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경상도는 과연 무적인가

에휴 조회수 : 784
작성일 : 2012-12-20 10:48:43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보고 퍼왔어요.
듀나게시판의 drlinus님 글입니다.
이번 선거결과에 대한 세부 데이터들이 아직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아래 쓰는 내용들은 모두 지난 선거들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87년 직선제 이후 치뤄졌던 대선과 총선 결과들을 이리저리 분석해보면 흥미로운 점들이 매우 많고
다양한 분석들과 연구들이 존재한다는 글을 쓴 적이 있는데 우선 당시 썼던 내용을 그대로 옮겨봅니다.

------
일단 인구사회학적 변수들 중 연령은 큰 영향을 미치지만 계층은 별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계급이나 계층 투표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거의 주지 못하는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투표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투표 의무감과 지지 정당 유무입니다.
유감스럽게도 정책 차이와 같은 합리적 변수는 투표 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작습니다.
그리고 지난 20여년간 투표 행태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투표 결정 요인으로 출신 지역의 영향력이 여전히 크다는 것.

그런데 이러한 것들은 개인적 투표 결정 요인들입니다.
실제 선거에서 정당이나 후보자의 승패를 결정하는 건 집합적 투표 결정 요인입니다.
이 두가지를 구분해서 생각해야 하는 이유는 개인적으로 투표 결정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가 
선거에서 집합적 선거 결과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87년 이후 네번의 대선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집합적 투표 결정 요인은 
신뢰도. 위기 해결 능력. 행정 능력. 도덕성과 같은 후보자 요인이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정당 지지였습니다.
------

지역 얘기를 해보죠.

대선에서 승리를 좌우하는 지역은 항상 논란이 되는 영호남이 아니라 서울.경기 지역입니다.
이번 대선에서 그래도 승리를 노려볼 수 있었던 이유는 PK가 뒤집어질 것이다!
라는 것이 아니라 지난 총선에서 수도권 승리를 했던 정당이 민주당이었기 때문입니다.
인천은 대체 왜?  라는 갸우뚱이 아직도 지워지지 않는 인천의 패배는 그래서 더더욱 뼈아픕니다.
인천. 경기 모두 졌죠.

게다가 서울은 이겼다고는 하지만 표차가 고작 198,006표 차이 밖에 나지 않았습니다.
올해 대선 구도에서 서울에서 이 정도 표차이로 이겼다는 건 사실상 패배라고 봅니다.
수도권에서 5% 이상 차이를 벌리지 않으면 승리를 할 수 없거든요.
충청이나 강원을 환상적인 지역 공약으로 가져오지 않은 이상은.
하지만 이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도권 득표 상황으로 인한 패배라고 생각합니다.

경상도 인구수 많고 새누리당 지지율 높은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건 호남 지역 단결력과 수도권이 충분히 상쇄를 시켜줄 수 있습니다.
즉. 지역구도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대선 승리를 좌우하는 지역은 수도권이 쥐고 있다는 것입니다.

노대통령이 승리했던 지난 16대 대선에서 노무현 후보는 수도권에서 모두 승리를 했었습니다.

서울 : 345,581 (6.35% 승리)
인천 : 64,561 (5.26% 승리)
경기 : 310,002 (6.47% 승리)

이렇게 더 득표를 했고 총합 720,144표 차이를 수도권에서 얻어냈습니다.
참고로 두 후보의 표 차이는 570,980표였습니다.

이쯤에서 거칠게 결론을 내리면 대선에서 무적은 경상도가 아니라 수도권입니다.
이번 선거에서 수도권 총유권자수는 19,978,488명이었습니다.
즉. 유권자의 절반 가량이 수도권에 있습니다.
위에서 5% 정도 차이를 벌리지 않으면 승리할 수 없다고 했었는데 5%면 대략 백반표 차이입니다.
새누리당은 수도권에서 5% 이내로만 지면 대선 승리라고 예측을 했었는데 결과는 오히려 인천.경기 승리.
서울도 사실상 승리에 가까운 득표를 보였습니다.


지역 투표의 변화에 대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Alford의 균열 지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계급 균열이나 계급 투표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지수인데 우리나라에선 계급 투표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선거가 없기 때문에 지역 투표와 같은 집단 투표의 강도를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합니다.

영호남 지역균열을 대선만 놓고 보면.

1992년 : 72.30
1997년 : 67.23
2002년 : 65.28
2007년 : 61.17

지난 총 네번의 대선에서 지역 균열 지수는 10% 정도 감소했습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지역 투표라는 요인에 이념 투표. 연령 투표 등이 꾸준히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이념 얘기를 했으니 이 부분에 대해서 간략하게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경상도 사람들은 원래 보수적인가?
보통 영남은 보수 성향이고 호남은 서울.경기 지역인들과 같이 진보 성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납니다.
특히 한미 관계. 대북 정책 등과 같은 외교.안보 분야에서의 차이가 뚜렷합니다.
그런데 이런 이념적 차이가 지역 투표를 가져오는 원인이라는 증거는 없습니다.
오히려 이런 이념적 차이는 지역 투표를 가져오는 원인이 아니라 지역 투표의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정당 지지와 이념과의 상호작용 모형이란 것이 있는데요.
여기에서 보면 출신 지역별로 이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그들이 지지하는 정당의 이념 차이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의 이념을 자신의 이념으로 받아들이는 결과에 따라.
다시 말해 영남인들은 자신들이 지지하는 새누리당이 보수적이기 때문에 자신들을 보수적이라 생각하고 
호남인들은 자신들이 지지하는 민주당이 진보적이기 때문에 자신들을 진보적이라 생각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념 투표는 1997년 대선에서 미약하게 나타난 이후 2002년 대선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했고
지역 투표나 정당 지지 투표와는 다른 새로운 투표 행태로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그 이전도 지역구도가 있었지만 그것은 이념 차이 보다는 김대중. 김영삼의 영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지역별로 나타나는 이념별 차이는 2002년 대선부터 호남의 진보성. 영남의 보수성을 보여주는 약간의 차이가 
발견되기 시작했고 이후 계속 커져갔습니다.
한나라당이.  그리고 새누리당이 철지난 얘기를 또하냐 싶은 빨갱이. 종북좌파 타령을 끊임없이 해왔고 이번 대선에도 
여전히 녹음기 틀어놓은 건 이게 선거 결과에 유의미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정당간 이념 분화의 시작은 DJ 정부의 햇볕 정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둘러싸고 여야간 이념 논쟁.  그리고 경쟁이 시작되었고 참여정부에서는 이런 외교.안보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문화 정책의 영역까지 확산되었습니다.
이렇게 햇볕 정책으로 시작된 이념 경쟁 덕분인 지 한국인의 주관적 이념 성향은 다양한 영역에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외교.안보적 이슈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결정됩니다.
경제민주화. 복지. 소수자 문제. 등등의 사회경제적 영역에 의해 이념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 정당의 설득 효과로
(새누리당의 빨갱이. 종북좌파 타령이 대표적인 예죠) 인해 한미 관계. 대북 지원과 같은 외교. 안보적 이슈로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개인의 이념 성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입니다.
하지만 출신지에 따른 영향도 적지 않고 특히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지지 정당의 이념을 자신의 이념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지역투표와 이념투표가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봅니다.

참담한 마음이 커서 그런지 중언부언하며 글만 길어지는 것 같은데 결론은 이렇습니다.

대선에서 무적은 수도권이다.
이번 대선 패배는 수도권 패배로 인한 것이다.
지역구도는 지난 15년동안 조금씩이지만 그래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이념투표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다.
한국인의 주관적 이념 성향은 외교.안보적 이슈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결정된다.
이념 성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이고 연령 투표는 분명하게 존재하며
앞으로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질 것이다.
20대. 30대. 40대까지.  그리고 50대 이후의 투표 성향이 분명하게 다르다.

끝으로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자료를 하나 적습니다.
연령집단별 이념 성향 변화에 관한 것인데 대선 관련된 것만 적어봅니다.
IP : 211.61.xxx.154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3382 먹는걸 어쩜 저리 복스럽고 이쁘게 먹나요 ㅎㅎ 1 ㅎㅇㅇ 2013/02/24 1,853
    223381 유치하지만 댓글 좀 달아주세요. 88 의견주세요 2013/02/24 10,110
    223380 뱅커에서 다상담 강의 하나봐요 4 팽커 2013/02/24 1,010
    223379 레깅스입은 아내때문에 아버지가 가출하셨습니다 -펌 33 웃겨 2013/02/24 16,080
    223378 배우자 성격이 가수 이승환이라면.. 어떤가요? 19 여대생 2013/02/24 7,812
    223377 과탄산소다랑 산소계표백제랑 동의어인가요? 3 미도리 2013/02/24 1,484
    223376 캐나다 형사물 '머독 미스터리' 아시는 분 계신가요? 8 아시는분 2013/02/24 2,138
    223375 외국여자들 솔직히 불쌍하네요 66 교리 2013/02/24 16,337
    223374 한표씩만 눌러 주세요 1 청소기투표 2013/02/24 447
    223373 why책중에서 미라에 관해나온책 제목좀 알려주세요~~ 1 UFO 2013/02/24 431
    223372 외동아이 보내고... 19 유학 2013/02/24 9,198
    223371 휴가일정.. 8월 중순? 7월 중순? 언제가 비가 안 올까요? 2 ... 2013/02/24 667
    223370 자궁내막증으로 소파수술을 하는데 몸조리가 필요할까요? 5 ㅇㅇㅇ 2013/02/24 6,228
    223369 사소한거에 짜증이 잘 나요 4 에휴 2013/02/24 1,591
    223368 과거 술집여자출신,신분세탁하고 35 // 2013/02/24 69,884
    223367 사람죽을때 모르고 죽을까요 아니면 알고..?? 16 ... 2013/02/24 4,860
    223366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증이 날아왔어요 4 DD 2013/02/24 4,828
    223365 경기도 안산 상록수역 근처 사시는 분들 5 4호선 2013/02/24 2,249
    223364 오늘 무자식 상팔자 내용 1 뭐였나요? 2013/02/24 2,053
    223363 백년의 유산 호러물이 되었네요^^ 7 ,,, 2013/02/24 3,683
    223362 1년만에 귀걸이 했더니 고름나요 ㅠㅠ 6 귀걸이 2013/02/24 4,036
    223361 아르마니 매장 어느백화점에 있나요? 6 화장품 2013/02/24 2,650
    223360 조영환 일베글 인용해 "광주는 폭동"주장 구설.. 이계덕기자 2013/02/24 840
    223359 아이를 기숙사에 보내고 맘이.. 7 먹먹 2013/02/24 2,188
    223358 영어로 된 투어 사이트가 있나요? 외국인 친구한테 꼭 알려주고 .. 1 ^^ 2013/02/24 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