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역난방 어렵네요 흑흑 아시는분 답변 부탁해요

... 조회수 : 3,542
작성일 : 2012-11-04 15:18:40
이때껏 가스보일러만 사용해보다
지난달 이사와서 첨으로 지역난방 사용해서 감을 못잡겠어요
이게 온수가 바로 온수관으로 들어와 난방하는 방식이라고 하던데 요금은 가스보다 더 비싼가요?
글구 운전되게 온도 설정해두면 소리가 많이 나던데 원래 이런거게요?
모든방 다 벨브열어두는거랑 안쓰는방 잠그는거랑 큰 차이 없다고 하던데 정말 그런가요?
마지막 진짜 궁금한 질문은요
아침에 정지로 돌려놨는데 아예 껐어요 외출도 아니고
벨브를 열어둔방 그러니까 밤새 난방 했던방이 계속 뜨듯하게 보일러가 들어오는거에요
씽크대밑에 계량기있는데 만져봐도 뜨듯하고 물흘러가는듯한 소리도 나는데 보일러 틀었을때보단 소리가 작긴해요
이건 원래 이런건가요
저희집 계량기가 고장인가요?
요금걱정되서 덜덜 하고있네요
관리실에 불러서 수리해야하나요?
IP : 59.19.xxx.9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4 3:30 PM (1.241.xxx.188)

    같은 지역난방이라도 아파트마다 조절밸브가 조금씩 달라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싱크대하부에 조절 밸브를 보면 위 아래 길쭉한 밸브가 두 개 있을거예요-옛날식 가스밸브 같은 것
    그것이 들어오고 나가는 양을 조절하는 메일 밸브인데 그걸 완전히 열어놓으시면(수직관과 나란하게) 안 되구요 적당히...완전히 여는 것을 90도라 할 때 30도 미만으로 열어놓으세요
    두 개 다 열어야 합니다.
    그러면 들어오는 양이 일정하니 그걸 나눠주는 각 방 밸브는 주로 사용하는 공간은 최대한 열고 나머지는 적당히 열면 돼요
    그리고 계량기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계량기를 보면 빨간색 돌아가는 톱니 같은 것이 있어요
    그게 빠르게 돌면 난방이 많이 되는 거고 느리게 돌면 적은 양이 들어오는 거니 참고하시구요

    드물게 지역난방이면서 중앙난방 형식이라 아예 조절 안되는 아파트도 있으니 관리사무소 설비 담당분에게 방문 부탁드려 자세한 설명 들어보시는 게 나을 듯 싶어요

    지역난방 잘만 사용하면 가스보단 훨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마시구요

  • 2. ..
    '12.11.4 3:48 PM (110.14.xxx.164)

    가스보다 싸고요
    혹시 껐는데 뜨거우면 고장난걸수 있어요
    그리고 다른집 안틀때 틀면 물소리가 커요
    제 경운 안쓰는방은 아예 안트는게 훨씬 저렴하더군요
    결국 필요할때만 키시면 되요
    저녁에 틀고 잘때 끄던지 추울땐 아침에 꺼요
    거실은 오후에 틀었다 밤에 끄고요
    거실 방하나 그리하면 10만원 정도 나와요

  • 3. ***
    '12.11.4 4:30 PM (203.152.xxx.59)

    지역난방하는 아파트(각 세대별로 각자 조절하는 방식)에 살다가
    개별 가스보일러 아파트로 이사왔는데
    지역난방이 훨~씬~ 쌉니다.
    이사 온 첫 겨울 가스 요금 보고 뒤로 넘어가는 줄 알았어요.
    더 춥게 살았는데 요금은 두배이상 차이났어요.
    이것도 지역마다 다른지 모르겠지만...

  • 4. ...
    '12.11.5 12:25 AM (121.151.xxx.218)

    원글님 가스보일러에 익숙하시면 가스보일러처럼 조절되는 장치(?)도 있어요 관리실에 물어보시고 점검도 한번 받아보세요

    아는 지인이 가스보일러 쓰다가 지역난방으로 이사와서 적응못하고 있었는데 이거달고 타이머 기능도 있고 가스보일러랑 비슷해서 쓰기 편하다고 그러더라구요(설치비는 아마 5~7만원으로 기억)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0445 아... 진짜 머리 아픕니다.. 우리 파스 2012/11/22 818
180444 대학병원 임상병리사 연봉이 얼마쯤되나요? 2 궁금 2012/11/22 12,389
180443 까르보나라 스파게티 간단하게? 6 지금 2012/11/22 1,743
180442 11월 22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2/11/22 450
180441 6살아이 책...낱권으로 재미있는 책을 사주려면 어떻게 골라야.. 7 택이처 2012/11/22 742
180440 이자벨 마랑 스니커즈 아시나요? 8 .. 2012/11/22 1,987
180439 저희개한데 물린상처 병원에가야하나요??? 8 밝은구슬 2012/11/22 2,063
180438 남편이 자기 옷 알아서 사면 25 자유 2012/11/22 2,848
180437 문후보의 패착, 안후보의 패착 4 또다른 정리.. 2012/11/22 814
180436 이이제이조중동 편 ...다시 주먹을 쥔다,,, 1 2012/11/22 638
180435 할머니들 모아놓고 매일 선물주다가 물건 파는곳 이거 신고어떻게 .. 9 이 와중에 .. 2012/11/22 2,874
180434 을지로입구에서 창덕궁까지 걷는 시간 5 산책 2012/11/22 745
180433 좋은 아빠가 되는 방법, 어렵지 않아요 1 착한아빠 2012/11/22 662
180432 이 코트 어떤가요???? 9 행복한삶 2012/11/22 2,003
180431 무지 혹사당하는 남편이 걱정돼서요. 5 남팬 2012/11/22 1,063
180430 가수 김성수씨 말이에요. 3 .. 2012/11/22 3,089
180429 아래아한글 잘 아시는 분 좀 알려주세요^^ 3 다희누리 2012/11/22 660
180428 오메가 3 1 만다린 2012/11/22 517
180427 이 시국에 죄송하지만 )루이 반둘리에 35면세가격? 2 면세가격 2012/11/22 1,655
180426 이시영 이번에는 국가대표 복싱대회 출전한데요. 7 규민마암 2012/11/22 2,040
180425 깝깝 1 토론 2012/11/22 513
180424 팔꿈치가 까맣게 된것은 방법이 없을까요? 레몬 2012/11/22 768
180423 sbs드라마. 답답 6 .. 2012/11/22 1,609
180422 결혼 축의금은 누가 가지고 가나요? 11 ㅇㅎ 2012/11/22 3,424
180421 여행시 지사제는 어떤것 사가시나요? 5 모기퇴치제 2012/11/22 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