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투쟁 세대에 대한 오해...

ㄴㅁ 조회수 : 990
작성일 : 2012-12-23 01:00:29
민주화 운동 한창이던시절..

대부분의 국민이 투쟁한건 아닌거같아요.

그냥 현실에 안주하면서 투쟁하는 사람들 빨갱이 취급하고 대통령은 왕인줄알고 그렇게 산사람이 꽤 많은거 같습니다.

국민의 대다수는 그저 민주주의의 무임승차자일뿐인거 같구요.

아마 박근혜 뽑은 대부분이 그에 속할거에요.  

IP : 124.111.xxx.92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51.6%
    '12.12.23 1:01 AM (14.40.xxx.61)

    지금의 여의도 광장
    그 사람 죽기 전에 그렇게 불렀었지요

    516광장이라고

  • 2. ㅇㅇ
    '12.12.23 1:06 AM (121.191.xxx.188)

    일리있는말씀이에요. 하지만 그렇다 해도. 89.9투표율은 이해가 가지 않아요. 근데 자꾸 숫자 516 625랑 연결시켜 말씀하시는 분들은 왜 그러세요?.그들이 우리한테 메세지를 보낼이유가없어보이는데..

  • 3. ㄴㅁ
    '12.12.23 1:08 AM (124.111.xxx.92)

    그쵸 굳이 메세지를 보내고 싶음 애초에 프로그램을 상부지시랑 반대로해서 엿먹이면 더 제대로 고발됐을텐데
    숫자 우연히 겹친걸로 억측들은 그만하셨음. 야당지지자들 단체로 이상한 사람들 만들지 말아주세요 ㅜ.ㅜ

  • 4. ㅡ,ㅡ
    '12.12.23 1:11 AM (182.222.xxx.174)

    물론 대부분의 국민들은 무임승차했지만...ㅜㅜ
    그래도 이건 잘못된 거다, 나한테 피해가 오기 때문에 나서서 말은 못하지만...
    이런 분위기는 있었다고 봐요.


    80년대에도
    운동권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한 학생들은 소수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두환, 노태우를 지지하는 사람은 없었고요.
    다만 용기가 없어서나서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물론 먹고 놀고 멋부리고 이런 거에만 관심있는 부류도 있었고
    출세지향적인 실속파도 있었고
    학구파도 있었고
    다양했지만..
    아무도 독재를 지지하는 사람은 없었고 광주학살에 대해 분노하지 않는 사람은 없었거든요.

  • 5. 노태우지지??
    '12.12.23 1:15 AM (124.111.xxx.92)

    김영삼 김대중 물리치고 첫 직접선거로 대통령된 그 노태우씨 말씀입니까? 그게 울나라 국민 수준이에요.

  • 6. 노태우지지??
    '12.12.23 1:15 AM (124.111.xxx.92)

    광주학살 아직도 간첩들이 선동해서 일어난 일로 알고있는 사람 많아요. 저도 그얘기 듣고 충격받았는데 그쪽 사람들은 아직도 진심 그렇게 믿고있어요. 김대중 노무현 정권때 역사 왜곡해서 가르치고 있는거라고.

  • 7. 전 80년대에 초딩이어서
    '12.12.23 1:17 AM (61.77.xxx.113)

    182.22님 마지막 광주학살에 분노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고 하셨잖아요...
    근데 그 시절에 독재를 지지하는 사람은 없었겠지만...
    광주학살을 광주사태.광주간첩사건등등으로 둔갑해서
    광주가 흔히 수꼴이 말하는 빨갱이 소굴이었다고 믿는 사람이 태반이었다고
    그만큼 언론이 사실을 왜곡하고 진실을 알리기 어려워서 사실대로 모르는 사람이 더 많지 않나요?

    이건 뭐 테클이 아니고요 정말 궁금해서 여쭙는거에요...그시절에 초딩이어서 전혀 몰라서요...

  • 8. 000
    '12.12.23 1:31 AM (220.255.xxx.48)

    80년대 민주화 투쟁을 한 486세대가 무임승차했다고 하는 분들 시간나면 도서관 가서 그 당시 신문에 난 사진들 한번 찾아 보세요. 정말 일부만 운동하고 나머지가 무임승차했는지..
    그 당시 세대는 목숨 걸고 길거리에서 민주주의를 외친 세대입니다.
    당신들 처럼 책상머리에 앉아서 키보드 두들기며 민주주의 나불대는 세대와 근본적으로 다르다구요..

  • 9. 30년 전 대학
    '12.12.23 1:46 AM (14.40.xxx.61)

    나는 데모 참여 안해도
    데모 학생 못마땅해 하는 교수, 학생들이 우습게 여겼습니다
    데모 학생들 출석미달정도는 대부분의 교수들도 다 졸업 시켜줬구요(사법처리 아니면)

    젊은 분, 소설을 쓰려면
    교본말고 엄마 대학 시절을 물어보고 쓰라

  • 10. ......
    '12.12.23 2:46 AM (182.222.xxx.174)

    아, 모르겠어요.
    전 80년대 후반 대학을 다녔는데요..

    퍼센트로 따지면..학생운동하는 사람들은 소수였어요.
    물론 그때도 시험거부하고, 수업거부하고 그런 행동들은 했어요. 대거 참여했고요.
    하지만 앞장서서 나서고 거리 시위나가고 이런 학생들은 정말 소수였어요.

    87년 6월 몇일이었는지도 잊어버렸네요...15일과 22일이었나? 항쟁때는 많이들 나갔고요.(이때는 저는 안나가고)
    이한열열사 장례식 때...시청앞까지 저도 갔었어요.(이때는 진압 안하고 허용된 집회여서..용기내서 나갔던 것 같아요. 제가 넘 겁이 많아서..ㅜㅜ)
    도저히 가만히 있을 수 없어서 혼자 갔었던 기억나요. 엄청난 인파가 몰렸었어요...

    그래서 대부분 무임승차라는 말은 맞는 말이기도, 틀린 말이기도 한 것 같아요.
    어디까지 개입했느냐의 문제..
    하지만 대부분의 정서는..독재타도, 민주주의열망..이런 거였어요. 울분에도 차 있었고 전두환은 전대갈, 노태우는 노가리...그리고 전두환 부인은 주걱턱..이렇게 희화화하면서 늘 욕했던 것 같고요.

    광주항쟁 당시에는 저도 초딩이고 언론에서 제대로 보도해주지 않고 광주는 고립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몰랐을거예요. 무슨 폭동사건이 났나? 정도로...//은밀히 소문이 돌았죠. 굉장히 조심하면서 이야기를 해서 눈치로 뭔가가 있다는 정도..
    하지만 대학에 가면 대부분 알게 되죠. 입학하자마자 접하는 게 광주항쟁의 진실이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4530 (컴앞대기중)PT상담시 무엇을 알아볼까요? 3 컴앞대기중 2013/02/27 734
224529 사주를 믿어야할지 말아야할지 모르겠네요...어떻하시겠어요 5 사주를 2013/02/27 2,661
224528 장혁이랑 이다해.. 14 수니 2013/02/27 6,869
224527 엘리베이터 없는 삼층집...서랍장 주문시 사다리차 필수인가요? 5 ㅜㅠ 2013/02/27 2,018
224526 시래기 된장국이 너무 먹고 싶어서... 4 4ever 2013/02/27 1,933
224525 박정희의 '장물'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요구…조중동은 침묵 .. 2 0Ariel.. 2013/02/27 520
224524 외국법원, 성폭행당한 소녀에게 채찍 100대형? 3 이계덕기자 2013/02/27 1,344
224523 오자룡이 간다에서 말이죠 5 이상하네요 2013/02/27 2,056
224522 삼생이 성인역의 연기자.. 얼굴이 너무 부담스럽네요. 15 .. 2013/02/27 2,940
224521 신세계 영화요 4 신세계 2013/02/27 1,496
224520 야채하나도 없이 된장찌개끓이면.. 14 데이 2013/02/27 4,138
224519 급질! 브루마블할때요 통행로낼돈없으면? 4 어색주부 2013/02/27 1,692
224518 갤럭시s2 0원짜리 떴네요 8 ss 2013/02/27 1,987
224517 미나리... 7 초보 2013/02/27 1,140
224516 증상 문의 드립니다 2 4ever 2013/02/27 496
224515 유류분 청구해서 땅으로 받았는데 등기안하고 바로 줄수있나요? 2 아줌마 2013/02/27 1,313
224514 수입이 끊기면 난 몇달을 버틸까? 1년은 가능할까? 5 월급쟁이가정.. 2013/02/27 2,229
224513 저학년 사고력 수학 꼭 필요한가요? 선배님들 댓글 좀 11 2013/02/27 13,092
224512 치과 신경치료요,,, 13 엉엉 2013/02/27 3,152
224511 미역국에 곰피 넣어도 될까요 3 곰피 2013/02/27 1,618
224510 베스트에 아까 교사 그만두신다던 글 24 ?? 2013/02/27 4,816
224509 예단을 받기로 했는데요 7 고민 2013/02/27 2,379
224508 현미, 전기밥솥에 하려면 꼭 하루정도 불려야하나요? 11 밤안개 2013/02/27 3,442
224507 은행 다니시는 부운~장애인은 생계형저축 들 수 있나요? 2 질문 2013/02/27 1,015
224506 이사 세잎이 2013/02/27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