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들 절약이나 경제 관념 어떻게 가르치시나요?

@ 조회수 : 2,215
작성일 : 2012-12-24 13:16:54

6,8살 엄마예요. 저의 어머니도 어렸을 적 저에게 절제,절약등을 가르쳐주시지 않으셨고, 저도  개념이 없었어요.

근데 월급받고 사회생활 시작하니 참 소비 절제가 안되더라구요.

아끼는 것 같아도 항상 카드값 많이 나오고,저축도 많이 못했고... 습관 바꾸기가 참 힘들었어요.

알뜰한 분들 정말 부럽고,아쉬운 점이 많아요...

반면, 형님네는 아이들이 어렸을 적부터 잘 훈련시키시는 것 같아요.

저희도 따라하기는 하는데, 다들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해서요...

IP : 14.32.xxx.7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12.24 1:20 PM (211.237.xxx.204)

    애들은 그냥 엄마 아빠 하는것보고 배웁니다.
    물론 좀 천성도 있긴 해요.
    저희 친정부모님이 엄청 알뜰하신 분들인데 저는 좀 소비성향 제 남동생은
    엄청난 짠돌이 그랬거든요.
    근데 저도 이젠 엄청난 짠순이가 됐어요.
    남편이 좀 짠돌이거든요..
    평편상 쓸돈도 별로 없고 ㅎㅎ
    저희딸 있는데 고등학생인데 얘도 엄청난 짠순이에요.
    그냥 부모 보고 배우는게 많은듯..

  • 2. 이게멘봉일쎄
    '12.12.24 1:21 PM (218.152.xxx.206)

    전 어렸을때 지나치게 경제관념 심어주는건 안 좋다고 생각해서요.
    어려서 남들이 가진것도 가져보고 해본것도 해보고 소비를 좀 누려야 나중에라도 오히려 원한이 없는것 같아요. 요즘 서점에 아동 경제서적 나오는 것 보면 위험한것 같아요.. 어렸을때는 창작/명작/고전 많이 읽는게 중요하죠.

    애들도 다 자기 살궁리 하기때문에 너무 걱정 안해도 될것 같아요.

    단지 일부러 지하철도 타고 버스도 타고 다니고, 떼쓴다고 사주지 않고요. 현명한 소비 하는걸 가르치려고는 노력하죠. (저는 택시타고 다녀도 애들 있을때는 일부러 지하철 타고 그래요..)

  • 3. nyk
    '12.12.24 1:25 PM (1.177.xxx.33)

    우리엄마가 어제 저한테 이말했는데...ㅎㅎㅎ
    근데요 우리엄만 우리들 어릴때 바빠서 경제관념 안심어주셨거든요.
    그런데도 저는 대딩때까지 경제관념 완전히 없구요
    울여동생은 경제관념이 장난아닙니다.
    그냥 전 이런게 타고나느것 같더라구요.
    우리동생은 어릴때부터 자기돈.자기몫에 대한 구분이 철저했거든요.
    저는 내돈이 니돈이고 니돈이 내돈이고.뭐 좀 노인네 같은 마인드라..

    우리엄마가 티비에 어느 강사가 나와서 애들 주식공부시키면 경제관념생긴다는 말 듣고 저보고 그렇게 가르쳐라 그래서..전 싫다고 했어요.
    그게 독이 될지 득이될지 아무도 모르는거다 하고 말이죠.
    어릴땐 생각없이 써봐야 개념이 잡힌다고 생각해요
    써봐야 돈이 안모이는이유.모아봐야 돈이 모이는이유에 대해 나름 자기 생각이 생기죠.
    가끔 우리애가 그날 들고간돈을 아무 생각없이 쓴날.또는 친구들이 무언갈 사는데 자긴 그걸 못샀을때..
    그땐 정리해줍니다.
    만약 네가 그전에 푼돈을 모았다면..하나쯤사지 않았겠냐 하구 말이죠.
    초딩때는 이런걸 이해못했고. 좀 크고나선 아하..아차 이런 마음을 내비치더라구요.
    모아야 큰걸 하나 이룬다는걸요.
    지금은 그정도만 판단하게 하고 있어요.
    쌈지돈이 있어야 굴릴수가 있잖아요

  • 4. 또이뽀
    '12.12.24 1:26 PM (125.178.xxx.153)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시지 마시고 작은것부터 조금씩 가르쳐요..물 절약 전기 절약 이런것부터요..물을 왜 절약해야 하는지 알려주고.. 또 어린이 집에서도 배워 오드라구요..사고 싶은거 있어도 다 사주지 않고 꼭 필요한 것인지 생각하게 하고 등등... 이웃집은 사달라는거 다 사줘 버릇하니까 안사준다는 것에 대한 이해가 없드라구요..어려서부터 우리집의 경제 형편을 조금씩 공개하는 것도 좋아요...

  • 5. ....
    '12.12.24 1:27 PM (175.209.xxx.245)

    기본적인 개념(수개념, 돈을 주고 물건을 산다는 개념등..)이 갖춰져있을때...가장 좋은건 일주일에 용돈을 얼마 주고, 그 금액을 스스로 컨트롤 해보는 경험인것같아요. 어릴때는 자제력이 약하니 일주일, 좀 더 크면 이주에 한번, 중딩이상이 되면 월에 한번 이런식으로요.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배분해서 써야하나를 알아야죠.

  • 6. 엄마
    '12.12.24 1:45 PM (125.135.xxx.131)

    영향이 큰 거 같아요.
    엄마가 돈돈 하면서 아끼고 전기 딱딱 끄고 늘 아끼자 이런 말 하면 자연히 아이도 습득하는 거죠.
    특히 큰 애들이 잘 습득하고 작은 애들은 그 반동으로 오히려 잘 쓰는 애들이 많은 거 같구요.

  • 7. 저두
    '12.12.24 1:57 PM (122.40.xxx.41)

    애들한테는 물절약. 전기절약.학용품절약. 음식 먹을만큼 푸기.
    그 정도만 잘 가르쳐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어른돼서 그것도 못하는 사람 천지잖아요

  • 8. ..
    '12.12.24 2:28 PM (182.215.xxx.17)

    유치원에서 물,전기 아껴쓰기 배워와서 엄마 아빠한테 잔소리 할 때
    흐뭇하죠.. 9,6세 두 아이에게 신발정리. 수저놓기 심부름 시키고 주 1회 천원주고 있어요
    밖에 노점에서 간식 사먹을때 직접 사오도록 하면서 1천원의 가치에 대해
    조금씩 얘기해요.. 어린이 통장에 저축도 하고요 항상 아빠가 이 추위에/이 더위에 불구하고
    너희를 위해 출근하신다를 강조해요...

  • 9. 법륜스님이
    '12.12.24 3:19 PM (121.157.xxx.79)

    그러셨어요. 제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옮기는건지는 모르겠는데요.
    엄마가 너무 절약을 강조해서 돈을 안쓰면 열등감이 형성될수 있고,
    엄마가 너무 돈을 많이 쓰면 애가 돈이 귀한줄모르고 절약을 못배운다.
    돈을 대하는 엄마의 마음 상태가 중요하다...
    돈을 절약하되 애가 열등감이 형성되지않게 절약하는게 중요하고 , 돈을 쓰되 정말 합리적인 소비를 해야 한다고 그래야 애가 나중에 돈이 없어도 열등감이 형성되지 않고 돈이 많아도 절약할수 있다고 ...
    (아무래도 제가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것 같아요. 한번 찾아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3609 오디액기스 담근거 어떻게 해야하나요? 2 초보 2013/01/04 1,274
203608 가스검침했는데, 지난달 6 가스 2013/01/04 1,972
203607 2,000불짜리 코트 좀 봐주세요^^ 33 아기엄마 2013/01/04 14,629
203606 죽은 대형 화분 어떻게 버리시나요...? 5 마이너스의 .. 2013/01/04 6,294
203605 보일러 실내온도 16도?? 2 뭥미 2013/01/04 4,404
203604 별로인가요? 궁금합니다^^ 3 산본중학교 2013/01/04 751
203603 항문외과 코디네이터는 무슨일 하나요? 2 취업 2013/01/04 1,369
203602 sk에서 전화오면 번호가 뭐라고 뜨나요? 2 발신번호 2013/01/04 901
203601 이게 무슨 궁상이람? 3 추어 2013/01/04 1,510
203600 자수성가한 분들 중 의외로 보수적인 성향이 꽤 있는것 같아요 7 .... 2013/01/04 2,456
203599 이불 빨래 하려면 드럼 몇킬로 정도 돼야 하나요? 5 세탁기 2013/01/04 3,318
203598 대한통운택배 물건 받으셨나요? 12 동두천 2013/01/04 1,673
203597 추운 겨울에 아랫집 덕을 톡톡히 보네요 17 고마운이웃 2013/01/04 9,352
203596 국회의원 연금법 찬반 명단 공개됐네요 14 에효 2013/01/04 3,534
203595 자취집 원룸 보일러를 꺼놓고 집에 내려 온다는데요? 13 .. 2013/01/04 4,545
203594 휴일 밤11시에 피아노치는건 심한거죠? 4 층간소음 2013/01/04 1,357
203593 집세 안냈다고 손가락을.. 14 ... 2013/01/04 4,420
203592 귀에서 소리가 나요 8 이명 2013/01/04 1,667
203591 12월15일경에 음주운전으로 걸렸는데 아직도 연락이 없네요 7 경찰에서 2013/01/04 3,462
203590 런닝머신 대여 3 운동 2013/01/04 1,623
203589 UFO 폭발 검색어 1위 3 그지깽깽이 2013/01/04 1,744
203588 청담어학원 4 토플 2013/01/04 2,611
203587 [광고공지]중앙일간지 광고 안내 및 의견여쭙니다. 57 믿음 2013/01/04 2,194
203586 얼굴 오른쪽이 쑤시면 풍의 전조입니까? 1 하얀공주 2013/01/04 1,361
203585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__) 7 무명씨 2013/01/04 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