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근데 imf때 분위기 어느정도 심각했었나요?

엘살라도 조회수 : 5,125
작성일 : 2012-11-01 00:22:16
그때 당시 글이나 증언보면 실직자가 하도 많이 생겨서 지하철이 노숙자가 많아졌고 초중고딩들은 아버지 실직 걱정하고 대학생들은 아예 취직이 안됐을 텐데, 그때 당시 분위기 인터넷에서 나온 글보다 심각했었나요?
IP : 182.220.xxx.163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대학생
    '12.11.1 12:25 AM (61.73.xxx.109)

    제가 그때 대학생이었는데 아버지 명퇴 당하시고 금리가 오르고 아파트 대출금 갚을수 없어 집 팔고 휴학했었고 집안이 풍비박산이 났었어요 졸업땐 대기업들 사람 안뽑고 늘 뽑던 대학병원 간호사도 사람 안뽑을 정도였두요

  • 2. ..
    '12.11.1 12:30 AM (118.32.xxx.3)

    말도 마세요..그당시 은행대출있던사람들 20%금리에 난리법석..죽는줄 알았음..

  • 3. ,,,
    '12.11.1 12:37 AM (61.247.xxx.88)

    아버지가 명퇴하고 통곡하셨던 기억이 나요.
    그 당시에는 어려서 별로 체감하지 못했는데..
    택시기사분들 말씀하시거나 하는 것들 듣고
    아..imf가 정말 국민들의 삶을 관통해 갔구나.하는 생각했네요.

  • 4. 심각했어요.
    '12.11.1 12:49 AM (125.178.xxx.79)

    아이아빠가 미리 취직되어 졸업하면 들어가려던 외국계회사가 철수해서 직장이 갑자기 없어졌었구요.
    우리 집주인은 개인 사업하는 분들이었는데 망해서 집 팔아야했엇구요.
    여기저기 죽었다는 사람들, 하루 아침에 직장잃은 사람들 투성이였답니다.
    못느낀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박사, 외국박사들도 그 즈음 졸업앞두고 직장 얻어야 했던 이들은
    직장 걱정했어야 할 정도로 급격하게 상황들이 바뀌었답니다.

    전... 기억나는 것이 엄청난 이자, 대출 받았는데.. 그 이자가 겁나게 올랐던 것이랑.
    환율이 요동을 쳐서 오히려 미국 살던 조카들은 환율 좋다고.. ㅠ 놀러나왓던 것 기억나네요..
    무서웠어요. 특히 이자때문에 소소한 기업들, 개인사업자들 많이 죽어나갔어요.

    다시 생각하니 무섭네요...

  • 5. 심각했어요
    '12.11.1 12:51 AM (125.178.xxx.79)

    그 때 택시기사로 뛰어든 분들이 엄청나게 많아졌었지요.
    택시타면 하소연 비슷하게 이야기 하시던 기사님들 정말 많았어요..

  • 6. 한글사랑
    '12.11.1 1:07 AM (171.4.xxx.210) - 삭제된댓글

    중산층이 다 무너졌지요.
    없던 사람들은 뭐 더 잃을것도 없고 중산층 애들이 죽는소리하면
    우린 벌써 겪었다 이러구 넘어갔죠.
    부자들은 더 부자됐죠.

  • 7. 매우 심각했죠
    '12.11.1 1:10 AM (59.27.xxx.38)

    대기업 다녔었는데 저희 부서 없어지는 바람에 저와 저의 부서 사람들 대부분 실직했고요, 나중엔 회사도 다른 계열사에 통폐합 되어 버렸어요.

  • 8. IMF계기로
    '12.11.1 1:18 AM (223.62.xxx.93)

    택시타면 한때 중소기업 사장하셨단 분도 계시고
    뒷 모습이 기사님은 아닌데 하는 느낌이 있잖아요
    얼마안되 길도 모르시고 그런분들 많았어요

    그리고 그때는 집을 판사람 집사려다 못산사람 양쪽 다
    정신적으로 엄청 피폐해질때로 바닥친 시절이었고
    아마도 정신병자도 엄청 늘었을거라봐요 자살 노숙자는
    말할것도 없구요 현금갖고 있는 부자들 기업들도
    부동산 투기로 번반면 중산층은 무너져 내렸지요

  • 9. IMF계기로
    '12.11.1 1:24 AM (223.62.xxx.93)

    근데 동대문 쪽 제조관련 해외 일본 러시아등 상대로
    한 업체들은 싹쓸어 모으는 그때 200억~30억까지 벌어들인
    시람들 알아요. 어려운 시기에도 그냥 거기 있었다는 이유만으로도 벼락부자 되더군요.

  • 10. 기억나는건
    '12.11.1 1:30 AM (124.61.xxx.39)

    은행 이자가 19%였었나, 엄청 높았어요. 그 이자 때문에 많이 쓰러졌죠.

  • 11. ..
    '12.11.1 7:42 AM (211.234.xxx.174) - 삭제된댓글

    대개가 힘들었지만 저도 그시절에 수출기업하시던분 강남에 빌딩사고 아파트 몇채사면서 갑자기 큰부자된사람이 있어서 완전 극단적인 빈부격차를 느껴봤었네요.그때 아파트값 많이 떨어져서 그때 산 사람들은 그후 아파트값 폭등으로 신이 났구요..이때부터 울나라 부자와 가난한이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났던것 같습니다.

  • 12. ㅁㅁ
    '12.11.1 8:56 AM (123.213.xxx.83)

    직업이나 돈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뀐게 그때예요.
    그전까지는 돈 있는 사람들도 과시같은 건 천박하다 생각하고 자제하는 분위기였죠.
    지금처럼 드러내놓고 돈돈거리지 않았고요.
    직업돈도그전까진 공무원이나 초등교사는 고리타분하다 생각하고 잘 하려하지 않았어요.
    저 95 학번인데 저땐 선생님이 교대원서 쓰라했다고 우는 애들도 있었어요.
    대학생이 장래 희망이 9급 공무원 이라는 친구는 하나도 없었죠.

    그런데 imf이후로 완전히 바꼈어요.
    초등학교 선생님은 최고의 직업으로 부상했고 많은 대학생들은 공무원 시험준비를 하죠. 즉 돈을 많이벌진 못해도 안전하고 탄탄한 직업을 최고로 꼽게 되었죠. 창의력을 펼치고 도전하고 이런 직업은 불안하게 느껴지게 된거죠.
    부를 드러내놓고 과시하게 됐고 그걸 천박하다고 덜 느끼게 됐고요.
    부의 양극화가 시작된것도 그때예요.

  • 13. 저..
    '12.11.1 9:07 AM (218.234.xxx.92)

    정말 호기롭게 사표쓰고 프리랜서하다가 죽는 줄 알았어요. 나이 29세때라 이력서 넣어도 오라는 곳도 없고.. 한 20군데 이력서 넣고 월급 절반(한달에 70만원인가 주더군요. 98년도에 경력 7년차..) 받고 들어갔어요.

    그때 정말 무서웠던 게, 다니던 직장이 중림동이어서 서울역 광장을 통과해서 출근해야 했는데 엄청난 노숙자들..
    그리고 그 노숙자들이 우리가 아는 그런 노숙자(더럽고 나이든)가 아니라, 3대 가족이 할머니-부부-어린 자녀까지 그렇게 노숙하고 있었어요. 얼굴도 깨끗하고 옷차림도 깨끗한 젊은 아버지가 5살 어린 딸 우는 걸 달래는 걸 보면서 너무너무 우울했습니다. 엄마와 할머니는 그 옆에 슬픈 얼굴로 서 있고..서울역에 각자 자리가 있어서 은박지 자리 뒤에 캐리어, 캠핑백에 그득한 살림들...

    10년도 넘었는데 그 광경만 생각하면 너무 막막하네요..저도 그때 처음으로 마을버스비 아끼느라 세정거장 걸어가고, 라면 하나를 두개로 나눠 점심, 저녁 그렇게 먹었어요. 회사 그만두고 1년이 지나도록 뽑아주는 데가 없어서..

  • 14. 그때...
    '12.11.1 9:16 AM (121.175.xxx.17)

    imf전까지 제일 불행한 직장인이 만년 과장이었어요.
    아이들의 장래 희망은 대통령, 과학자, 교수 같은 거였구요.
    완전히 패러다임이 바뀌는 사건이었습니다.

  • 15. ..
    '12.11.1 9:24 AM (175.112.xxx.11)

    자영업하던 친정 쫄딱 망해서 다 신용불량자 되었지요.
    당행히 월급쟁이던 우리집은 죽은듯이 살았구요.
    그 와중에 부자된 사람들(현금 은행에 넣어놓은) 도 많았지요.
    다시겪고 싶지 않은데 앞으로 걱정입니다. 당장 내년부터.....

  • 16. ......
    '12.11.1 9:52 AM (113.30.xxx.10)

    미국에서 살던 교포가 달러폭등하니 재산 챙겨 한국와서 건물 사는건 봤어요. 그 건물이 또 몇년 지나니 3배정도 올랐구요.
    부자될 기회는 모두에게 공평하게 오지 않아요.
    망하는사람, 그기회에 부자되는 사람. 다 자기 운이고, 그 운을 알아채서 투자하면 성공하는거고...

  • 17. ...
    '12.11.1 1:45 PM (121.151.xxx.218)

    지방에서 서울로 대학원서 썻던 울남동생

    지금에서야 말이지만 당시 성적이 안정권이 아니었는데 떡하니 합격

    알고 보니 서울유학비용이 없어서 모두들 지방 국립대 지원하는 바람에 인서울 대학 커트라인이 내려갔다는 사실...

  • 18. 어이없는 분위기
    '12.11.1 4:53 PM (119.207.xxx.112)

    저 주택부금 착실히 넣어서 그 해 공공임대로 이사했는데
    2명이 아파트에서 떨어져서 한 명이 즉사했어요.
    죽은 분이 여자였는데 옷 만드는 하청업체를 경영하고 있었어요.
    ...
    전 임대로 이사하면서 전세비에서 남은 돈이 좀 있었는데
    대부분 학비로 많이 빌려줬고
    생계비로 빌려 준 경우도 있어요(죄다 못 받았네요ㅠㅠ)
    아파트 주민 중에 공장에 다니는 분들이 많았는데
    하루 아침에 사장이나 중간관리자가 욕설 사용을 자연스럽게 하더라고...
    나가도 된다 이거였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735 자율고설명회 다녀 온 소감... 2 에휴 2012/10/31 2,041
172734 김어준이 그랬잖아요. 이번 대선은 마음 비우는 사람이 이긴다고... 4 신기 2012/10/31 3,436
172733 디지털tv안테나 설치 어디에 문의해야 되나요? 2 ... 2012/10/31 2,083
172732 채영인..5살 연상 한의사 겸 피부과의사와 결혼. 11 양서씨부인 2012/10/31 9,102
172731 생일잔치 궁금해서요.(펑) 2 .. 2012/10/31 653
172730 속 터집니다. 빌려준돈 어째야 하나요 39 하두답답해서.. 2012/10/31 13,129
172729 최민희 "정수장학회·민속촌 등 박근혜 고액후원".. 4 샬랄라 2012/10/31 879
172728 수산물 방사능 괜찮을까요? 2 mabatt.. 2012/10/31 1,822
172727 100%현미밥 할때요 14 .... 2012/10/31 3,948
172726 패키지여행 잘 고르는 팁 있을까요?(초딩아이랑 엄마 둘이서 여행.. 8 패키지여행 2012/10/31 2,105
172725 출판 분야가 감정 노동의 비중이 큰편인가요? 6 musica.. 2012/10/31 1,188
172724 “여론조사도 상관없다” 활짝 연 문재인 11 행복해라 2012/10/31 1,976
172723 AXA 다이렉트 자동차 보험 어떤가요? 7 자동차 보험.. 2012/10/31 2,529
172722 A.PGD 라고 성별선택임신 성공하신 분 계신가요? 1 .... 2012/10/31 4,668
172721 신의 한수에 공수모든것을 잃어버린 박근혜. 5 .. 2012/10/31 1,478
172720 문화상품권으로 할 수 있는 일? 1 몰라 2012/10/31 948
172719 역아!제왕절개해보신분 아픈가요? 14 역아 2012/10/31 3,522
172718 자판기 사업 어떨까요.. 6 rlwjr 2012/10/31 2,004
172717 할로윈 놀이 하는 동네 많나요? 28 할로윈 2012/10/31 3,335
172716 152억 포기하고 투표시간 연장 택한 문재인 6 .. 2012/10/31 2,370
172715 와!!! 정말 저런 ㅂㅅㅈㄹ을 해대는데도 4 .. 2012/10/31 1,903
172714 멀쩡한 냄비셋트 두고 또 사고싶은 마음 4 In 2012/10/31 1,763
172713 차인표 나오는 보일러광고 2 눈이 너~~.. 2012/10/31 1,787
172712 요즘 부산대학교 많이 치이네요.. 6 윽.. 2012/10/31 3,533
172711 삶은밤이 많아서 껍질까놓았는데 뭘 만들면 좋을까요 6 2012/10/31 1,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