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대 나오신 분들....공대>MBA>IB....문의

월 수입 천 보고 조회수 : 3,764
작성일 : 2012-09-28 09:31:45

MBA는 알겠는데...IB는 무엇인가요?

HR  아니고 assiant..라고.하셨는데..제가.잘모르겠어서요.

그리고 그정도 까지 되려면 대학 졸업후 몇년 걸리고

어디서 MBA나 경력을 쌓으면 좋나요?

구체적인 내용좀

 

우리집의  아이 영어는 거의 네이티브 수준이고 지금 스페인어도 회화는 합니다.

공대 가고 싶어하구요.

구체적인 전공도 조언해주세요

IP : 115.90.xxx.15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이를 보면서 그저 돈돈
    '12.9.28 9:54 AM (114.202.xxx.56)

    돈돈돈돈돈

  • 2. bb
    '12.9.28 10:03 AM (203.247.xxx.126)

    에궁..공대 졸업한다고 기름밥 먹는다니요. 공대에 과가 얼마나 많은데요, 건축 토목계열, 기계계열, 전자계열,화학 생물계열 크게 이정도 있어요. 세부 전공에 따라 일은 확실히 나눠지고...
    아무래도 일반 공대 졸업해서는 대기업 가는게 젤 잘 가는거 같구요. 석사정도 마치면 국책 연구기관, 대기업 연구원들로 많이 가죠. 박사과정 마치면 이제 자기 전문분야에 따라 또 학교에 남느냐 연구원으로 가느냐 정해지는거구요. 대부분의 졸업생들이 이 루트이기 때문에 연봉차이는 거기서 거기입니다.
    그래서 이제 몸값을 업그레이드 하기 위에 하는 일들이, 박사과정, MBA, 기술사 등등이죠...
    경영쪽은 대부분 문과 출신들이 하기때문에 공대졸업 후 MBA가 메리트 있는 것입니다.
    Kaist에는 아예 테크노 MBA라고 공대 졸업 후 과정이 따로 있을 정도에요.
    일반 기업체에서는 경영출신 MBA는 상대적으로 많고, 공대출신 MBA가 상대적으로 너무 적기때문에 아직까지는 희소가치가 있는 것이지, 이것도 많아진다면 그리 좋은 전망은 아니겠죠..

  • 3. 공대 졸업생
    '12.9.28 12:14 PM (164.107.xxx.103)

    아이가 공대가고싶어해서 길을 알려주는 것과 월천 버는 것과 무슨상관인가요?
    공대만도 수가지 과가 있고 한과에서도 다른 직장을 가지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진정 자식의 직장/미래를 생각하는 질문은 아니지 않아요? 함부로 말하지마셈이라고 말하는 원글님.. 본인의 질문을 다시 읽어보세요.
    MBA는 학부졸업하고 가는 곳입니다. 공대든 문과대든 상관없이 MBA는 갈 수 있는 곳이고 IB는 MBA를 나왔던 안나왔던 갈 수 있는 곳이요.
    연봉도 그래요 공대 졸업생중에 연봉 억받는 직장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하기 나름입니다. 게다가 같은과 졸업 같은 직업도 한국과 외국의 연봉이 천차만별이죠.
    참고로 님 아이가 컷을때는 어떤 공대의 어느과가 잘 나가고 있을지도 분명하지 않을 것같네요. 일이년사이에도 많은 변화가 있으니까요. 연봉을 알려주실게 아니라 얼마나 다양한 직업이 있고 내 아이가 무엇을 잘 할 수있는지 상의해주는게 부모의 의무아닐까요?

  • 4. 아야어여오요
    '12.9.28 12:43 PM (203.236.xxx.235)

    저 공대 나와서 석사하고 박사는 경영학에서 했어요.
    공대도 분야가 많고 분야별로 의대와 공대 차이만큼의 진로 차이가 있어요.
    어떤 분야로 가든지 교수를 최고로 칩니다(안정성, 명예).
    산공분야는 애널리스트나 경영연구소, 기업연구소 쪽이 많고, 전자공분야는 엔지니어링이 확실히 많죠.
    건축공은 전반적으로 힘든 상황이고 화공, 재료공쪽은 잘 모르겠네요.
    MBA는 배우는곳이고, IB는 직장이라 동일 비교대상은 아닌데 어찌되었거나 공대 출신에게 MBA는 모두 경제학, 경영학적 실전 지식을 배우는 곳이고, IB는 MBA하고 나와서 가는 곳일 것 같네요. 공대 졸업헤서 IB로 가는 경우는 산공빼고는 거의 없을겁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공대 가려면 우선 분야에 대한 길을 고려해서 고민하셔야한다는 것.
    이공대 기피 현상이 있지만 의사, 법조인 등 전문직이 아니면 이후 커리어는 다 자기할 나름이라는 것.
    공대 이후 엔지니어링이 적성에 맞는지 기술적 지식을 기반으로 경영전략, 분석을 하는게 더 적성에 맞는지는 공대 공부를 하면서, 또는 첫 직장을 다니면서 스스로 깨닫는게 최선이라는 것.

  • 5. 아야어여오요
    '12.9.28 12:46 PM (203.236.xxx.235)

    너무 미리 많은 것을 짜주려고 하지말고 생각하고 경험하고 선택할 여유를 주세요.
    아이에게는 >식의 비교보다는 MBA란 무엇이고, IB란 무엇이고, 공대에는 무슨 과가 있고 등등 그런 단순한 정보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819 요새 점심값 장난 아니네요.. 11 ㄴㄴㅇ 2012/10/04 3,511
159818 그네는 좀 약하지 않나요~? 저번대선처럼. 차니맘 2012/10/04 531
159817 오늘 1시반에 세종문화회관 가면 문재인 후보 볼 수 있을거 같아.. 1 녹차라떼마키.. 2012/10/04 886
159816 형님, 아주버님 보세요. 19 콩가루집안 2012/10/04 4,960
159815 혹시 장터에 이불 파시는 까만봄님 전화번호 아시는분 계신지요? 1 이불 2012/10/04 878
159814 광수 너무너무 안어울리지 않나요? 5 착한남자 2012/10/04 2,110
159813 건강보험료가 너무 많이 나온것 같아요 9 emily2.. 2012/10/04 1,924
159812 10월 4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2/10/04 507
159811 서울 백화점내에 어린이 놀이방(?) 무료로 운영하는곳 많나요??.. 2 .. 2012/10/04 1,167
159810 오늘 싸이 공연 가시는 분!! 5 모이자 2012/10/04 1,874
159809 부직포 수납함 좋은가요? 4 정리는 힘들.. 2012/10/04 1,308
159808 강아지 카르마 먹이는 분들 낱개포장 되어있나요 4 사료 2012/10/04 750
159807 헤드가 철제 프레임으로 된 침대, 써보신 분? 2 가구 2012/10/04 1,242
159806 사랑아 사랑아 갑자기 결혼분위기네요 12 2012/10/04 2,567
159805 73만7천점 5 애니팡 2012/10/04 1,311
159804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12 ... 2012/10/04 2,517
159803 안철수 어머님 태몽은? 태몽 2012/10/04 1,569
159802 착한 남자에서요 은석이는 누구 아들이에요? 1 ??? 2012/10/04 3,080
159801 준희 생일이에요.. 축하해주세요 4 포비 2012/10/04 1,757
159800 혹시 이 만화 보신 분이나 제목아시는 분 계시나요? 9 만화 2012/10/04 1,199
159799 우리집 운동화 편하게 세탁하는법 5 세탁기사용 2012/10/04 3,892
159798 저희 아이 9살에 사기를 당한걸까요?. 3 yaya12.. 2012/10/04 2,837
159797 방콕 사랑에 빠질 수 있을까? 4 first .. 2012/10/04 1,627
159796 남편! 왜 이러는 걸까요? 9 가을 2012/10/04 2,255
159795 사위, 딸, 손자가 명절내내 있다면..... 15 딸 많은 집.. 2012/10/04 3,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