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궁극의 김치라는데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요?

궁금해요 조회수 : 1,404
작성일 : 2012-04-23 11:48:06
http://foodi2.blog.me/30136660082 ..

짜지 않으면서도 아삭하게 싱싱하다고 합니다.
유산균도 살아 있고요.
제가 얼마전부터 김치를 거의 못 먹어요.
저염분 식사를 차츰 늘리다보니 식탁에 올리는 장아찌와 김치를 많아야 종일 한 두 점 먹어요.
김치가 먹고는 싶은데 입에 넣으면 얼굴이 찡그려질 정도로 짜게 느껴지거든요.
요즘 들어 특별히 더 짜게 담근 것도 아니고 원래 그렇게 만든 상태인도요.
댁에서 혹시 저염도이면서도 이 글에서처럼 제 맛을 내는 김치를 담그시는 분 계세요?
글에는 힌트가 없어서요.
그리고 혹시나 해서 그러는데 블로그 홍보하는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제목이 궁극의 김치라고 되어 있는 포스트를 보고 쓰는 글입니다.



IP : 211.196.xxx.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4.23 11:49 AM (114.206.xxx.236)

    제 친정집 김치가 그래요.
    하얗고 아삭하고 젓갈도 안넣죠. 말간 국물이 생기구요.
    울 엄마 김치 먹고싶다......

  • 2. ...
    '12.4.23 11:59 AM (112.167.xxx.232)

    김치는 염장음식입니다.
    염장음식에서 "염"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맛나게 먹으려면 그냥 김치를 드시지 마세요.
    김치는 다른 재료들을 거의 다 빼고 담글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이전에는 고추도 없었고
    임진왜란때 고추가 들어왔다고 해도 일반 대중에게 널리 퍼져 김치에 이용될 수 있게 된것도 근대에 들어서니까요..
    그러니까 김치는 원래 채소를 소금에 절여서 먹는 것을 말합니다.

    채소를 소금에 절이지 않고 "김치"를 만들자... 라는 것은
    밥할때 곡류를 최대한 줄이고 물만 진탕 부어 끓이자..랑 같아요.
    그게 죽이지 밥이니까..
    유산균은 김치 말고도 섭취할 수 있는 방법 많아요.
    그러니 유산균 먹자고 소금덩어리 김치 드시지 마시구요.
    그냥 피클이나 샐러드로 채소 드시구요,, 유산균도 직접 티벳이나 카스피해 종균 구해서 만들어 드심 편할거예요..

  • 3. ...
    '12.4.23 12:03 PM (112.167.xxx.232)

    그리고 짠맛을 느끼는 정도는 사람마다 모두 달라요.
    또 그 당시 컨디션에 따라 보통땐 짜지 않은 것도 짜게 느껴지고,
    싱거운 것도 짜게 느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때문에 누가 간이 내 입맛에 딱! 이네 하는것, 믿을게 못되요.

    저염식을 하신다고 하셨으니 누가 만든 음식말고 직접 만들어 드시는 것이 진정한 저염식 아닌가요..
    남이 만든 음식 찾으시면서 저염식 하신다는 건 좀... 아닌듯..

  • 4. 궁금해요
    '12.4.23 12:18 PM (211.196.xxx.1)

    점 세개님.
    남이 만든 음식을 찾는게 아니고 저렇게 만드는 방법이 뭘까하고 궁금했던 거예요.
    저염식이 가능한 이유도 제가 직접 조리하고 있으니 가능한 거구요.
    외식을 하더라도 소금을 쓰지 않아도 음식이 되는 것들 위주로 주문하고 소금이 들어 가는 것은 최대한 적게 먹곤 했는데 그러다 보니 소금맛에 상당히 민감해져서 저염 김치를 담궈 보고 싶어서 그러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 글을 잘 읽어 보면 요즘 김치가 지나치게 자극성이 높게 만들어 가는 추세라고 되어 있잖아요.
    제가 만들어 먹고 있던 것이나 구하기 쉬운 일반 김치레시피도 짜기는 마찬가지라서 혹시나 저염김치 담그는 법을 아는 분이 계신가하고 질문해 본 것입니다.
    님의 답글은 차라리 김치를 끊으라는 투이신데, 짜지 않는 김치를 먹고 싶다는 말을 하는 사람에게 그렇게 빈정 거리 듯이 답글 다시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 5. 한글사랑
    '12.4.23 12:41 PM (183.88.xxx.4) - 삭제된댓글

    김장하는건 잘 모르는데요.
    건강 챙기는 사람들은 소금도 많이 따져요.
    테이블소금, 공장소금, 화학소금 등등으로 불려요.

    우리나라 천일염이 가격도 싸고 품질도 좋고 최고인데
    농약사건으로 안타까워요
    한식에 공장소금이 들어가면서 천일염과는 다르게 문제가 되는거같아요.
    어떤사람은 공장소금이 라면스프나 다름없다고 하데요. 그만큼 몸에 안좋데요.

  • 6. 푸디님 블로그에서
    '12.4.23 3:42 PM (221.144.xxx.111)

    그 글보고 저도 너무 궁금했어요. 평소 김치를 싱겁게 담그면 맛이 이상하게 변하던데
    저염으로도 맛난 김치가 가능이나 한건지......
    오랫동안 전국민이 김치를 만들고 먹는 나라에서 아직까지 그 숙제하나 풀지 못하고 연구중이라는 것이 아쉽기도하고요..... 빨리 연구가 완성되어 가정에서도 응용하여 김치를 담글수있도록 홍보하여 주시기를 바랄뿐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0543 화정역에서 공릉역까지 6 지하철 2012/04/23 991
100542 거북이 키우시는 분들 계시나요? 5 거북이 2012/04/23 1,808
100541 과연 시장에 얼만큼의 이익이? 1 일요일에 쉬.. 2012/04/23 505
100540 전북 익산의 이사업체 잘 하는 곳을 알고싶어요. 흠없이 이사.. 2012/04/23 904
100539 요리할 때 설탕 뭘로 대체할까요? 29 ^^ 2012/04/23 2,935
100538 어제 현대백화점 갔다가.. 6 .. 2012/04/23 3,426
100537 지금 전국 날씨 어때요? 8 리포터 2012/04/23 1,086
100536 LED하고 LCD 하고 많이 다르나요? 2 TV 2012/04/23 1,094
100535 18대 대선 예비후보 등록 시작…새누리당 대선 레이스 본격 점화.. 세우실 2012/04/23 584
100534 시끄럽다고 했다고 보복소음내는게 사람일까? 5 막말이 반 2012/04/23 1,513
100533 점심 먹고 커피 한 잔 하며 수다 떨 사람이 없는 직장. 10 직장 2012/04/23 2,859
100532 뒷골 땡기면 어느 병원 가야하나요 4 병원 2012/04/23 8,173
100531 왜 요즘은 해와아동 돕는게 유행일까....?? 5 별달별 2012/04/23 1,552
100530 잘생겼고,,너무 멋있고,,돈도 잘버는 남잔데...솔로?? 28 루나 2012/04/23 6,324
100529 어버이날에 시어른께 어떻게 해드리세요? 3 2012/04/23 1,628
100528 노래하는 천재 멍멍이~~ 2 참맛 2012/04/23 679
100527 어떤 샤워타월쓰세요? 맘에 드는게 정말 없어요.ㅠㅠ 4 찾고싶다 2012/04/23 2,423
100526 영어 잘하시는분 표 예매한후 will call pick up .. 1 ........ 2012/04/23 4,160
100525 풀 바른 벽지 직접 발라보셨어요? 5 매일 매일 .. 2012/04/23 3,307
100524 124.50.xxx.86님에게.. 2 .. 2012/04/23 736
100523 아이스팩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 기다림의미학.. 2012/04/23 942
100522 사표 후 휴가 버킷 리스트 4 ... 2012/04/23 1,984
100521 이갈이 계속하면 어떻게 될까요? 고칠수있나요.. 5 버릇 2012/04/23 2,191
100520 세탁기 15k 추천좀 해 주세요^^ 10 선택갈등 2012/04/23 2,607
100519 캐나다 17 캐나다 2012/04/23 2,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