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4학년 여자아이 독서 좋아하게 만들 방법 없을까요?

ㅇㄹㄹㄹ 조회수 : 1,465
작성일 : 2012-05-04 13:23:35
남편 일때문에 2학년때 미국가서 일년 반 거주하고 돌아와서 4학년입니다.
어릴때 싱크빅이니 이런거 조금 시켜보긴 했지만, 한글 떼는것도 좀 느린 편이었던 거 같구요.
둘째랑 비교하면 확실히 말주변이 좀 없고,, 수학 과학을 좋아해요..
같은 부모인데 어쩜 그렇게 다른지 1학년 둘째는 언변력이 놀랄 정도로 좋구요..첫째는 오히려 동생보다도...

제가 독서를 좋아해서 평소에도 책을 많이 읽는 편인데, 엄마가 책을 좋아하면 아이도 따라온다더니 이건 원....
제가 읽으라고 하니 읽지, 독서를 좋아하지는 않았어요.어릴때부터..
그래서, 아이의 취향을 찾아줄려고 문학, 과학, 고전 등등을 시도해 봤지만 읽기는 읽으나 역시나 독서를 즐기지는 않는것 같았어요. 재미없답니다..밖에서 놀고 친구들이랑 놀러다니는게 훨씬 좋답니다.저녁에 집에 오면 만들기 하고 그림그리기에 열중..미술을 너무 좋아해요...(저두 충분히 이해하고 그 나이에 당연한데, 이제 고학년인데 공부나 독서에 신경을 써야 할 시기이기에) 그래서 미술관련 책을 추천했더니 이론말고 그리는게 재밌다며..

귀국해서 걱정했던 수학과 과학은 그럭저럭 잘 따라가고 재밌어 하는데,,,
국어와 사회를 어려워해요..(이 과목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평소에 독서와 지식의 토대가 필요한거 같아요)
본인도 책읽는걸 좋아하고 싶은데 재미가 없다고...
아직 모르는 단어가 많아(고학년이 되니 단어가 어려워져서), 문제를 이해못해서 풀지못하는 경우도 있고,

먼저 책을 좋아하고 즐기는 자세가 필요한데,,어떻게 해줘야 할지...
제 친구는 구몬국어랑 한자를 꾸준히 시켜보면 단문 읽는것부터 재미를 들인다고 하는데,,
전 구몬 수학을 본적 있는데 단순 계산에 좀 그렇더라구요..

조언부탁드립니다.



IP : 125.178.xxx.16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샬랄라
    '12.5.4 1:29 PM (116.124.xxx.189)

    혹시 좀 어려운 책을 봐서 그런 것은 아닌가요?

    그리고 독서를 좀 한 날은 여러가지로 다르게 대우해 보세요.

    한 번 재미가 들면 그 다음에는 못 빠져 나오는 것이 독서인데
    재미 붙이기가 쉽지 않으니까 그게 문제인 분들도 종종 계시더군요.


    다 해보시고 안되면 이방법도 해보세요.
    독서에 관한 책이 수 십권 나와있습니다. 그중에 괜찮다 싶은 것 여럿 보시고 이예기 저예기 해주세요.

  • 2. ...
    '12.5.4 1:32 PM (211.40.xxx.139)

    큰애는 자는 시간만 빼고, 항상 책을 읽는 책벌레였어요. 근데 둘째는 그 책을 단 한권도 안읽는 책싫어주의자예요 ㅎㅎ
    별의별 방법을 동원했는데 크게 나아지지 않네요. 그나마 자기가 좋아하는 장르가 있어서 그런 류는 봐요. 이런 스타일의 아이들이 소설,픽션을 안좋아하는 대신 생활속에 있는 얘기를 좋아하더라구요. 그래서 그런거라도 읽혀요 -.-

  • 3. 저는요..
    '12.5.4 1:56 PM (112.172.xxx.232)

    1. 어렸을 때 원래 엄마들이 잘 못읽게 하는 책들 있잖아요..
    보물섬 같은 만화책이라던지, 말괄량이 씨리즈, 이런 하이틴 책이라던지..
    이런거를 엄마가 그냥 막막 사주셨었어요. 재밌는 책들.
    물론 좋은 책도 많이 사주셨지만, 독서가 "재밌는거"라는걸 깨닫는 과정중에는
    저런 종류의 재밌는 책들이 참 도움이 되더라구요.
    참고로 어머니가 세계문학전집, 한국문학전집 이런거 집에 사두셔서
    초등학교 4-5학년부터는 제인에어, 테스 이런책들도 읽기 시작했어요.

    2.
    제가 무재주였거든요.
    워낙 빼어난 언니와 동생 사이에서 재주없는게 가여우셨는지
    엄마가 책 읽으면 저한테 직접 칭찬하지는 않는데,
    주위분들에게 맨날 자랑을 하셨어요 (저 듣는데서)
    우리 둘째는 책벌레라고, 집에 안 읽은 책이 없고 그래서 생각도 깊다고.

    뭐 하나라도 칭찬받는게 좋아서
    (게다가 진짜 재밌는 일인데)
    열심히 하다보니까 별별 책을 다 읽게되던걸요.

    3.
    나이 들어서는 인문과학서적과 사회과학서적들에 빠져들게 되었지만
    지금도 제 독서의 모든 시작은 어린시절 잼나게 읽었던 불량 하이틴 소설들 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실은 그 책들 (애니드 블라이든 혹은 로얼드 달,혹은 로리스 로우리)이 아주 불량은 아니었어요.
    요새는 잘 알려져 있죠.
    그 당시에는 별로 권장하는 책들은 아니었거든요.

    4.
    중언부언하였으나 결론은 "재밌는 책 많이 사주세요~" 입니다.
    너무 단정한 책만 고집하지 마시구요.
    어머님이 책 좋아하시면 사실, 조금 고급스러운 책들을 더 골라서 사주고 싶어하실 수도 있는데
    요새 애들 좋아하는 윔피 키드 이런책들이 책 세상을 열어주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 4. 그림책
    '12.5.4 3:37 PM (121.147.xxx.188)

    미술을 좋아한다니 그림책 부터 시작하세요. 학년에 따라 책을 추천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아이 수준에 따라 읽는 거죠.
    그림책 좋은 책 많아요.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 놓아서 미술교육에도 좋구요.
    그림책 읽고 따라 그려보기 추천합니다.
    전 40대 초반. 아직도 그림이 좋은 그림책은 꼭 사서 소장한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6356 <필독>방사능식품시민측정소 개설- 일본시민측정소오픈 녹색 2012/05/09 898
106355 나라꼴이 말이아니네요 3 ,음 2012/05/09 1,433
106354 제주도 여행을 가려합니다 4 제주도 2012/05/09 1,041
106353 책은 많이 읽는데 글짓기를 참 못해요. 6 초3 2012/05/09 1,414
106352 집 계약시 본인이 안가면 인감이 필요한가요?? 4 .. 2012/05/09 1,410
106351 임산부 신발&옷은 어디가 괜찮나요? 2 포로리 2012/05/09 1,775
106350 여러분은 아이의 선생님을 지칭할 때 뭐라 부르시나요? 16 .. 2012/05/09 1,925
106349 문대성은 어떻게되는건지? 1 2012/05/09 819
106348 CSI 보시는 분 안계신가봐요. 예전에는 무척 재밌었는데요 16 요즘은 2012/05/09 1,969
106347 친구에게 '하지마'소리를 못하는 딸아이ㅠ 1 ,. 2012/05/09 762
106346 트롬세탁기 배수가 안되요 2 도와주세요ㅠ.. 2012/05/09 1,494
106345 피쳐폰으로 페이스북 되요 :) 4 sns 2012/05/09 1,169
106344 듣기 싫은 말들, 어떻게 흘러버리세요? 4 속풀이 2012/05/09 1,474
106343 아이에게 책읽어주기...넘 늦었을까요?? 6 여섯살 2012/05/09 1,318
106342 어버이날.. 친정식구들 2012/05/09 698
106341 카네이션은........ 3 내끄야!!!.. 2012/05/09 1,069
106340 목에 주름때문에 옷사는데 지장있는분.... 10 2012/05/09 2,868
106339 “30개월 미만 뼈 없는 살코기만 수입” 정부, 또 거짓말 2 세우실 2012/05/09 888
106338 시사촌 애기 돌잔치 가야 하나요? 9 돌잔치 2012/05/09 2,509
106337 초1 영국문화원다니는데 어디로 바꾸는게 좋을까요~~ 영어 2012/05/09 1,445
106336 자동차 보험이 이렇게 많이 나오나요? 7 처음 2012/05/09 1,243
106335 MBC 총파업 100일 - 국민의 품으로 [제대로 뉴스데스크] 5 유채꽃 2012/05/09 1,042
106334 중학생딸과 해외배낭여행가려고요 2 여행 2012/05/09 1,162
106333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 수수료면제 상품은 어디서 알아봐야할까요? 2 문의 2012/05/09 3,099
106332 22년차 아파트인데요 7 재건축질문 2012/05/09 2,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