이 십년입니다. 어제는 정말 싸웠습니다. 크리스마스날에요.

설에 또 가려고 하는거에요. 그래서 십년동안 갔으면 나로써의 할도리는 다했고 남편이 보너스로 받아오는 30만원중에 15만원을 현금으로 드리고 과일박스를 두상자 드리는데도 임신했을떄부터 내게 준것은 속 도려낸 갈변한 사과 두세개였다고, 가려면 혼자 가라고 했더니, 남편이 그동안 자기네집을 무시했다고 길길이 날뛰는겁니다.

그 큰집 조카가 우리애한테 매일 흰자를 드려내고 흘겨보니 한마디 해주라고 했더니, 자긴 하기싫다는겁니다.

그렇게 냉대받으면 안가면 되는데 왜 가냐구요. 남편이 행패부릴게 두려웠거든요.

어젠 죽기밖에 더 하랴 싶어 속사포같이 그랬습니다. 그랬더니 아무말 못하더라구요.

우리 남편의 하는일이, 추운 밖에서 일을 하는 겁니다.

그래서 집에 오면 재채기로 집이 쩡쩡 울립니다.

어릴때, 엄마가 의처증있는 알콜중독자였던 아빠에게 그렇게 맞고도 대들었던 것이 이해가 되지않았었어요.

그런데 그게 이해가 되더라구요..

그런 엄마가 지금 심장병을 앓고 계십니다.

지금은 아빠가 저세상 가셔서 편안할텐데도.

전 애아빠가 집에 돌아오는 발자국소리가 겁납니다.

오랜세월동안 사랑받지못하고, 살아온 결과물인거죠.

지금으로부터 10년전 아기가 갓 삼개월 무렵 되었을떄 기저귀를 사러 마트에 갔더니, 계산대에 있는 한 아줌마가 절 보고 무척 딱하다는 표정으로 서있었습니다.

전날 우리남편이 마트에서 뭘 사다가 저에게 하는것처럼 행패를 부린거죠.

집에선 아무도 모릅니다. 그런 사람인것을요. 동생들은 너무 행복하게 잘 살고 행복하게 사니까요.

다만 엄마만 눈치빠르게 알고만 있습니다.

왜 가끔 전화오면 불안해하냐고.

그리고 애 아빠전화목소리가 왜 이렇게 날카롭게 날서있냐고.

아니라고 하지만 벌써 우리엄마는 고개를 돌리고 한숨을 쉬고맙니다.

주변사람들은 제가 말을 다정하게 해서 배우고 싶다고도해요.

성격도 차분한데가 있어서 사람들 말도 잘 들어주고 우리집에 놀러오는 사람들에게도 최선을 다해요.

그게 또 즐겁고요.

물론 아이아빠에게도 전 다정하게 상냥하게 말을 해줘요. 늘 큰소리를 친적이 없어요. 그래서 남들은 애아빠한테 와이프를 잘 얻었다고도 해요.

애아빠가 물론 평온하게 지내기도해요.

하지만 한번 화가나면 집이 살얼음판이 되어버리는 남편, 저는 여러모로 불행해요. 결혼전의 저는 깔끔한것 좋아하고 친구들과 만나서 수다떠는것을 좋아하는 사람이었으니까요. 그런데 제가 불행하다고 여겨지는건..

그런 형님을 만난것, 그런 애아빠를 만난것, 어디서부터 잘못된걸까, 난 왜 가난한가 .

하다보면 제 전생이 궁금해집니다..

저란 사람 과연 누구였을까요..

IP : 110.35.xxx.9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4045 아래 연애상담 댓글님들. 6 고민글에 2013/01/06 2,537
    204044 (19) 관계가 하고싶어지는 날이 올까요? 13 ... 2013/01/06 10,480
    204043 깔끔한 남자?? 3 ??? 2013/01/06 1,681
    204042 예전 일기장을 읽고 너무 눈물이 나서 잠을 잘수가 없어요. 22 자자 2013/01/06 5,915
    204041 15년된 아파트 2층인데 윙~~하는 모터소리가 들려요. 6 모터소리 2013/01/06 4,456
    204040 언니들,담 토욜엔 꼭봬요...근데 퉁퉁 부은 눈은 어떻게해야하죠.. 6 도와주세요 2013/01/06 1,975
    204039 유치원에서 친구에게 귀를 찔려왔어요.. 3 속상해요 2013/01/06 2,013
    204038 손님들이 오셨을 때 귤을 대접하려고 하는데 담을 바구니는 어디서.. 3 시은맘 2013/01/06 2,040
    204037 서울 홍대 근처 유방초음파 볼 병원 추천 좀.. 1 유방초음파 2013/01/06 2,831
    204036 새해엔 어떤운동으로~ 몸짱이 되고 뱃살을 몰아내 볼까요~? 16 아이보리 2013/01/06 4,573
    204035 아직도 드라마 속 연애에 이렇게 가슴이 뛰다니... 1 dd 2013/01/06 1,802
    204034 소녀시대애들은 왜이리징그러워졌나요 26 바보 2013/01/06 14,117
    204033 제라르 드파르디외, 브리지트 바르도의 푸틴 사랑~ 9 깍뚜기 2013/01/06 2,937
    204032 녹색의자 보신분? 프롤로그 Estell.. 2013/01/06 1,005
    204031 부정선거관련해서 정말 잘 모아놨네요-다음에서 베스트댓글로 되어있.. 4 아마 2013/01/06 1,414
    204030 핸드폰 고장으로 주소록이 다 날라갔어요...ㅠㅠ 2 000 2013/01/06 1,490
    204029 설날(구정) 때도 단감을 살수 있을까요? 1 ... 2013/01/06 751
    204028 6살 아들 훈육에 대한 조언구해요 .. 26 잘 키우고 .. 2013/01/06 8,478
    204027 언니들 급해요~ ! 갈비찜하는데 핏물이 안 빠져요~ 5 이방에무슨일.. 2013/01/06 1,821
    204026 재밌고 매력적인 화법은 타고나는건가요? 11 그것이 궁금.. 2013/01/06 5,568
    204025 카스토리에 배우자사진없는분들 34 ㄴㄴ 2013/01/06 7,858
    204024 초등부모님들 아이들과 체험학습 어디로 가세요? 3 독수리오남매.. 2013/01/06 1,510
    204023 부유방이나 섬유선종 수술시 보험 추천 8 걱정 2013/01/06 2,658
    204022 하나님 믿지만,,108배 드려도 될까요 21 언니야힘내 2013/01/06 4,967
    204021 깐 굴 어떻게 손질하나요? 3 2013/01/06 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