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냉이를 누가 많이 줬는데요~ 어떻게 해먹어야 돼요?

레시피 조회수 : 1,975
작성일 : 2012-03-20 15:03:26

시골에서 가져왔다고 누가 냉이를 잔뜩 줬어요~ 아주 가끔 냉이 된장국 끓여먹어봤는데..

또 뭘 해먹을 수 있나요?

시금치처럼 데쳐서 무쳐 먹으면 되나요?

냉장고에서 며칠째 방치되고 있어요~

자세히 레시피 좀 알려주세요......부탁드려요...ㅠㅠㅠㅠ 아.....버리게 생겼어요...ㅠㅠㅠㅠ

IP : 218.236.xxx.103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새록
    '12.3.20 3:05 PM (211.178.xxx.72)

    깨끗하게 다듬고 씼은다음에 데쳐서 냉동실에 얼려두세요.(한번에 먹을만큼씩 소분하시면 더 좋고요..)

  • 2. 메아쿨파
    '12.3.20 3:05 PM (110.10.xxx.156)

    시골에 가보니 데쳐서 콩가루랑 어떻게 무치던데요....ㅜㅠ

  • 3. 해리
    '12.3.20 3:07 PM (221.155.xxx.88)

    제일 무난한 건 된장국이랑 무침인데요.
    저는 고추장에 무쳐 먹어요.
    나머지는 데쳐서 얼렸다가 국거리 없을 때 된장풀고 한 덩이 퐁당 넣으면 간단하게 냉이된장국 완성.

  • 4. ....
    '12.3.20 3:07 PM (121.128.xxx.151)

    두부를삶아서 놓고, 냉이도 삶아 고추장, 참기름, 마늘, 깨소금으로 맛있게 무쳐서
    두부와 겉들여 먹으면 맛있어요.

  • 5. 우선은요
    '12.3.20 3:08 PM (112.168.xxx.63)

    물러진 겉잎 정도만 떼어내시고요.
    냉이 뿌리 잔털은 일일이 뜯어내지 않으셔도 되요. 잔털도 다 뿌리고 영양이니
    깨끗히 씻어서 드세요.

    된장국에 넣어 먹고
    데쳐서 새콤하게 무쳐먹고
    부침가루에 넣어서 전을 해먹어도 되고요.

    당장 다 소비하기 힘들면 씻어 데쳐서 냉동했다 국 끓여 드셔도 되고요.

  • 6. 친정엄마가
    '12.3.20 3:08 PM (203.142.xxx.231)

    데쳐서 냉동실에 넣어두었다가 된장찌개 끓일때마다 넣어서. 드시네요.

  • 7. 데쳐서 냉동실
    '12.3.20 3:09 PM (1.225.xxx.229)

    아주 살짝 데쳐서 소쿠리같은곳에 펼쳐서 한김 날려준후 한웅큼씩 비닐봉지에 넣어서 냉동실에 넣어두면 봄지나고도 맛있게 된장국 무침 된장찌개 해먹을수있어요...

  • 8. 알포
    '12.3.20 3:14 PM (211.243.xxx.154)

    친정어머니가 데쳐서 냉동에 넣어두셨던 냉이 받아와서 지금 막 일부는 전 부치고 일부는 된장에 무쳐 먹었어요.

  • 9. ....
    '12.3.20 3:14 PM (116.126.xxx.116)

    저는 귀찮으면
    데쳐서 마늘, 참기름, 초고추장 이렇게 무쳐서 먹어요.

  • 10.
    '12.3.20 3:18 PM (203.152.xxx.189)

    깨끗이 씻어 물기 빼고
    먹기좋게 썰어서
    데치지 않고 냉동 보관해요
    된장찌게 바르르 끓을때 한주먹
    넣고 한번더 끓여먹음 맛있어요
    봄에 잔뜩 준비해두고
    한여름에도 먹어요

  • 11. 냉이맘
    '12.3.20 3:21 PM (119.200.xxx.248)

    냉이가 너무 두식구 먹기 많기도하고 보아하니 좀 억센듯도 하고
    해서~살짝 데친후 찬물에 잘 행구어서
    채반에 널어 말린후
    분쇄기에 갈아서 가루 를 만들었어요
    된장찌게 끓일때 한두수저 넣으니 편하구 좋으네요.^^

  • 12. 덧붙여
    '12.3.20 3:22 PM (112.168.xxx.63)

    냉이가 뿌리에 영양이 많고 향도 많잖아요.
    근데 뿌리가 튼실한건 심이 박혀 있어서 질기고 그래서
    저는 뿌리 반으로 갈라서 심을 빼내요.
    이게 좀 번거롭긴 해도 부드럽게 먹기 좋더라고요.ㅎㅎ

  • 13. ㅜㅜ
    '12.3.20 3:27 PM (122.38.xxx.4)

    국끓여드삼 부럽네요

  • 14. 냉이
    '12.3.20 4:07 PM (125.181.xxx.219) - 삭제된댓글

    누가 잔뜩 좀 가져다가 줘서 실컷 먹었음 좋겠네요.
    요즘은 시골도 생활폐수와 각종 오물로 깨끗한 곳이 없어져서 냉이가 참 귀하더군요. 두메나 산골도 외지인들이 자가용 가지고 돌아다녀서 씨가 말랐답니다.
    우선 깨끗이 손질하시면서 누렁잎은 떼내시고 깨끗한 물에 여러번 헹군후, 소금 한스푼 넣고 물을 팔팔 끓인후 깨끗이 씻은 냉이를 투하하여 뿌리 부분이 좀 말랑하다 싶다 할정도로 삶아준 후에 건져내서 물기꽉 짠후에 들기름(참기름) 두스푼, 고추장 (냉이양에 따라 틀리지만) 큰수저로 두스푼, 설탕(매실액기스)마늘, 깨소금 듬뿍, 액젓 아주 조금, 식초 한스푼 정도 넣어서 새콤달콤 무쳐드심 아주 맛있어요. 그리고 냉이 부침개 어떠세요?
    쫑쫑 썬다음에 밀가루, 소금, 당근 , 양파 쫑쫑 썰어서 버무린후에 기름두른 후라이팬에 바삭하게 지져내서, 간장+ 겨자좀 넣고 해서 찍어드심 괜찮고, 땅콩과 머스타드소스를 물넣고 무르게 한후에 찍어 먹어도 고소해요.

  • 15. ㅇㅇ
    '12.3.20 4:13 PM (118.220.xxx.113)

    데쳐서 냉동실에 조금씩 포장해 넣어두면..........................완전 대박인데...

  • 16. 82
    '12.3.20 4:21 PM (116.120.xxx.47)

    부추전할떄 냉이 썰어서 같이 전부치세요 냉이향이 나면서 맛있어요

  • 17. fly
    '12.3.20 4:31 PM (115.143.xxx.59)

    부침가루 넣고 생으로 부쳐먹어요..(데치지말구요)정말 고소하고 향나서 맛있어요!!

  • 18. fly
    '12.3.20 4:32 PM (115.143.xxx.59)

    삶아서 냉동실에 두고두고 먹으면 맛없어요.,..짧은기간에 얼른 드시길..냉동실에서도 마르더라구요.

  • 19. 순두부
    '12.3.20 5:29 PM (110.70.xxx.137)

    바지락넣고 국물내서
    순두부 넣고, 냉이 넣고 하얗게 국 끓여먹어도 맛있어요.

  • 20. 바지락냉이무침
    '12.3.20 8:18 PM (61.252.xxx.217)

    1. 바지락을 삶아서 조개껍데기는 버리고 살만 추려 놓습니다. 소쿠리에다 건져서 물기를 최대한 빼세요.
    혹은 조갯살만 파는 걸 사다가 살짝 데쳐서 쓰면 더 간편합니다.
    2. 냉이도 데쳐서 찬물에 헹궈 소쿠리에 건져 놓습니다.
    3. 위 1과2를 초고추장 양념으로 버무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8501 19대 총선 금품사범 72% 늘었다 1 세우실 2012/03/28 452
88500 50~60만원대 가방브랜드 추천 좀 해주세요.. 2 허브 2012/03/28 2,779
88499 아이가 티눈치료시작하고 너무 아파해요 6 티눈 2012/03/28 2,715
88498 집 선택 조언 좀 주세요 ㅠㅠㅠ 5 고민중.. 2012/03/28 1,316
88497 주진우기자의 정통시사활극 주기자....예약판매중입니다. 7 책 주문하고.. 2012/03/28 1,218
88496 회하고 어울리는 음식 4 손님초대 2012/03/28 834
88495 미국 영양제만 이리 큰건가요 5 너무크다 2012/03/28 1,506
88494 직장에 다닐지 전업주부를 할지- 내용 삭제 14 고민중 2012/03/28 1,539
88493 바깥볼일 없이 집에서 육아하시는 전업맘님들.... 23 육아는힘드러.. 2012/03/28 2,855
88492 강아지눈언제떠요? 4 ..... 2012/03/28 1,423
88491 등교 도우미 비용은? 8 아이맘 2012/03/28 1,827
88490 S.O.S! 가장 쉬우면서 비주얼이 화려한 요리는 무엇이 있을까.. 14 전생에 나라.. 2012/03/28 2,872
88489 여드름 꼭 치료 받아야 하나요? 7 .... 2012/03/28 1,407
88488 아들 때문에 웃어요. 6 베이커리 2012/03/28 1,054
88487 식물까페에서 간단한 이벤트 할만한거 있을까요?(사자성어,나무이름.. ^^ 2012/03/28 623
88486 성조숙증 호르몬 억제 치료안하시고 자연의 섭리로 키우신분 계신.. 6 키다리 2012/03/28 4,331
88485 알고먹으면더좋은감자 이렇게해서 드세요 신신 2012/03/28 794
88484 초등 여자애들 몇학년부터 사춘기가 오던가요 1 요즘 2012/03/28 1,040
88483 맞춤법 질문 하나 할게요^^ 2 질문맘 2012/03/28 572
88482 아이책상에 쓸 스탠드 추천 부탁드려요~~ 13 고르기힘들어.. 2012/03/28 1,212
88481 목화솜이불을 세탁기에 빨았어요 ㅠㅠ 10 목화솜 2012/03/28 13,865
88480 오늘은 적도의 남자 방영하는 날... 3 기대만땅 2012/03/28 766
88479 3월 28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03/28 466
88478 국기원 국기원 2012/03/28 505
88477 국내 여행 교통편 : 렌트카 vs. 대중교통 5 여행자 2012/03/28 8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