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겨울내내 난방 안하는 방은 보일러관 터지나요?

요즘같이 추운 조회수 : 15,374
작성일 : 2012-02-04 11:07:43

대문에 걸린글 보다가 문뜩 궁금해서요.

저희집 작은방이 외벽쪽에 있다보니 한겨울엔 진짜 너무 추워요.

그래서 그방은 겨울은 아예 문을 닫고 쓰질않거든요.  그래서 보일러밸브도 그방만 늘 잠궈놓구요.

그치만 보일러는 안쓸땐 외출상태로 해놓고 전원을 끄진 않아요.

근데 이런 식으로 해도 보일러 안떼는 방은 관이 터질 위험이 있나요?

사실 그방이 보일러가 잘 되는지 안되는지 확인해본 기억이 없네요..

겨울만 되면 지금까지 쭉 안써왔으니 ㅡ.ㅡ

만약 쭉 안키다가 지금처럼 한파일때 켜면 오히려 더 터질 위험이 높을까요?

추위 좀 풀리고 나서 켜보는게 나을까요?

관 터질까봐 무서워서 확 켜보지도 못하겠어요..좀 알려주세요 ㅠ.ㅠ

 

 

IP : 1.231.xxx.6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얼마전
    '12.2.4 11:08 AM (1.251.xxx.58)

    남편에게 물어봤는데
    방이 터지는게 아니래요. 그러니까 걱정 안하셔도 될듯..

    보일러 기계가 터지나보더라구요(근데 하나라도 난방하면 그런일 없나봐요)

  • 2. ...
    '12.2.4 11:15 AM (116.122.xxx.82)

    제가 상가주택가지고 있을때요..
    보일러에 대해 많이 들었는데요.
    그렇게 사용안할려면 애초에 배관에 있는 물을 다 뺀후에 밸브를 잠궈야 된다고 들었어요.
    바닥에 보일러 배관이 좍 깔려있잖아요. 그안에 물들이 들어 있거든요.
    근데 만약 완전 안돌아가게 해서 겨울에 얼어버리면...배관속 물들이 얼어서 부피가 늘어나고 그러면
    바닥속에 있는 배관이 터진데요.
    이것이 나중에 해동이 되면요.
    방에 자꾸 습기가 차고..물이 생기고 장판밑을 걷었을때 물이 있거나 그 물을 다 말린후 장판을 덮었는데도
    계속 물이 생기면 의심해 봐야된다고 들었어요.
    심하게 터지면 아랫집 천장에 물기가 보인다데요.

    저희 집 2층 비어있을때 보일러 꺼놨다가 배관이 터진적이 있었어요. 정말 추운날이 지나고 좀 따스해졌는데
    보일러실쪽에 물이 ....
    이때 다행히 방바닥이 아니라 보일러실로 나오는 배관이 터져서 대공사는 막었던 기억이 있어요.

    제 경험으로 왠만하면 외출로 해놓고 놔둬요. 한겨울엔..
    방이 터지는게 아니구요. 방바닥에 있는 보일러 배관이 터진다는 겁니다^^

  • 3. ..
    '12.2.4 11:20 AM (112.121.xxx.214)

    난방 계속 안하면 고장날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자세히는 모르지만.
    그래서 아주 추운날은 가끔씩 돌려줏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그리고 일부 방 잠가논다고 난방비가 절약되는것도 아니라대요.
    차라리 그 방에 단열벽지 하고, 유리창 단열도 하고 커튼도 치고 등등..최대한 단열을 해서
    겨울에도 잘 쓰시는게 더 낫지 않을까요?

  • 4. 윗님
    '12.2.4 12:26 PM (110.15.xxx.248)

    난방 배관 잠궈둔다고 난방비 절약 안된다고 하시지만
    제가 실험한 바로는 난방 배관 일부 잠그고 보일러 10분 돌린 후의 가스 소모량이랑
    다 틀어놓고 똑같이 한 후의 가스 소모량이 다릅니다
    사실 차이는 얼마 안나요..
    계산하면 한 달에 5~10만원 차이..
    이게 작다면 작지만 차이가 크다고 느끼는 집은 또 다르겠지요
    저는 난방비가 15만원이 안 넘었으면 좋겠기 때문에 다 틀고서 난방 돌리면 25만원 정도 나올 것 같더군요.
    그래서 잠궈 둡니다

    전에는 거실도 일부 틀어서 온수온도를 40도로 두고 있었는데
    요 며칠 추운 동안 잘 때 추워서 거실도 잠그고 방만 튼 채로 온수 온도를 60도로 높여놨어요
    이러면 원래보다 조금 더 나오긴 하는데, 방이 따뜻해서 좋더라구요
    방문은 열어놓고 사는데 실내온도는 거실 온도가 1도 낮아졌습니다(17도)
    대신 방은 별로 차이 없구요(조금 더 따뜻한 듯. 온도계가 방에는 없어요)

    온도 차이 거의 없지만 가스 소모량이 더 많은데도 이렇게 사는 이유는 따끈따끈한 방바닥이 있어서요.

    잠그면 가스비 덜 드는 거 맞습니다

  • 5. ...
    '12.2.4 12:27 PM (121.184.xxx.173)

    저희도 안쓰는 방 있는데 그냥 보일러배관 열어둡니다. 난방비 차이 얼마 나지도 않아요.

  • 6. 윗님
    '12.2.4 12:39 PM (110.15.xxx.248)

    앗 다 틀어놓은 것과 일부 잠근거 금액 차이 저거보다 더 나오네요. 계산이 틀렸어요.
    다 틀어놓은 적 없어서... 착각했네요
    일부 조금 잠근 것과, 많이 잠근 것의 차이에요

  • 7. 저희는
    '12.2.4 1:40 PM (112.148.xxx.78)

    낮엔 아예 난방안해요.
    온도가 난방안해도 항상 24도예요.
    5년된 아파트인데 이렇게 따뜻한 집은 첨봐요.
    단열이 정말 튼튼하게 잘 되어있어요.
    밤에도 난방안해도 되겠어요.
    그런데 아이가 있어 자기전에 3시간정도 돌려요. 방만.
    집이 안추우니 보일러 터질 걱정 안해도 되겟지요.
    그런데
    너무 부러워들 마세요.
    단열이 심하게 잘되어있어 여름에 더워요,.
    참다참다 작년 여름에 에어컨 들여놓으니 살것 같습디다.
    겨울에 난방비로 여름에 에어컨틀다.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0936 라섹수술 12일차.. 눈부심이 있어요. 4 맹히맘 2012/02/14 1,377
70935 [원전]"오키나와 소바"라는 국수에서 고농도 .. 1 참맛 2012/02/14 1,835
70934 [혐오주의] 케냐의 화형 동영상 .avi 6 쿠제 2012/02/14 11,116
70933 채식한지 2주됐는데 음식이 손이 많이가네요... 4 세상에쉬운건.. 2012/02/14 1,987
70932 수학문제 풀어주세요 4 루트 2012/02/14 526
70931 Adele 좋아하시나요? 3 ^^ 2012/02/14 1,079
70930 김밥 말고 한없이 뱃속에 들어가는게 있어요.. 46 헥헥 2012/02/14 10,315
70929 2월 14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02/14 662
70928 속옷세척....? 3 eofldl.. 2012/02/14 840
70927 장기수선충단금 계산 어찌 하나요? 5 궁금 2012/02/14 1,094
70926 하이힐..신다보면 편해지나요? 8 애엄마 2012/02/14 2,183
70925 단종된 코렐 후르츠 하베스트 구입할 수 있는 곳 아시나요? 1 땡글이 2012/02/14 1,243
70924 배송대행으로 해외구매 하시는분... 보통 얼마나 하나요? 7 처음 2012/02/14 1,603
70923 10년전에 라식 했는데 요즘 눈이 침침하네요 7 43세 2012/02/14 2,222
70922 치과 때문에.. 2 우울한 맘 2012/02/14 776
70921 세금계산서 작성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어요 8 세금계산서 2012/02/14 630
70920 오늘 아침 엠씨석에 앉아있는 여자분 8 Yc 2012/02/14 2,487
70919 쵸코렛 뭐가 맛있어요? 길리안 vs 페레로 12 ;;; 2012/02/14 2,274
70918 50대중반어머님에게 맞는 선물은 무엇일까요? 9 생신 2012/02/14 1,173
70917 스마트폰..패닉입니다~~ 14 ㅜㅜ 2012/02/14 3,263
70916 여행전문가님~신생에너지테마파크 어때요? 변산 2012/02/14 657
70915 부천상동 상일중에 다니는 학생두신맘~ 1 궁금맘 2012/02/14 964
70914 경기예고 아시는 분~~ 3 알려주세요 2012/02/14 5,611
70913 낫또를 너무 좋아하는데 풀무원제품은 비싸서,,다른 제품이나 직접.. 5 낫또 2012/02/14 4,208
70912 금으로 씌운 이의 수명이 어느 정도인가요? 요즘 가격은 얼마인가.. 3 ... 2012/02/14 3,434