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33개월 아이, 어린이집에 보내야 하나요?

우리야 조회수 : 1,733
작성일 : 2012-08-08 10:49:24

4세아이고, 33개월 여자아이입니다.

 

만 24개월까진 제가 휴직하고 키웠고, 그 이후에는 시터 아주머니 도움을 받고 키우고 있습니다. 벌써 9개월째네요.

 

요즘 고민이 참 많은데.. 아이가 많이 크고 나니 친구들을 좋아하고, 밖에서 뛰어노는걸 좋아하네요.

 

지금은 아침 8시부터 저녁7시까지 아주머님 댁에 맡기구요.. 아주머님이 애 데리고 마트나 본인 모임에 데리고 다니시구요. (여기에 불만은 없어요. 저도 휴직중에 애 데리고 마트 많이 놀러다녔으니깐.. 11시간동안 집에만 있는것도 못할짓이구요)

 

직장 어린이집에 원서를 넣어놨으나 자리가 안나서 대기상태인데..

 

남편이 이젠 안되겠다고 집근처 어린이집이라도 보내자고 난리네요.

 

애가 클만큼 컸는데 친구들하고도 못놀고 아주머님 댁에서 낮동안 얼마나 심심하겠느냐..

 

그리고 어린이집을 다니는 4세 아이들에 비해서 뒤쳐지는거 아니냐..

(사실 제가 아이한테 한글 등의 교육을 전혀 안시켜요..심지어 숫자도 몰라요 ㅎㅎㅎ 그냥 신나게 놀아주고 주말에 공원가서 놀고 키즈카페 가서 놀고 이러거든요. 그래도 잘 크고있다고 생각하는데,,,;;;; )

(아마도 지난주 시댁모임이 있었는데 36개월짜리 시조카가 구구단을 2단부터 7단까지 외우는 모습을 보고 충격받은듯.. ㅋㅋㅋ)

 

제 입장에선 4살짜리 애가 뒤쳐져봤자 얼마나 뒤쳐지겠느냐,

 

지금 애가 말을 못하는것도 아니고 친구들 보면 숨는것도 아니고, 말도 잘하고 친구들 좋아하고 다 잘하고 있는데 뭐가 그리 걱정이냐,

 

아주머님 댁에서 심심한건 어쩔수 없는거다. 개인보육의 한계이다.. 내가 집에서 데리고 있었더래도 마찬가지였을거다. 

 

지금 보내는것보단 조금 기다렸다가 내년 3월에 5세반으로 보내자.. 라는 입장이구요.

(내년에 5세반에는 어린이집 자리가 난다고 확답해 주셨거든요.)

 

사실은 작년에 복직전에 집근처 어린이집을 잠깐 보냈었는데.. 보내는 2달 내내 고열을 동반한 감기에 시달렸거든요.

 

어린이집 보내면 당연히 아픈거라지만.. 전 그렇게 아픈거 다시는 보고싶지 않아요. 그리고 6개월이라도 더 기다렸다가 어린이집을 보내면 지금 보내는것보단 좀 덜아프지 않을까.. 싶구요.

 

아무튼 어제 이문제로 남편과 언쟁이 있었는데.. (좀 심하게요. ㅋ)

 

어떻게 하는게 아이한테 좋을지... 고민이네요.

 

남편은 당장 9월부터 보냈으면 하는데.. 전 좀 기다리고 싶네요..

 

그리고 4살 아이한테 이렇게 교육을 안시키고 소홀히 해도 괜찮을까 싶구요. (전 괜찮은거 같은데.. ㅎㅎㅎ)

 

아기 엄마인 주부님들.. 많은 고견 부탁드릴게요... ㅠㅠ

 

 

IP : 211.253.xxx.10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8.8 10:54 AM (121.100.xxx.136)

    4살한테 한글이며 숫자며,,정말 그렇게 가르쳐야 하나요? 저는 님이 생각하신대로 밀고나가셨음해요. 어린이집 내년 봄에 가는게 좋죠. 지금 당장 집근처 어린이집 보내면,,거기 적응시켜놨다가 다시 옮기는것도 일이구요, 한두달간 또 병 앓아야하죠. 힘든사람은 아이도 아이지만,,님이 젤 힘들거에요.

  • 2. 카드생활
    '12.8.8 10:57 AM (211.222.xxx.16)

    어린이집에서 구구단 외우는거 부러워하지마세요.대신 여러가지 경험을 시켜주고 책읽어주고 같이놀아주고

    그런것이 훨씬더 보탬이되는거같아요.5살정도되서 보내도 괜찮아요..또래집단에서 노는것도 매우중요하니깐

    요..

  • 3. 바다사랑
    '12.8.8 11:15 AM (115.136.xxx.230)

    아이고 엄마생각이 맞아요
    우리둘째아이 언니랑 놀다가 언니가 유치원가니 심심해하길래
    어린이집에 보냈더니 자꾸체하고 위장병얻더군요
    몸도 약한애를 마음몸살시킨거 지금 엄청후회해요
    지금 대학생인데 그때 내가 데리고 놀아줄걸 (전업주부)
    할수있음 내년에 보내도 안늦습니다..
    우리큰애는 6살에 피아노 보내고 7살에 유치원에 보냈어요
    그래도 적응잘하고 미국유학가서 장학생해요
    어렸을땐 안정이 최고에요
    마음이 불안해하고 움츠러드는거 그 트라우마가 평생간대요
    생식원 원장님께서 그러시더군요
    지금 몸약한거 그때 맘고생해서 그렇다고..
    시터아주머니 인성이 괜찮다면 몇개월더 맡기세요..
    내년에 보내도 안늦어요
    아무의미도 모르고 구구단외는거 나중에 아무짝에도 쓸모없던데요
    오히려 동화테이프같은거 많이들려주세요
    영어테이프도
    우리큰애는 동화테이프들으며 한글깨치던데요
    책보고 테이프들으며 글자를 터득하던데
    영어도 그때 많이 들려줘서 그런지 귀가 발달해서
    학원별로 안보냈는데도 영어잘하고 좋아해요
    저녁에 오면 온몸맛사지로 풀어주고 맘도 풀어주는게 최고입니다..
    나중에 죽어라고 할건데 지금부터 애잡지마세요..

  • 4. """"
    '12.8.8 11:19 AM (221.152.xxx.193)

    원글님생각에 백번 공감해요
    4살짜리가 뒷쳐지면 얼마나 뒷쳐지겠어요

  • 5. 일단
    '12.8.8 12:08 PM (116.37.xxx.135)

    학습은 지금 뭐 거론할 가치도 없으니 패쓰

    일단 지금 당장 보내도 이상할 게 없는 월령이긴 하구요
    아이도 심심하고, 돈받고 일하는 시터아주머니든 엄마든 누구라도 한계가 있긴 하구요
    어린이집 환경, 선생님 등을 보고 생각해 보세요
    근데 동네 어린이집이라도 바로 자리가 안나는 경우가 많을텐데요..

    직장어린이집을 기다리실거면 그 때까지 일주일에 두어번 정도 가까운 문화센터 다니게 하시면
    아이도 지루하지 않고 괜찮을 거 같은데요
    저희 동네도 문화센터 가면 반 정도는 아이 봐주는 분들이 데리고 오더라구요

  • 6. 어린이집
    '12.8.8 1:27 PM (147.43.xxx.125)

    저희 아가도 34개월인데 어린이집이 애기들한테 힘든 구석도 있지만
    친구들 만나는 기쁨도 있더라구요...
    가끔 장염이나 감기 걸려오는거 빼곤 어린이집에 집착하는 모습도 보여요...
    벌써 여자친구도 만들어 오고 친구들 누가 뭘 입고 다니고 어떤 구두를 신었고..
    자기도 캐릭터 옷이나 양말 신발사면 자랑한다고 바쁘고...
    저랑 있음 심심해 죽을려고 해서 어린이집에 보냈는데 또래들이랑 노는게 엄청 즐거운거 같더라구요...
    시터 아줌마가 엄마만큼 애정을 가지고 봐주더라도 애기들은 엄마 아닌 이상에 별로 흥미를 못느끼더라구요..
    어린이집에서 배워오는건 둘째치고 친구들이랑 놀게 하는거 자체도 애들한텐 하나의 즐거움인듯 해요

  • 7. ...
    '12.8.8 5:17 PM (110.11.xxx.89)

    학습이야 뭐 네살이면 당연 걱정 안하셔도 되구요. 네살떄 구구단을 외운다고 사실 그걸 다 알고 외우는것도 아니고, 그런 아이들이 나중에 꼭 공부를 잘하는것도 아닙니다.

    저 같으면 내년에 5세반에 자리가 난다고 했으면 그냥 몇달 더 데리고 있어도 될것 같아요. 지금 어린이집 보내면, 좀 적응할만하면 또 옮기면 아이가 오히려 더 혼란 스러워 할것 같습니다. 지금 시터 아주머니에게 큰 불만이 없으시다면 그냥 몇달 더 데리고 있다가 내년에 5세반으로 보내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33개월이면 사실 집에만 있으면 좀 심심해 하긴 하는데, 시터 분께 부탁 드려서 일주일에 두번 정도 문화센터나 홈스쿨 같은것 하게 하면 아이도 좋아하고 시간도 잘 가고 할것 같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7771 농심 너구리 100박스 줬는데 유통기한 아세요? 19 나무 2012/08/10 4,471
137770 30후반 가스불 켜놓고 나온적 있나요? 8 2012/08/10 4,464
137769 안방 베란다 빨래 건조대가 녹슬었는데 해결책 없을까요? 4 빨래 2012/08/10 1,493
137768 세상에...엄마가 애들을 셋이나 죽였네요..ㅠ.ㅠ 29 ㅠ.ㅠ 2012/08/10 17,384
137767 신장암 잘 보시는 의사 선생님. 병원 추천 부탁드립니다. 넘치는식욕 2012/08/10 1,476
137766 환경부 문건 "4대강사업 때문에 남조류 발생할 것&qu.. 2 샬랄라 2012/08/10 884
137765 저도 옥수수 질문드려요~ 1 해피해피 2012/08/10 658
137764 두피관리 참 쉽게 하는법 모리아 차차임 2012/08/10 903
137763 인터넷으로 등기부등본 열람시 누가 열람했는지 나오나요? 5 인터넷등기소.. 2012/08/10 8,762
137762 강릉으로정했어요휴가 5 드디어 2012/08/10 1,322
137761 매실담근거 언제부터 먹을수 있나요?? 3 .. 2012/08/10 1,550
137760 크린토피아! 사과하고,피해보상할때까지! 3 marija.. 2012/08/10 3,653
137759 응답하라 1997 도쿄대첩 ㅋㅋ 디테일 깨알같네요 6 97학번 2012/08/10 3,249
137758 주방에서 쓰는 도마요.. 얇은거 쓸만 한가요... 5 동동 2012/08/10 1,594
137757 대명콘도이용해 보신분 7 --- 2012/08/10 1,739
137756 이명박이 한 "기다려 달라"는 말 의미가 오늘.. 5 부산사람 2012/08/10 1,346
137755 수돗물 때문에 정말 걱정이네요. 9 께께맘 2012/08/10 4,294
137754 그네앞의 찰스 나일등 2012/08/10 563
137753 녹조 때문에 생수 사먹을 수는 없고, 괜찮을까요? 1 브리타 2012/08/10 1,796
137752 전기요금 선방했네요 5 9월분 2012/08/10 2,797
137751 저 오늘 기분이 넘 좋아요 느림보 2012/08/10 840
137750 알바 목격담 3 댓글 알바요.. 2012/08/10 1,776
137749 전업인데 베이비시터 쓰시는 분들 있으세요? 13 2012/08/10 3,136
137748 때미는거 얼마씩 하나요? 6 dd1 2012/08/10 1,678
137747 이멍박이는 독도에 가는 걸 왜 일본에 사전보고 했을까요? 8 교도통신보도.. 2012/08/10 1,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