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옹기그릇은 별로 무섭지 않게 깨지는거 같아요.

숭늉 조회수 : 1,748
작성일 : 2012-02-20 23:05:11

집나와서 자취하는지라 제가 지금 참 단촐한 그릇들로 살고 있어요.

밥그릇 3개 우동기 2개 샐러드볼 하나. 접시도 좀 기다란 직사각 접시 2개..정말 몇개 없네요ㅎ

슬슬 세트를 장만해볼까 싶어서 여기저기 뒤져보다가 전에 옹기 쓸 때가 생각나서 적어봐요.

인터넷으로 전통옹기 파는데서 2인조로 밥그릇 국그릇 접시세트를 사서 쓴 적이 있어요.

저는 그릇엔 별 관심도 없었고..저희 언니가 그런 걸 좋아해서... 사더라구요.

세제쓰면 안된다길래 웬만한건 따뜻한 물에 아크릴 수세미로 씻고, 기름진 걸 먹은 날엔 밀가루 살짝 풀어서 씻고 그랬었어요.

그러다가 한번은 설거지를 하는데, 그릇이 손에서 미끄러지더니 어깨넘어 뒤로 휙 날아가는 거에요.

목덜미를 스치고 지나가 바닥에 쿵.

헐...하고 뒤돌아보는데 두 조각으로 이쁘게도 쪼개져 있네요 -_-;;

작게 깨진 조각들 없이 그냥 두 조각.

날아간 모양새나 깨어진 모양새나...좀... 웃겨서 피식 웃다가..

날아간게 그냥 사기접시였으면 하고 생각하니 모골이 송연해지더라구요.

깨지기도 뾰족하게 깨지고 그렇게 높은데서 떨어졌으니 튀기도 많이 튀었을테고..

접시면 차라리 낫지 글래스락이었으면...헉.

 

옹기는 참으로 안전한 식기였구나...란 생각을 했습니다 -_-

 

근데, 다시 구입하는게 참으로 망설여지는게 말이어요.

요놈들이 안전하긴 한데 이가 잘 나가네요.

구입한지 6정도 지나긴 했지만..집에 가보면 지금 남아있는 그릇은 동그란 반찬기 몇개뿐..밥그릇 국그릇은 오데 간건지..

설거지도, 뚝배기 아니라 그냥 찬기여도 세제 쓰면 안 좋을까요. 바글바글 끓이는 그릇이 아니긴 한데 애매하네요.

요런것만 아니면..왠지 친근한 색상에, 꺼끌한거 같으면서도 맨질맨질한 그릇 느낌은 참 좋은데말이에요.

간단하게 차려도 상차림이 이쁘고..

그릇 많이 놓고 살게 아니라서 고민이네요 ㅎㅎ

 

 

IP : 112.156.xxx.118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빠진 그릇 안쓰는거
    '12.2.20 11:09 PM (122.128.xxx.72)

    유독 우리나라만 특히 예민한거 맞나요?
    옛날부터 우리나라가 그릇만들 좋은 흙도 많아 서민들이 쓸 그릇들이 흔해서 그런가모르겠네요.
    잘은 모르지만 일본을 비롯 외국에선 금가거나 작은 이 빠졌다고 미련없이 그릇을 버리진않는걸로 아는데요...

  • 2. 숭늉
    '12.2.20 11:25 PM (112.156.xxx.118)

    그게, 티가 별로 안나면 그냥 쓰겠는데 옹기가 색이 진한만큼 이가 나가면 속살이 드러나서 눈에 확 띄어요.
    큰 접시는 살짝 나갔어도 아까워서 가지고 있다가 쓰긴 하더라구요.
    저도 상차림 사진 찍을 때 고부분만 살짝 돌려서 찍기도 했었고..
    그래도, 다른 멀쩡한 그릇이 많으니 이빠진 그릇은 손이 안 가겠죠. 그러다보면 이사때 쯤 안 쓰는 그릇에 분류되서 버리게되구요.
    저는 이 잘 나간다 싶으니 사기전에 망설이게 되구요. 알면서 사기엔 좀 고민되지 않겠어요.
    문제는...그래도 이쁘긴 참 이쁘단 말이에요...어흑

  • 3. ..
    '12.2.20 11:31 PM (121.134.xxx.42)

    전 이빠진 그릇 쓰는거 싫어요.
    설겆이 하다 손다쳐요.
    저는 과감히 버리는 편..

  • 4. 쟈크라깡
    '12.2.21 5:30 PM (121.129.xxx.228)

    맞아요.
    해도 없고 다 좋은데 약해서 잘 깨지는게 단점이예요.
    저도 찬기 뚜껑을 2개나 해 먹고 .....
    뚜껑이 없으니 아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965 일본이 여성 인권이 그렇게 많이 낮은 가요? 19 ?? 2012/02/26 9,098
75964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스타일의 영화 추천 좀 10 ---- 2012/02/26 2,018
75963 이게 요실금인건지 ㅠㅠ 알려주세요 8 고민 2012/02/26 2,095
75962 브로콜리 없어도 해독쥬스 되나요? 2 gg 2012/02/26 2,455
75961 울산에 맛집 되게없는 거 맞죠? 10 ... 2012/02/26 2,948
75960 컴퓨터 본체만 구입하면 예상비용 얼마나될까요? 8 조립식으로 2012/02/26 1,247
75959 응시원서 쓰려는데,,, "법인체"라는 말을 모.. 2 오늘도.. 2012/02/26 1,190
75958 박선영 의원의 눈물 1 바람돌돌이 2012/02/26 1,168
75957 집값 떨어질까 대기하다간 닭쫓던개 꼴날듯.. 42 ... 2012/02/26 13,886
75956 이놈의 알바 7 미치겠당.... 2012/02/26 1,330
75955 할인카드 적립카드 이런거 귀찮기만 하네요. 1 난왜 2012/02/26 1,057
75954 울산 돈까스 맛있는 집? 3 ... 2012/02/26 3,443
75953 메주로 장 담그려고 씻었는데요 2 내일 2012/02/26 964
75952 팔찌 끈이 끊어졌는데 뭘 사면 되나요? & 버클구입처 1 팔찌 2012/02/26 998
75951 나한테 나쁜 짓한 사람을 잊을 수가 없어요 7 ... 2012/02/26 3,213
75950 탈북자 북송 중단, 지금 필요한건 북한인권법 4 ㅠㅜ 2012/02/26 643
75949 남편의 화해편지 1 ㅇㄴㅁ 2012/02/26 3,846
75948 유즘 유행하는 커다란 검은 뿔테 안경 말인데요. 2 ... 2012/02/26 2,824
75947 똑같은 면인데, 왜 어떤건 보풀이 생기고 할까요? 2 보풀 2012/02/26 1,509
75946 대성사고 유가족대표 "합의한것 맞다" (인터뷰.. 16 봄이오면 2012/02/26 4,134
75945 김남주 드라마...(넝쿨째 굴러온)에서 오렌지색 코트 어디건지요.. 3 코트 2012/02/26 3,121
75944 친구랑 티격태격 (내용 펑) 8 ... 2012/02/26 2,580
75943 이번엔 북한의 협박이 말로만 끝날듯... 4 북진 2012/02/26 779
75942 이럴 때 어떻게 하나요? 3 누가 2012/02/26 1,306
75941 렌지메이트 생선구울때 어떨까요 ... 2012/02/26 1,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