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 나라에서 공부 못하는 애들은 대체 뭘 해야 할까요?

.. 조회수 : 3,850
작성일 : 2012-10-25 16:44:25

돈 좀 많으면 예능 시키더라구요.

예능이란게 재능이 없어도 학원에 시간 돈 바치니 되더군요.

나중에 사회 나가선 벽에 막힐지 몰라도.

자라는 과정에선 해피하게 대우 받으면서 자라는거 봐요.

 

예능 가르칠 돈도 없고 공부도 못하는 자식들은 뭘 해야 할까요?

죽어라 과외 시키고 학원 보내고 해도 성적은 늘 끄트머리 언저리.

 

각 학교마다 있는 이런 애들은 사는게 사는거 같지 않을테고,

그 가정들도 들여다 보면 애 공부 때문에 엉망이예요.

 

아래에도 꼴찌한다고 청학동 보낸다는 엄마도 계시고,

 

이런 아이들 진로를 어떻게 했고, 어떤 길을 가고 있고,

성공한 사례가 있는지 답글을 보고 싶습니다.

 

 

IP : 115.41.xxx.17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25 4:47 PM (72.213.xxx.130)

    88만원 세대;;;;;;

  • 2. 어우
    '12.10.25 4:49 PM (58.236.xxx.74)

    너무너무 공부가 아니면,
    차라리 요리장인이나 구두만드는 장인에게 보내서
    어릴 때부터 기술 연마시키는 게 낫겠어요.
    요즘은 그런 거 하는 분들도 없어서 탁상공론이지만요.

  • 3. 원글
    '12.10.25 4:51 PM (115.41.xxx.171)

    끄트머리에 있는 애들은 공부가 아닌거지요.
    공부 외의 길도 많고 그 길에서 성공하는 사람도 많을텐데,
    잘 몰라서 공부 공부만 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까운 맘에 82님들의 혜안을 듣고 싶어서요.

  • 4. ㅇㅇ
    '12.10.25 4:51 PM (211.237.xxx.204)

    고등학교 동창들 중에 보면 공부 못했던 친구들이 저보다 훨씬 잘 살더군요.
    사업도 하고 공부는 별로였는데 아이들 좋아했던 친구는 지금 수도권 어떤 시에서 가장 큰 유치원
    운영하고 있고~

  • 5. 원글
    '12.10.25 4:52 PM (115.41.xxx.171)

    기술학교? 요즘 무슨 이름이 있던데?
    그런데 보내는건 어떤가요?

  • 6. 인구적은 나라로 이민
    '12.10.25 4:55 PM (49.176.xxx.188)

    뜬금없지만 그거 말고 별 수 없어보여요.

    10급 기능직 공무원 하면 그나마 좀
    덜 불행하게 살지도.

    억지로 예체능 시켜봐야 대학까지로 끝입니다.
    이나라에서 예체능해서 제대로 벌어먹고 사는 사람들
    10%나 될까요?

  • 7. ..
    '12.10.25 5:00 PM (115.41.xxx.171)

    예체능 애들 그렇게 투자하고, 또 결혼을 잘 해서 잘 살더군요.
    여자들은 결혼해서, 필요하면 집에서 레슨하기도 하고.

  • 8. sfhk
    '12.10.25 5:09 PM (110.70.xxx.142)

    공부 잘해도 별볼일 없어요 그냥 즐기며 살아야죠

  • 9. 기술 마이스터고
    '12.10.25 5:11 PM (211.208.xxx.97)

    마이스터 고등학교도 커드라인 높아요.
    저도 알아봤는데
    내신 10% 대가 안정권이고 20% 넘으면 불안해요.
    우리아이 학교에서는 30% 넘으면 원서 써주시도 않았대요. ㅠ.ㅠ

  • 10. ...
    '12.10.25 5:13 PM (211.247.xxx.94)

    그런 아이들 한테 공부말고 뭐가 하고 싶은지 물어본적 있어요.
    그런데 하고싶은게 없는게 문제더군요.. 매사에 의욕도 욕구도 없어요..

  • 11. 비밀
    '12.10.25 6:06 PM (203.231.xxx.70)

    기술학교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데가 많아서 자칫하면 엇나가기가 쉽구요.. 제빵이나 요리, 미용 같은 기술을 일찍부터 가르쳐보는 건 어떨지요? 요리나 제빵같은거 소질있거나 재밌어 하면 나중에 대학들어갈 때 국내대학 가지말고 호주나 이런데로 유학가도 좋구요. 제 친구가 실제 그런 케이스로 호주나가서 시민권 얻어 잘 살거든요.

  • 12. 비밀
    '12.10.25 6:07 PM (203.231.xxx.70)

    그리고,, 하고싶은게 없는게 아니라 자기가 뭘 할 줄 알고 뭘 좋아하는지를 몰라서 그럴거에요...

  • 13. ㅁㅈㄷ
    '12.10.25 7:14 PM (180.182.xxx.11)

    앞으로 먹고살기..
    이런 주제에 맞춰서 끄집어내면요.
    공부못하는것과 잘하는것으로 끄집어낼것들이 아니라고 봅니다.
    그 아이가 잘하는게 무엇이냐.그걸 부모가 어떻게 지도하느냐의 문제죠.
    공부를 잘하는 아이..그 아이는 미래가 탄탄대로냐..아니죠.
    실제 우리는 항상 성공한 사람만 롤모델로 선정해서 보려고 하지만.
    그애가 공부를 잘했다.근데 대학을 들어갔다..전공이 안맞다..이 수가 생각보다 많아요.
    대학에 들어가보니 내가 생각했던 공부도 아니고.내가 생각했던 미래도 아니였다 하는 애들의 수.
    전공공부 못따라가는 애들도 부지기수죠.
    우린 이런 현실을 많이 외면하거든요.
    그럼 이때부터는 수능을 준비하는 것과는 또 다른 문제에 봉착.
    다행이 이 시점에서도 미래에 대한 비젼을 제대로 준비하면 밥먹고 살수 있지만 안그러면
    공부잘했다.대학잘갔다 하는건 무의미해요.


    그럼 공부를 못한 아이들은 어떠냐.
    실업계든 어디든..요즘 일찍 요리 미용 배우는 애들수도 참 많아요.
    그런애들은 경쟁 없나요?
    거기서 살아남은 애들은 정말 그쪽일에 소질이 있는 애들이고.여기서도 치열하더군요.
    예능도 마찬가지구요.
    돈만으로 어떻게 저떻게 대학 밀어넣는경우..요즘도 많아요.
    근데 그 이후.성공하느냐 안하느냐의 문제는 또 다른 문제죠.

    아이 키우면서 그나마 다해인건 공부를 잘하고 못하고보다는
    아이가 어느쪽으로 재능이 있는지 발견하는게 행운인겁니다.
    많은 아이들은 어느걸 잘하는지 학생도 부모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사실 어느 부분에서 특출나다는것..그 특출난 재능이 있다는것도 행운이고.이걸 잘 갈고 닦아서 자기 길 가는것도 능력인거죠.
    그런사람은 공부잘하고 못하고의여부와는 별개로 성공한다고 봐요.

    앞으로 잘된다.밥벌어 먹고 산다는 공부잘하고의 여부는 아니지 싶더라구요.

  • 14. //
    '12.10.26 1:18 AM (121.163.xxx.20)

    절절하게 공감되서 눈물이 날 지경이네요. 부모교육도 받았는데...마음이 비워지지 않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971 행복이 찾아온거라면 좋겠어요... 저질체력극복기 3 다른세상 2012/11/04 2,248
173970 집살림살이 장기보관 어떻게 해야할까요? 3 .. 2012/11/04 1,608
173969 내과냐 이비인후과냐...고민중입니다. 10 콩콩이큰언니.. 2012/11/04 1,402
173968 한겨레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여유있게 앞서네요 13 ㅇㅇ 2012/11/04 2,180
173967 아까 물어보신 분, 제가 미군부대 군무원입니다. 답해드리죠. 4 미군부대 군.. 2012/11/04 59,242
173966 데이브레이크 음악 너무 좋네요! 7 신의한수2 2012/11/04 1,336
173965 유치원 딸아이 절친 엄마를 만났는데~ 28 유치원 2012/11/04 6,677
173964 외국인들이 전형적인 동양인 이쁘다고하는거 7 근데 2012/11/04 8,361
173963 그녀의 지지자를 실제로 만나다. 15 여울 2012/11/04 1,865
173962 위*스크 질문이요...? 6 파라오부인 2012/11/04 1,349
173961 안경 쓰시는 님들..보통 얼마나 잡으시나요? 6 coxo 2012/11/04 1,761
173960 외국인 눈과 우리나라 눈은 완벽히 같지 않습니다.. 9 루나틱 2012/11/04 2,807
173959 코스트코 핫팩이 안 따뜻해요 7 콩콩 2012/11/04 3,227
173958 얼마전 보톡스 맞으러 갔다 못맞고 왔거든요. 제가 2012/11/04 1,388
173957 백화점에 갔는데 완전 잘생긴 외국인 남자가 60 쇼크먹었네 2012/11/04 26,854
173956 귀가 윙윙 거리거나 먹먹한 증세가 이틀째 계속 되면 반드시 치료.. 1 청력손실 2012/11/04 2,477
173955 흥미진진해진 손연재선수 소속사와 체조협회의 제4라운드.. 6 흠... 2012/11/04 3,186
173954 김치냉장고에,,,과일을 넣으려면,온도를 어디에 맞춰야하나요? 김치냉장고 2012/11/04 1,586
173953 친노 지긋지긋해요 76 에혀 2012/11/04 4,045
173952 기존전세 계약 1년 연장시 계약만료후 복비는 누가내나요?? 2 1년 연장 2012/11/04 2,492
173951 남편놈 왈 안중근이 일본입장에서 테러리스트라고.. 28 속풀이 2012/11/04 2,682
173950 이정현, 황상민교수 ‘女 생식기 발언’ 文-安이 책임지고 사과해.. 4 호박덩쿨 2012/11/04 1,979
173949 유니클로 말고 우리나라 브랜드중에... 2 말고 2012/11/04 1,891
173948 이젠 안철수가 말한 계파가 친노가 아니라는 말도 있네요 ㅎㄷㄷ 1 루나틱 2012/11/04 1,269
173947 주요 뉴스에서 치어리더까지 봐야합니까 1 mango 2012/11/04 1,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