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84만표를 더 얻으면 이깁니다 - 실행이 중요합니다

이번엔 2번입니다 조회수 : 367
작성일 : 2012-12-18 14:08:54

박 vs. 문의 표 차이가 어느 정도였었고, 어떻게 하면 좀 열세에 있다는 문후보가 뒤집기에 성공할 수 있는지 생각해 봅시다.

 

총유권자는 대략 4천만인데, 이중 70% 정도 투표한다고 하면 2800만표가 되는데, 이 중 부재자투표로 이미 행사된 대략 1백만표를 빼면 2700만표가 남는데, 각종 여론조사에서 아직 투표할 후보를 결정하지 못했다고 하는 (그렇지만 결국에는 어느 후보에게든 투표하는) 부동층이 대략 10%(3백만표)쯤 된다고 본다면 지지할 후보가 확실히 결정된 투표수는 2400만이 되는데, 여론조사에서 박후보 지지율이 45%이고 문후보 지지율이 42%였다면, 이 2400만표 중 박후보 지지표는 1260만표(총투표수 2800만표 X 45%)이고, 문후보 지지표는 1176만표(2800만표 X 42%)로, 84만표를 지고 있다고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대략 1백만의 부재자 투표 결과는 문후보가 더 얻는 것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지만 그 차이가 어느 정도일지는 모르겠고, 그래서 이를 전혀 계산에 넣지 않고 생각해 봄).

 

정리하면,

총유권자수: 대략 4천만

투표율: 70%

총투표수: 2800만

   부재자투표수: 100만

   부동표: 300만

   박후보 지지표: 1260만

   문후보 지지표: 1176만

-----------------------------

박후보와 문후보의 표 차이: 84만표

 

문후보가 뒤지고 있는 84만표를 만회할 방법은 세가지입니다.

 

하나는 박후보를 지지하겠다는 표를 문후보를 지지하겠다는 표로 바꾸는 것 (저 위에 1260만표로 나와 있는 것의 수를 줄이고 1176만표로 나와 있는 것의 수를 늘리는 것)이고 [(문후표 표는 확실히 단속하는 반면) 박후보표는 기권으로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이긴 하지만 이에 대해선 더 이상 - 이를 따로 분리해서 -- 자세히 다루지 않겠음],

 

다른 하나는 결국에는 찍겠지만 여론 조사 시점에는 아직 누구를 찍을 것이지를 결정하지 못한 부동표를 문후보표로 흡수하는 것,

 

마지막 하나는 70%로 예상되는 투표율을 높히는 것 -- 투표하지 않을 걸로 예상된 1200만명의 유권자 중 상당수(주로 젊은층)를 투표장으로 나오게 해서 문후보를 찍게 하는 것 --  입니다.

 

세번째 방법인 투표율을 높히는 것으로만 부족한 84만표를 채우려 한다면, 투표율이 대략 6%쯤 더 높아져야 (총투표수가 240만표쯤 더 많아져야) 합니다. 늘어나는 표 모두가 문후보를 지지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지요. 대략 박후보와 문후보가 1 대 2의 비율로 늘어나는 표를 가져간다면 부족한 84만표를 메꾸려면 대략 80만표 대 160만표가 되어야 하는데 이를 합하면 240만표가 됩니다. 

 

투표율을 6%(총투표수 240만표)나 늘리는 것 -- 다들 이유가 있어서 투표하지 않으려 하는 사람들인데 그런 사람들을 240만명이나 투표장에 오게 하는 것 -- 은 매우 힘듭니다. 따라서 다른 두 방법들을 병행 사용해서 부족한 84만표의 갭을 메워야 합니다.   

 

두 번째 방법, 즉, 부동층을 문후보 지지로 끌어 들이는 것은 첫번째 방법, 즉 박후보지지를 문후보 지지로 돌려놓는 것보다는 쉽습니다. 하지만 효과는 첫번 째 방법이 가장 큽니다. 두번 째와 세번 째 방법으로 메워지는 지지율 격차를 2배의 속도로 줄입니다. 예를 들어 보죠. 100명이 투표해서 51 대 49로 나왔는데 (차이는 2명, 2%임), 이 중 한 명이 지지를 변경해서 52 대 48이 되거나 50 대 50이 되면 차이가 4%로 확대되거나 2%의 차이가 없어집니다. 반면, 어디로 향할지 모르는 1 표가 어디로 결정되는 것(두번 째 방법)이나 총투표수가 1표 (100표에서 101표로) 늘어나는 것(세번 째 방법)은 총투표수 100명을 기준으로 하면 1표의 차이, 즉, 1%의 차이만 가져오므로 첫 번째 방법 효과의 절반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할 수 있는 시점을 기준으로 볼 때 문후보는 대략 84만표 정도 지고 있는데 이를 메우기 위한 방법으로 투표율을 (6%나) 끌어 올리는 방법만 써서는 거의 실현 불가능할 것이므로 부동층과 박지지층을 문후보 지지층으로 끌어오기 위한 노력도 적극 전개해야 하는데 박지지층을 문후보 지지층으로 바꾸는 게 가장 효과가 큽니다.

 

(1) 박후보 지지를 표방하는 사람을 설득해 문후보 지지자로 만드는 것, (1-1) 박후보 지지자로 하여금 투표장에 갈 의욕을 떨어뜨리는 것 (기권을 유도하는 것), (2) 분명히 투표는 할 것 같지만 누굴 찍을지 모르겠는 부동층 유권자를 설득해 문후보를 찍게 하는 것,  (3) 투표하지 않을 것 같은 주위의 젊은이들을 독려해 투표장에 가게 하는 것 中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방법에 집중해 마지막 남은 선거운동을 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지금 절실히 필요한 것은 이곳 게시판의 글을 읽는 게 아니라, 행동으로 뛰는 것 -- 사람에게 전화하거나 만나서 설득하는 것 -- 입니다. 지금 이 시점에 이곳 게시판에서 문후보 지지 글을 올리는 것은 아무 효과가 없습니다. 이는 지지층의 확대를 가져오지 않습니다. 직접 나서서 주위 사람 한 명이라도 설득하는 작업을 막마지까지 하는 게 필요합니다. 지금 실천하세요.

 

P.S.: 설득할 대상(박지지자? 부동층? 젊은 층?)을 고른 후 어떤 말을 해야 먹힐지 잘 생각해 봐야 합니다. 대책/준비없이 말하면 효과가 없습니다. 구체적으로 이해관계가 걸린 이야기(예를 들어 박이 되면 당신에게 또는 당신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에게 어떤 손해가 생긴다, 반대로 문이 되면 어떤 이익이 생긴다; 아니면, 하다 못해 박이 되면 박은 아는 게 없어 환관들이 발호하는 세상이 된다는 주장을 하면서)를 하면서 설득해 보세요.

 

IP : 61.247.xxx.20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9378 점심값 85000원 ...어떤가요? 5 등심 2012/12/26 3,002
    199377 수학학원 비교 좀 4 ᆞᆞ 2012/12/26 1,367
    199376 귀걸이 한쪽만도 파나요?ㅠ 5 ㅜㅜ 2012/12/26 2,362
    199375 부평 사무보조 일하실 분 2 스치는바람처.. 2012/12/26 1,998
    199374 저지레 안하며 크는 아기도 많나요? 9 얌전이키워요.. 2012/12/26 2,506
    199373 잠깐 아르바이트를 했어요. 4 .. 2012/12/26 1,796
    199372 박정희 생가를 다녀 왔어요.... 74 ... 2012/12/26 12,527
    199371 도움절실.... 영화제목좀 알려주세요~ 4 기억안나.... 2012/12/26 977
    199370 재택근무 학습매니저 2012/12/26 865
    199369 매직기 추천 좀 해주세요 곱슬 심해요 3 곱슬머리 2012/12/26 1,452
    199368 봉하장터 쌀 정기 회원 어찌 하는걸까요. 13 봉하몰 2012/12/26 1,691
    199367 3g 차단신청하면 와이파이로도 인터넷 5 스마트폰 2012/12/26 1,466
    199366 살때문에 너무 슬퍼요 13 ㅎㅎ 2012/12/26 4,214
    199365 방한부츠 이쁜거 어디거 구입들하셨나요? 4 사고싶다 2012/12/26 1,211
    199364 미드 무료로 볼수 있는 곳 혹시 있나요?? 3 ... 2012/12/26 2,268
    199363 경기 안좋은데 카페 열면 어떨가요? 17 조언부탁 2012/12/26 3,527
    199362 가스보일러 실내조절기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보일러 2012/12/26 992
    199361 단일화 막판에 안철수님의 상황이 어땠는지? 47 궁금한 2012/12/26 3,133
    199360 벙커원 매니저 트윗 9 MM 2012/12/26 3,575
    199359 정치글 질문^^;; 6 궁금해요! 2012/12/26 767
    199358 시아버님이 8 호호맘 2012/12/26 4,206
    199357 겨울에 모자 예쁜 거 어떤 거 쓰시나요? 6 연말 2012/12/26 2,218
    199356 레미제라블과 호빗 어떤게 낫나요? 15 궁금 2012/12/26 3,112
    199355 정말 정몽준은 다 가졌는데 65 ... 2012/12/26 16,075
    199354 50대 어머니 영어 공부 조언 부탁드려요. 6 수채화 2012/12/26 3,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