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도 아이 영어 여쭈어요

중3 조회수 : 1,365
작성일 : 2012-03-19 19:19:51
제 아이는 중3이에요.
초등학교 4학년부터 쭈욱 영어학원을 다녔어요.
중간에 쉰 적도 있었지만 기복없이 다닌 편이에요.
학원 다니고 학원 숙제 꾸준히 하면서 영어 공부했구요.
학원 숙제 말고 따로 영어 공부나 영어로 된 영화보기 영어책읽기 같은 건 거의 안 시켰어요.
대신 숙제는 늘 성실히 했던 것 같아요. 

주변에 해외파도 많고 잘 하는 애들 워낙 많아서 저희 애는 어떤 수준인지 사실 잘 모르겠어요.
우리앤 ibt 토플 100점 정도구요 제 기준으론 잘 하는 거 같은데 
학교에 같은 반 기준으로 그 정도 애는 20프로는 되는 것도 같아요.

여하튼 저희 애는 학원을 하나 이상 못 다니는 아이라서..
또 제가 애 힘든 걸 잘 못보는 엄마라서..
 영어학원 하나만 다니는데
지금 수학이 문제예요.
수학은 지금 집에서 조금씩 하고 있는데 
지금 수학이 더 급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고등학교 때 이과 선택할 거거든요.
그런데 영어 숙제랑 일주일에 세번 영어 학원 간다는 이유로 수학공부를 많이 안해요.
게다가 지금 가정경제도  어려워져서 학원비도 부담이 되구요.
그래서 이런저런 이유로 영어 학원을 그만둘까 해요.
수학도 지금처럼 집에서 계속 혼자 선행하게 할 생각이구요.

영어를 학원 안다니면 우리 아이 같은 애는 집에서 뭘 공부해야 할까요?
스스로 뭘 알아서 하는 애는 아니고 그래도 시키면 하는 애라 제가 교재랑 찾아서 
시켜야 할텐데요.. 물론 공부는 애혼자 하겠지만요...
제가 이제껏 애 학원만 보냈지 그다지 신경을 안 써서 교재나 방법을 잘 몰라요.
학원 책은 참 어렵단 생각이 들어요.
외고 갈것도 아니고 인증셤 볼것도 아닌데 계속 그런 교재로 해야 하는 건지
아님 수능 1등급을 목표로 지금부터 수능준비를 해야 하는 건지...

그리고 현 상황에서 우리 애 같은 애는 수학에 더 시간을 쏟아야 하는게 맞을까요?
영어도 아직 더 많이 다져야겠죠?

수학은 학원을 별로 안다니고 거의 집에서 해서 시간만 더 할애하면 될 거 같은데
영어는 혼자 해본 적이 없어서 저도 아이도 막막하네요.

이제부터 학원을 그만두고 집에서 혼자 영어공부를 한다면 어떤 교재로 어떤 목표로 하는게 좋을까요?


IP : 211.211.xxx.170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3.19 8:03 PM (114.207.xxx.84)

    토플책에 문화,예술,시사,경제 상식이 많아서 제대로 공부하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학교 공부로만 인생을 살 수는 없는데 아이가 상식이 풍부해져요.
    원글님 아이와 제 아이가 비슷한 상황이네요. 지금 고1이예요.
    제 아이는 중1 때 IBT 100점 맞았고, 중2 올라가면서 학원 과고반으로 옮겼어요.
    그때부터 미드와 영화를 좋아해서 자주 봤고, 따로 영어공부는 안했어요.
    결과적으로는 문법부분이 좀 취약하대요. 중2부터 수학, 과학 공부 열심해 해서 과고 갔어요.

    지금 중3이라면 IBT 100점 정도면 영어는 충분히 됐고, 고교 이과 가려면 올해 수학, 과학 시키세요.
    특히 수학에 올인하는 것이 좋아요. 아이가 수학을 잘 따라가면 과학(하이탑)도 시키면 좋은데,
    시간이 없으면 겨울에 영어문법, 과학 시키세요.
    중3 아이들 특목고 안가는 아이들은 거의 놀아요. 그 시간 잘 활용하세요.
    질문에 정확한 답은 없지만 비슷한 상황을 겪어서 댓글 올립니다.

  • 2. 중3맘
    '12.3.19 8:06 PM (211.211.xxx.170)

    61.105님 제 아이는 중3이구요. 초4부터 영어공부를 시작했다는 말이랍니다.
    댓글 감사드려요.

  • 3. 원글
    '12.3.19 8:12 PM (211.211.xxx.170)

    ㅇㅇ님 감사드려요.
    안그래도 과학도
    저번주부터 하이탑 물리 시작했어요.
    하면서도 과연 이걸 해야하나 지금도 갈등인데 이과 예정이면 하는게 맞지요?
    그럼 과학은 어느 정도 해야 하나요? 물리1 끝나고 화학한다던데 맞는 건지요..
    참 과학은 주말 과학팀에 들어가서 해요. 교육비 부담되지만 아이가 흥미있어하네요.

  • 4. ㅇㅇ
    '12.3.19 9:10 PM (114.207.xxx.84)

    제 아이는 어짜피 과고준비였기에 하이탑을 빨리 한 편인데, 중등 과학 내신에 도움이 많이 됐대요.
    다 배운 내용이라서요.
    근데 일반고 이과준비라면 너무 빠른 거 아닌가 싶어요. 좋아하면 다행이구요.
    우선은 수학이랍니다. 근데 수학만 하면 힘드니까 과학과목으로 머리 풀어주는 개념으로 해도 되구요.
    아이가 힘들어 하면 완급 조절하여 쉬다가 여름방학에 화학 시작해도 될 듯 하구요.
    아이가 재밌어 하면 물화는 아얘 하이탑2까지 하고 고등학교 가도 좋지요.
    중요한 건 아이가 받아들이면 하는 거고, 그게 아니면 급하게 밀어넣어서는 안돼요.

    하여간 제일 중요한 건 수학이예요. 아무리 해도 넘치지 않고, 내년 2월까지 수2까지 한번 훑고 가도 좋아요.
    지금 여유 있을 때 답지 안보면서 제 스스로 풀어보는 식으로 인내를 갖고 수학 풀어보는 시기로 딱 좋네요.
    아이들 공부할 때 엄마가 더 쪼면 안되고, 엄마는 아이의 지친 뇌를 풀어주는 역할을 해야 해요.
    가끔 심야영화를 보러 간다던가, 맛있는 음식을 해주거나 시켜주거나. ㅎㅎ 재밌는 얘기도 가끔 해주고요.
    엄마가 덩달아 공부하라고 쪼면 아이는 마음 둘 곳이 없어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135 학부모 총회 위임장 내놓고 가도 되는 거지요? 6 궁금 2012/03/20 1,672
85134 샌드아트 배우고 싶은데.. 샌드아트 2012/03/20 503
85133 베트남에 호치민과 하노이중에.. 4 부탁드려요... 2012/03/20 3,149
85132 학부모총회 고학년과 저학년 어디부터 가야할까요? 4 두아이맘 2012/03/20 1,660
85131 야~~ 벌써 쫄면이냐 !!! 3 phua 2012/03/20 1,702
85130 다운은 어디서 받으시나요? 1 보고싶은 영.. 2012/03/20 722
85129 3월 20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만평 2 세우실 2012/03/20 638
85128 직딩이라 저녁에 가야 하는데 중2총회 2012/03/20 689
85127 야당이 수도권 이겨도 새누리가 1당 가능성 높아 2 ... 2012/03/20 780
85126 초등 학부모총회 다들 참석하세요? 11 마미앤미 2012/03/20 5,569
85125 이보영 다리살 어떻게 뺀걸까요?? 27 우와 2012/03/20 38,356
85124 늙어 죽을때까지 잘살수 있을까요? 14 럭셔리 노후.. 2012/03/20 2,286
85123 살면서 욕실공사해보신분^^ 9 ... 2012/03/20 2,638
85122 중학교총회 다들 가셨나요? 8 고민중 2012/03/20 1,761
85121 꿈해몽좀 부탁드려요. 1 ... 2012/03/20 751
85120 MBC 김재철 업무추진비 - 여자관련 소문과 소식사이 굴뚝새 2012/03/20 1,299
85119 인스턴트 병커피 살건데 뭐가 맛있나요? 16 ... 2012/03/20 3,644
85118 알고보니 북한 정부.... 돈 엄청 많아~~ 2 safi 2012/03/20 927
85117 샌드위치메이커 가운데 줄 없는거요 4 샌드위치 2012/03/20 1,283
85116 조선족 무조건 믿어라..??? 별달별 2012/03/20 1,081
85115 윤건 성수동 모 작업실 2 샤방이 2012/03/20 2,396
85114 인터넷 오류창에 대해 아시는 분 1 에궁 2012/03/20 819
85113 아침부터 손말이김밥 계속먹히네용^^ 7 ^^ 2012/03/20 1,871
85112 중학생이 갈만한 필리핀 어학원이나 국제학교 추천 부탁드려요~ 5 유학 2012/03/20 1,425
85111 어제 파사데나 이사에 관해 글 올린 사람입니다. 다른 지역도 궁.. 1 미국에 가야.. 2012/03/20 1,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